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27)
[t DAY] 1월2일 (2008년 1월2일|서울지하철 4호선, 평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 전면 개편) 2008년 1월2일, 서울지하철 4호선이 평일 열차 운행을 개선하기 위해 평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2008년 새해부터 서울지하철과 수도권전철의 평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하고 평일 평상시 배차간격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열차 운행 스케줄을 조정했다. 당고개역과 오이도역을 연결하는 서울지하철 4호선은 기존에 542회가 운행되었으나, 이번 평일 열차 운행 스케줄 전면 개편으로 인해 24회를 감축하여 하루 운행횟수가 518회로 조정된다. 당고개~사당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기존의 250회에서 16회를 감축하여 234회를 운행하고 사당~오이도 구간의 평일 운행횟수는 기존의 292회에서 8회를 감축하여 284회로 조정된다. 이번 평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의 전..
[t DAY] 1월2일 (2008년 1월2일|서울지하철 3호선, 평일 전동차 스케줄 전면 개편) 2008년 1월2일, 서울지하철 3호선이 평일 열차 운행을 개선하기 위해 평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한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2008년 새해부터 서울지하철과 수도권전철의 평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하고 평일 평상시 배차간격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열차 운행 스케줄을 조정했다. 대화역과 수서역을 연결하는 서울지하철 3호선은 기존에 460회가 운행되었으나, 이번 평일 열차 운행 스케줄 전면 개편으로 인해 9회를 감축하여 하루 운행횟수가 451회로 조정된다. 하행은 229회에서 225회로 운행 시간이 조정되고 상행은 231회에서 226회로 운행 시간이 조정된다. 이번 평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의 전면 개편으로 인해 평일 평상시 배차간격도 개선한다. 대화~수서 구간을 운행하는 서울지하..
[t DAY] 1월2일 (2008년 1월2일|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 평일·토요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 전면 개편) 2008년 1월2일,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이 평일과 토요일의 열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선하기 위해 평일과 토요일의 전동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2008년 새해부터 서울지하철과 수도권전철의 전동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하고 서울지하철 2호선의 평일·토요일 배차간격을 개선하기 위해 2008년 1월2일 첫차부터 전동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다.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은 평일의 경우 기존에 581회가 운행되고 토요일의 경우 기존에 497회가 운행되었으나, 2008년 새해부터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의 전동차 운행 스케줄이 전면 개편됨에 따라 평일은 25회를 감축하여 556회로 조정되고 토요일은 21회를 감축하여 476회로 조정된다. 내선순환의 경우 평일에는 기존의 ..
[t DAY] 1월1일 (2000년 1월1일|서울지하철 2호선 신촌역, 서울특별시의 권고 명령에 따라 지하 부기 역명으로 재지정) 2000년 1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 신촌역이 서울특별시와 마포구청, 서대문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지하 부기 역명으로 재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경의선 신촌역과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서울지하철 2호선 신촌역을 지하 부기 역명으로 재지정하고 지금의 부기 역명인 서울지하철 2호선 신촌(지하)역으로 다시 지정했다. 1980년 2월26일 서울지하철 2호선 3단계 구간이 착공된 이후 4년만인 1984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전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운행을 개시한 서울지하철 2호선 신촌(지하)역은 연세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통학수요가 많이 늘어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서울지하철 2호선 신촌(지하)역은 지난 2014년부터 연세로에 대중교통전용지구가 개통되면서 신촌..
[t DAY] 1월1일 (2000년 1월1일|서울지하철 4호선 경마장역, 과천시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경마공원역으로 역명 개정) 2000년 1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 경마장역이 경기도 과천시의 권고 명령에 따라 경마공원역으로 개정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은 지난 1999년 12월에 한국마사회가 "경마장역을 경마공원역으로 역명을 개정해 달라"는 한국마사회의 권고 명령에 따라 1999년 12월31일부로 경마장역을 경마공원역으로 개정하는 승인을 결정했으며, 다음날인 2000년 1월1일 첫차부터 지금의 경마공원역으로 역명을 개정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1994년 4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 4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경마공원역은 2010년 9월1일에 수도권전철의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이후 2015년 1월1일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으며, 승마장 이용객들의 수요가 매우 많은 경마공원역은 오이도역에서 출발하는 당고개행 ..
[t DAY] 12월31일 (1987년 12월31일, 수도권전철 1호선 중동역 개통) 1987년 12월31일, 수도권전철 1호선 중동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은 부천역과 송내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경기도 부천시가 중동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중동역이 신설되면서 서울에서 상동시장으로 출퇴근하는 상동시장 상인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중동역은 1990년부터 중동신도시가 착공을 시작한 이후 중동신도시가 1996년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면서 중동신도시 주민들의 통근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1999년 1월부터 경인2복선으로 재편되면서 쌍섬식 승강장으로 개조된 이후 지금은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만 정차한다.
[t DAY] 12월29일 (2008년 12월29일, 수도권전철 중앙선 운길산역 개통) 2008년 12월29일, 수도권전철 중앙선 운길산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운길산역은 서울에서 운길산으로 향하는 등산객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경기도 남양주시가 운길산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팔당역과 양수역 사이에 신설된 운길산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고 교류전용으로 운행하는 중앙선 321000번대 전동차가 이 역에 정차한다. 운길산역에 정차하는 경의·중앙선 전동차는 경강선 KTX와 KTX-이음을 먼저 통과시키기 위해 운길산역 외선 승강장에 정차하여 정차 시간이 5분 가량 소요될 수 있으니 이용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만큼 운길산역을 이용하는 등산객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2014년 12월27일에 경의·중앙선이 개통되면서 평일 러시..
[t DAY] 12월29일 (2008년 12월29일|수도권전철 1호선 시흥역, 서울특별시의 권고 명령에 따라 금천구청역으로 역명 개정) 2008년 12월29일, 수도권전철 1호선 시흥역이 서울특별시의 권고 명령에 따라 금천구청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역 주변에 금천구청 신청사가 새로 준공됨에 따라 서울특별시와 금천구청의 시흥역 역명 개정 권고 지시에 따라 기존의 시흥역을 지금의 금천구청역으로 역명을 개정하는 조치를 진행했으며, 금천구청역이 개통되면서 금천구청으로 출퇴근하는 공익근무요원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났다. 고속철도 KTX가 통과하는 구간인 금천구청역은 평일 러시아워 출근시간과 토요일 러시아워 출근시간에 천안역을 출발한 서울역 방향 급행 전동열차가 이 역에서 아침에 세번 정차하고 평일 러시아워 출근시간과 토요일 러시아워 출근시간에 서울역을 출발한 천안 방향 급행 전동열차가 이 역에서 한번 정차한다...
[t DAY] 12월28일 (2007년 12월28일|수도권전철 1호선 주내역, 양주시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양주역으로 역명 개정) 2007년 12월28일, 수도권전철 1호선이 경기도 양주시와 양주시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양주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지난 2006년 12월15일에 개통된 수도권전철 1호선 주내역이 양주시의 인지도가 부족하다는 양주시청과 경기도 양주시의 판단에 따라 기존의 주내역을 지금의 양주역으로 개정하는 조치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경기도 양주시와 양주시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지금의 역명인 양주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수도권전철 1호선의 급행 전철과 일반 전철이 동시에 정차할 수 있는 양주역은 쌍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된 이후 양주역과 인천역을 오고 가는 대부분의 모든 열차가 이 역에서 출발하며, 최근에는 2011년 10월5일부터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 소속 1호선 열차가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양주역까..
[t DAY] 12월26일 (2013년 12월26일|서울지하철 4호선 미아삼거리역, 강북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미아사거리역으로 역명 개정) 2013년 12월26일, 서울지하철 4호선 미아삼거리역이 서울특별시와 강북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미아사거리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1985년 개통 이후 28년 이상 역명을 사용했던 미아삼거리가 교차로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서울특별시와 강북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지난 2013년 12월20일부터 미아삼거리역의 역명 개정을 결정하고 기존의 미아삼거리역을 지금의 미아사거리역으로 개정하는 조치를 진행했다. 미아사거리역은 도봉로~동소문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을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노선들이 가장 많이 밀집되는 구간인 만큼 월계동 방향과 종암동 방향, 수유리 방향, 돈암동 방향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교차로가 밀집되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미아점과 이마트 미아점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추..
[t DAY] 12월21일 (2010년 12월21일, 수도권전철 중앙선 상봉역·망우역·오빈역 개통) 2010년 12월21일, 수도권전철 중앙선 상봉역과 망우역, 오빈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중앙선의 상봉역은 오늘 개통된 경춘선 전철과 환승이 가능하고 서울지하철 7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중앙선 상봉역이 개통되면서 서울지하철 7호선을 환승하기 어려운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 신설된 중앙선의 상봉역은 1번승강장의 경우 문산 방향 열차가 정차하고 2번승강장과 3번승강장은 용문 방향 열차가 정차하며, 용문 방향 열차가 새마을호 일반열차와 KTX-이음을 먼저 통과시키기 위해 상봉역 3번승강장에서 대기하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해야 한다. 같은 날에는 중앙선 망우역이 신설되었다. 새로 신설된 중앙선 망우역은 양원역과 중랑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 주민들의..
[t DAY] 12월16일 (1996년 12월16일|서울지하철 4호선 벌말역, 평촌신도시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평촌역으로 역명 개정) 1996년 12월16일, 서울지하철 4호선 벌말역이 경기도 안양시와 안양시 동안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평촌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은 평촌신도시가 1990년 12월부터 착공을 시작한 이후 1994년 4월1일에 서울지하철 4호선 4단계 구간인 사당~안산 구간의 개통과 함께 벌말역을 신설했으나, 평촌신도시 주민들의 벌말역과 관련된 민원 사항이 제기되면서 안양시청과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청의 권고 명령 지시에 따라 지금의 역명인 평촌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서울지하철 4호선 평촌역은 평촌신도시가 조성되면서 평촌신도시 도심에서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평촌역이 2008년 8월1일부터 병기 역명 변경을 결정하면서..
[t DAY] 12월15일 (2012년 12월15일, 수도권전철 경춘선 별내역 개통) 2012년 12월15일, 수도권전철 경춘선 별내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경춘선 전철 전 구간 개통 이후 갈매역과 퇴계원역 사이에 신설된 별내역은 별내신도시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경기도 남양주시가 별내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경기도 남양주시에 별내신도시가 개발을 시작하여 별내신도시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별내역은 경춘선의 일반 전철과 급행 전철을 한번에 환승할 수 있다.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광역전철 별내선인 서울지하철 8호선 3단계 구간이 오는 2023년 9월에 개통되면 별내역은 경춘선 전철과 서울지하철 8호선을 한번에 환승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별내역 광역환승센터는 오는 2024년 상반기에 재개통될 예정이다.
[t DAY] 12월15일 (2016년 12월15일|서울지하철 2호선 신천역, 송파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잠실새내역으로 역명 개정) 2016년 12월15일, 서울지하철 2호선 신천역이 서울특별시와 송파구청의 권고 명령 지시에 따라 잠실새내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1980년 10월31일 서울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 개통 이후 36년 이상 역명을 사용했던 신천역이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과 거리가 멀어 신천동과 지하철 연계가 되지 않는다는 서울특별시와 송파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잠실신도시의 엘스아파트 1단지, 리센츠아파트 2단지, 트리지움 아파트 3단지, 레이크팰리스 4단지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인 기존의 신천역을 지금의 잠실새내역으로 역명을 개정시키는 조치를 진행했으며, 도시철도 역명 개정으로 역명 개정을 결정한 서울지하철 2호선 잠실새내역은 잠실나루역과 잠실역에 이어 잠실 지역 역명을 세번째로 사용하는..
[t DAY] 12월15일 (2006년 12월15일|수도권전철 1호선 의정부북부역, 의정부시의 권고 지시에 따라 가능역으로 분리 독립) 2006년 12월15일, 수도권전철 1호선 의정부북부역이 경기도 의정부시의 권고 지시에 따라 가능역으로 분리 독립되었다. 한국철도공사는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수도권전철 1호선이 경기도 동북부 이북 구간인 양주시와 동두천시를 거쳐 소요산역으로 연장됨에 따라 경기도 의정부시 북부에 있는 의정부북부역을 가능역으로 분리 독립하는 조치를 진행했으며, 의정부북부역에서 분리 독립된 가능동은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지금의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만 정차할 수 있는 가능역은 의정부북부역에서 출발하는 열차 운행이 폐지됨에 따라 지금의 정식 역으로 승격되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수도권전철 1호선이 소요산역으로 연장됨에 따라 의정부역이 한계 지..
[t DAY] 12월12일 (2020년 12월12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송도달빛축제공원역 개통) 2020년 12월12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인천교통공사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5단계 구간인 국제업무지구~송도달빛축제공원간 0.9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이날 낮 12시부터 영업운행을 개시했으며, 그동안 국제업무지구역까지만 운행했던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열차가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송도달빛축제공원으로 나들이를 가는 이용객들의 수요가 늘어날 수 있게 되었다. 개통식은 이날 오전 11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송도달빛축제공원역 지하1층 대합실에서 개통식을 진행했다. 직곡선 승강장으로 설계된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은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으며,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t DAY] 12월1일 (1994년 12월1일|수도권전철 1호선 성대앞역, 성균관대학교 수원캠퍼스의 권고 명령에 따라 성균관대역으로 역명 개정) 1994년 12월1일, 수도권전철 1호선 성대앞역이 성균관대학교 수원캠퍼스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성균관대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은 1979년 2월에 개통된 율전역이 성균관대학교 수원캠퍼스 총장의 역명 개정 요구에 따라 1984년 1월1일부터 성대앞역으로 역명을 개정했으나, 경기도청과 수원시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청이 성대앞역을 성균관대역으로 역명을 개정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과거 시절의 성대앞역을 지금의 성균관대역으로 개정하는 조치를 진행했다. 쌍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된 성균관대역은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과 토요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에 서울역과 수원역을 오고 가는 일부 직통 열차를 운행한 선례가 있다. 성균관대역은 서울에서 성균관대학교 수원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수요가..
[t DAY] 11월30일 (2013년 11월30일, 수도권전철 경춘선 천마산역 개통) 2013년 11월30일, 수도권전철 경춘선 천마산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경춘선 전철 전 구간 개통 이후 평내호평역과 마석역 사이에 신설된 천마산역은 서울에서 천마산으로 향하는 등산객들의 편의를 위해 경기도 남양주시가 천마산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천마산역이 개통되면서 경춘선 전철을 타고 천마산으로 향하는 등산객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천마산역은 2013년 11월에 개통되었지만 1년이 지난 2014년 12월31일에 역사가 준공되면서 정식 운영을 개시한 이후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경춘선 전동열차의 일반 전철만 정차하는 천마산역은 급행 전동열차가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이용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t DAY] 11월24일 (2020년 11월24일|수도권전철 1호선 지제역, 경기도 평택시의 권고 지시에 따라 평택지제역으로 역명 개정) 2020년 11월24일, 수도권전철 1호선 지제역이 경기도 평택시의 권고 지시에 따라 평택지제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만 정차할 수 있는 수도권전철 1호선 지제역 주변에 수도권고속철도 SRT가 개통된 이후 경기도와 평택시청이 지제역 역명 개정에 대한 권고 사항을 한국철도공사에 지시했으며, 경기도 평택시 지제동에 있는 평택지제역은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과 수도권고속철도 SRT와 연계할 수 있는 전철역으로 승격되었다. 평택지제역은 서울에서 한국복지대학으로 통학하는 대학생들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병기 역명인 평택지제(한국복지대학)역으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게 된다. 평택지제역은 수도권고속철도 지제역과 경부선 서정리역을 연결하는 연결선로 설치가 완료되면 앞..
[t DAY] 11월20일 (1984년 11월20일, 수도권전철 1호선 백운역 개통) 1984년 11월20일, 수도권전철 1호선 백운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신설된 백운역은 부평역과 동암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인천광역시가 백운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1984년 6월9일에 착공을 시작한 백운역은 5개월만인 1984년 11월에 개통되면서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백운역은 이 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삼거리역이 인접하고 있으나, 백운의 지명유래는 이 곳에서 하얀 구름이 생성된다는 뜻에서 유래되어 오늘에 이르고 2002년 봄부터 경인2복선으로 재편된 이후 쌍섬식 승강장으로 개조되면서 지금은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만 정차한다.
[t DAY] 10월21일 (2005년 10월21일|서울지하철 2호선 사당역, 국내 지하철 최초로 스크린도어 설치) 2005년 10월21일, 서울지하철 2호선 사당역이 국내 지하철 최초로 스크린도어를 설치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승강장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상사고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2005년 3월부터 서울지하철의 모든 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추진했으며, 스크린도어 설치를 추진했던 서울지하철공사는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서울지하철 2호선 사당역 승강장에 국내 지하철 최초로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매 순간 발생하는 사상사고 방지에 기여하고 운행하는 전동차가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에 정차할 때 정차 정위치 확보를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10량 전동차 승강장에 맞게 설계했다. 국내 지하철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서울지하철 2호선 사당역은 지난 2014년 4월에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
[대기획] 서울시내버스 최초의 최장거리 주간선버스, 서울시내버스 150번이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여유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서울시내버스 최초의 최장거리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150번이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여유를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 150번 버스는 서울교통네트웍 본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최장거리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노선 인가 길이가 75km에 이르고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를 출발하여 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금천구 시흥대교 부근 독산한신아파트에서 끝나는 최장거리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원래부터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역을 출발하여 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역에서 끝나는 신설 노선으로 시작했지만 2009년 6월29일에 시흥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석수역으로 연장되면서 회차 구간이 서울특..
여의도환승센터 운영현황(2023. 7. 1일부터) 여의도환승센터 1번승강장(19-017/을지로, 용산, 광명, 부천, 안양, 군포, 시흥, 안산방향): 261(상진운수/장위동↔여의도)/5012(신인운수/가산동↔용산역)/5615(보성운수/난곡↔여의도), 5618(보성운수/구로동→석수역→여의도)/5623(군포교통/군포공영차고지↔여의도환승센터), 6633(공항버스/강서공영차고지↔여의도), 10(부천버스/부천 옥길지구↔여의도)/11-1(화영운수/광명7동↔여의도)/11-2(화영운수/소하동↔여의도), 83(부천버스/부천공영차고지↔여의도)/530(시흥교통/시흥 능곡동↔여의도)/301(경원여객/본오아파트↔여의도), 320(경원여객/반월공단↔여의도)/871(명성운수/성석동↔여의도)/5609(경원여객/그랑시티자이아파트↔여의도) 여의도환승센터 2번승강장(19-007/광화문..
청량리역환승센터 운영현황(2021. 10. 5일부터) 청량리역환승센터 1번승강장(06-016/망우리, 신내동, 구리, 남양주): 241(대원교통/중랑공영차고지↔신논현역)/260(메트로버스/중랑공영차고지↔여의도),270(다모아자동차/상암동↔망우리)/N26(메트로버스·다모아자동차/중랑공영차고지↔강서공영차고지), 2115(도원교통/중랑공영차고지↔서경대학교)/51(경기여객/다산동↔경동시장)/65(대원운수/차산리↔경동시장), 167(대원운수/삼봉리↔경동시장)/169(경기운수/청학리↔청량리)/707(경기버스/진벌리↔청량리), 330-1(대원운수/비금리↔청량리)/1330-2(가평교통/가평터미널↔청량리)/1330-3(가평교통/목동터미널↔청량리), 1330-4(가평교통/현리터미널↔청량리)/1330-44(가평교통/현등사↔청량리)/8005(가평교통/유명산↔청량리) 청량리역환승..
복정역 버스환승센터 운영현황(2021. 5. 1일부터) 복정역환승센터 1번승강장(24-407/성남, 하남방향): 21(성남마을버스/복정역환승센터↔스타필드시티)/38(경기상운/하남BRT환승센터↔복정역환승센터), 50(성남시내버스/분당테크노파크↔복정역환승센터)/50-1(성남시내버스/분당테크노파크↔복정역환승센터), 100(성남시내버스/상대원동↔가락시장)/231(성남시내버스/판교신도시↔복정역환승센터), 315(성남시내버스/판교신도시↔복정역환승센터)/반디1(성남시내버스/분당신도시↔복정역환승센터), 반디1-1(성남시내버스/분당신도시↔위례신도시) 복정역환승센터 2번승강장(24-500/송파공영차고지방향): 333(대성운수/복정역환승센터↔올림픽공원)/343(대성운수/복정역환승센터↔압구정동), 345(대성운수/복정역환승센터↔구반포역)/440(대성운수/복정역환승센터↔압구정동),..
[t DAY] 9월12일 (2020년 9월12일, 수도권전철 수인선 전구간 개통) 2020년 9월12일, 수도권전철 수인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한국철도공사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수도권전철 수인선 전 구간인 인천~수원간 52.3km의 구간이 완성됨에 따라 이날 새벽 5시부터 영업운행을 개시했으며, 3단계 구간인 한대앞~수원간 18.9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면서 고색역과 오목천역, 어천역, 야목역, 사리역이 신설되었다. 사리역 구내에는 수도권전철 수인·분당선 승무를 위해 한국철도공사 수인·분당선 안산승무사업소 사동분소를 신설했으며, 수인선의 기점인 수원역에서는 수도권전철 분당선과 직결되어 수도권전철 수인·분당선으로 정식 영업운행을 개시했다. 수도권전철 수인·분당선은 분당선을 운행하고 있는 전동차가 고색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게 됨에 따라 고색역에서 한대앞역을..
[대기획] "16년 양주의 발" 서울시내버스 108번의 아쉬운 퇴장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2021년 8월1일에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아쉬운 퇴장을 맞이하는 서울시내버스 108번이 남긴 "16년 양주의 발"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분석합니다. "16년 양주의 발"을 안전하게 운행했던 서울시내버스 108번의 아쉬운 퇴장, 그리고 새로운 노선이 신설되기까지의 과정을 알아보고 덕정동과 종로5가를 오가는 최장거리 간선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108번의 아쉬운 퇴장을 지금부터 정리해 봅니다.  서울시내버스 108번은 KD운송그룹 계열의 서울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대원여객 덕정동영업소에서 관리하는 서울특별시의 최장거리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시간이 평균 285분으로 길게 소요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시내버스 108번은 KD운송그룹 최초의 최장거리 서울시..
[배구논평] 새로운 외국인 감독을 영입한 대한항공, 토미 틸리카이넨 감독이 제시하는 호기심 배구의 스마트하고 빠른 배구 오늘의 배구논평에서는 새로운 외국인 감독을 영입한 대한항공이 핀란드 출신 배구 지도자 토미 틸리카이넨 감독을 영입하여 더 빠르고 스마트한 호기심 배구를 제시하는 토미 틸리카이넨 감독의 호기심 배구의 특징을 오늘의 배구논평에서 만나봅니다. 지난 시즌 챔피언결정전 통합우승의 대기록을 달성한 남자프로배구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배구단은 단년 계약인 이탈리아 출신 외국인 감독 로베르토 산틸리 감독과 아름다운 작별을 결정하고 새로운 외국인 감독을 영입했습니다. 대한항공은 지난 5월에 핀란드 출신 배구 지도자 토미 틸리카이넨 감독을 새로운 외국인 감독으로 영입했습니다. 대한항공의 두번째 외국인 감독으로 영입된 토미 틸리카이넨은 핀란드 출신 배구 지도자로 나이는 34세, 1987년생이지만 V리그 남자부 일곱 감독 중 ..
[다시보는 월드리그] 스피드와 조직력을 앞세운 미국 남자배구대표팀의 월드리그배구 첫 우승 성공기 "다시보는 국제배구"에서 분석하는 "다시보는 국제배구", 이번 시간은 2008년 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에서 사상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한 미국 남자배구대표팀의 월드리그배구 첫 우승 성공기를 "다시보는 월드리그"에서 분석합니다. 강한 서브에 브라질처럼 빠르고 조직력을 앞세운 배구를 구사하는 미국과 세계 최고의 공격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이반 밀리코비치를 앞세운 세르비아의 월드리그배구 결승라운드의 결승전 경기는 2008년 7월27일 (한국 시간) 밤 24시30분에 열렸으나,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현지 시간으로 낮 12시30분에 경기가 열렸습니다. 탄탄한 조직력과 수비를 앞세운 미국이 높이에 정교함까지 갖춘 세르비아를 세트스코어 3대 1(26-24, 23-25, 25-23, 25-22)로 물리치고 월드리그..
[V리그 특별기획] 배구 지도자 이영택 감독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V리그 감독의 이중생활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V리그 특별기획에서는 V리그 감독의 이중생활로 V리그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배구 지도자 이영택 감독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V리그 감독의 이중생활을 배구이야기의 V리그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현역시절 대한항공 남자배구단에서 부동의 센터로 활약했던 이영택은 202cm의 큰 키를 이용한 타점 높은 속공공격과 블로킹 높이로 남자프로배구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배구단의 높이를 지배했습니다. 한양대학교 선수 시절에는 1997년 2월에 종료된 한국배구 슈퍼리그에서 베스트6에 선정되고 1999년 하반기에 일본에서 열린 월드컵 남자배구 대회에서 대한민국 남자배구대표팀의 미들블로커로 활약했습니다. 문일중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를 졸업한 이영택은 지난 2000년 12월 대한항공 남자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