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 서울시 최장거리 올빼미버스, 서울시내버스 N61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과 사람들의 의미있는 이야기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서울시 최장거리 올빼미버스 노선으로 운행하는 서울시내버스 N61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과 사람들의 의미있는 이야기를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N61번은 관악교통, 삼화상운, 영인운수가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올빼미버스 노선으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양천공영차고지와 노원구 노원역을 연결하는 인가 노선 길이 88.6km의 최장거리 올빼미버스 노선입니다.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내버스 N61번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양천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노원구 상계주공7단지로 넘어가는 최장거리 올빼미버스 노선으로 운행되고 심야 유동인구가 많은 신림동, 서울대입구역, 남부터미널, 강남역, 역삼동, 선릉역, 삼성역,..
[특별기획] "17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751번의 아쉬운 퇴장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시행 이후 17년간 서을의 발을 이끌었던 서울시내버스 751번이 아쉬운 퇴장과 함께 역사속으로 저물어가는 과정, 그리고 새로운 번호인 간선버스 742번으로 연장되기까지의 과정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내버스 751번은 선진운수 구산동차고지 본사에서 관리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구산동을 출발하여 구산중학교와 서울기독대학교입구, 신사동고개, 응암오거리, 대림시장, 모래내삼거리, 모래내시장/가좌역, 사천교, 연희104고지앞/舊성산회관, 서대문우체국, 연세대앞, 신촌기차역, 이대역, 웨딩타운, 아현역, 충정로역(경기대입구),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갈월동,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KT..
[t DAY] 5월1일 (1992년 5월1일, 수도권전철 안산선 산본역 개통)
1992년 5월1일, 수도권전철 안산선 산본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와 경기도 군포시는 1990년부터 산본신도시가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게 됨에 따라 산본신도시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산본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금정역과 대야미역 사이에 신설된 산본역의 개통으로 산본신도시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쌍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된 산본역은 장래에는 급행 전철과 일반 전철을 동시에 운행하는 안산선 전동차의 급행 열차 운행도 추후에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안산선은 금정역을 시점으로 최근에 개통된 산본역과 대야미역, 반월역, 상록수역, 한대앞역, 중앙역, 고잔역, 안산역을 비롯한 8개 역이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금정역과 사당역을 연결하는 광역전철 노..
[t DAY] 4월28일 (2004년 4월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
2004년 4월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간 12.2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광주광역시의 지하철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을 시작했으며, 녹동역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복선전철로 설계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은 녹동역과 소태역, 학동·증심사입구역, 남광주역, 문화전당(구도청)역, 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 양동시장역, 돌고개역, 농성역, 화정역, 쌍촌역, 운천역, 상무역을 비롯한 14개 역이 신설되었다. 1996년 2월17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8년2개월만에 완공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은 광주광역시의 전통시장으로 유명한 양동시장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에..
[t DAY] 4월26일 (2013년 4월26일, 수도권전철 용인 경전철 전구간 개통)
2013년 4월26일, 수도권전철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의 개통과 함께 경기도 용인시에서도 본격적인 경전철시대가 개막을 시작했으며, 용인경량전철의 경전철 노선인 용인 경전철은 2005년 12월17일부터 착공을 시작한 이후 7년4개월만에 18.1km의 전 구간이 모두 개통되면서 기흥(백남준아트센터)역과 강남대역, 지석역, 어정역, 동백(용인세브란스병원)역, 초당역, 삼가역, 시청·용인대역, 명지대역, 김량장역, 운동장·송담대역, 고진역, 보평역, 둔전역, 전대·에버랜드역을 비롯한 15개 역이 신설되었다.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의 개통을 계기로 서울에서 용인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하고 서울에서 용인권에 있는 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
[t DAY] 4월20일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인 상계~한성대입구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0년 2월29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5년2개월만에 완공된 상계~한성대입구간 11.8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상계동과 창동, 쌍문동, 수유동, 미아동, 길음동, 돈암동, 삼선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의 개통과 함께 상계역과 노원역, 창동역, 쌍문역, 수유(강북구청)역, 미아(서울사이버대학)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돈암)역, 한성대입구(삼선교)역을 비롯한 10개 역이 신설되면서 서울사이버대학교와 성신여자대학교 돈암캠퍼스, 한성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계~한성대입구 구간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