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25)
[배구논평] 6년만에 정상탈환에 성공한 우리카드의 두번째 컵대회 우승, 서울 배구팬들에게 기적을 선물하다!! 오늘의 배구논평에서는 오늘 종료된 의정부 도드람컵 프로배구대회 남자부 결승전 경기에서 6년만에 정상탈환에 성공하여 역대 두번째 컵대회 우승을 얻은 남자프로배구 서울 우리카드 위비 프로배구단이 서울 배구팬들에게 기적을 선물하여 생애 최고의 순간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오늘의 배구논평에서 만나봅니다. 먼저 2021 의정부 도드람컵 프로배구대회 남자부 결승전에서 6년만에 정상탈환에 성공하여 역대 두번째 컵대회 우승을 차지한 서울 우리카드 위비 선수단 여러분과 신영철 감독에게 우승 축하 인사를 보냅니다. 그리고 아쉽게도 컵대회 첫 우승 재도전에 성공하지 못하고 컵대회 준우승을 차지한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선수단 여러분과 석진욱 감독에게 위로의 인사를 보냅니다. 우리카드 선수단 여러분들, OK금융그룹 선수단 여러..
[특별기획] "광명의 발" 서울시내버스 505번이 운행 도중 소하동 천연가스충전소를 경유하는 특별한 사연은?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시행 당시 지금까지 "광명의 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505번이 운행 도중 소하동 천연가스충전소를 경유하는 특별한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범일운수에서 관리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505번은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에서 서울특별시 중구로 넘어가는 다섯번째 간선버스 노선으로 범일운수 노온사동영업소에서 이 노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버스는 특정사항으로 본다면 시흥대로~여의대방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원효대교, 한강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경유하고 시흥대교를 통과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505번은 운행 도중 소하동에 있는..
[t DAY] 8월8일 (2020년 8월8일, 서울지하철 5호선 6단계 구간 개통) 2020년 8월8일, 서울지하철 5호선 6단계 구간인 상일동~하남풍산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상일동역까지만 운행했던 서울지하철 5호선 열차가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하남풍산역까지 연장되면서 미사역과 하남풍산역이 신설되었으며, 서울지하철 5호선 6단계 구간인 상일동~하남풍산간 4.4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전철이 경기도 하남시까지 확장되어 경기도 하남시에서도 지하철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을 시작했다. 새로 신설된 미사역과 하남풍산역에는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승객의 편의를 도모했다. 서울지하철 5호선 6단계 구간 개통식은 2020년 8월7일 서울지하철 5호선 미사역 대합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이날 개통 행사에는 경기도 하남 ..
[특별기획] "상동신도시 주민들의 발" 부천시내버스 83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푸른 피의 썸 타는 사람들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상동신도시 주민들의 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부천시내버스 83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푸른 피의 썸 타는 사람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부천시내버스 83번은 부천버스에서 관리하는 경기도 심야도시형버스 노선으로 2009년 10월9일부터 기존에 운행하고 있는 경기도 광역직행좌석버스 905번을 지금의 경기도 심야도시형버스 노선으로 형간전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 노선의 시초는 지난 1992년 12월14일 서울시 심야좌석버스 도입과 함께 신설된 이후 세풍운수와 신인운수가 공동배차로 운행했던 서울시 심야좌석버스 905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운행했던 서울시 심야좌석버스 905번은 2000년부터 세풍..
[t DAY] 8월2일 (1982년 8월2일, 수도권전철 1호선 석수역 개통) 1982년 8월2일, 수도권전철 1호선 석수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신설된 석수역은 금천구청역과 관악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경기도 안양시와 만안구청이 석수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석수역이 신설되면서 수도권전철 1호선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석수역은 지난 2009년 6월29일에 시흥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역사거리까지 연장되면서 경기도 지역을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노선과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이 석수역을 경유하고 있으며, 추후에는 신안산선이 신설되면 석수역은 신안산선과 수도권전철 1호선을 환승할 수 있는 환승역으로 승격할 예정이다.
[특별기획] 인천광역시 구간을 유출입하는 부천시내버스 88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수도권 사람들의 일상 생활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경기도 도시형버스 노선 중 인천광역시 구간을 유출입하는 장거리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는 부천시내버스 88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수도권 사람들의 일상 생활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부천시내버스 88번은 노선 인가 길이 68.2km에 이르는 장거리 도시형버스 노선으로 서울시 간선버스 노선 수준 이상의 수요가 매우 많은 경기도 도시형버스 노선입니다. 이 노선은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 부천공영차고지에 있는 부천버스 본사에서 이 노선을 관리하고 있으며, 인가대수는 65대로 경기도 도시형버스 노선 중 최다 차량 보유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부천시내버스 88번의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65대, 토요일 62대, 일요일·공휴일 45대가 운행..
[다시보는 월드리그] 한국 남자배구대표팀의 95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 결승라운드 6강진출 성공기 제일여객님의 티스토리에서 새로 선보이는 코너 "다시보는 국제배구" 코너에서는 첫 페이지로 "다시보는 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한국 남자배구대표팀의 95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 결승라운드 6강진출 성공기"를 정리하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한국 남자배구는 지난 1995년 제6회 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에서 아시아 국가 중 사상 최초로 월드리그 결승 라운드 6강에 진출하는 신기록을 달성하여 세계 배구에 새로운 기념비를 세우게 되었습니다. 당시 한국은 95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에서 일본, 중국, 러시아와 함께 C조 예선으로 배정받아 가장 쉬운 조로 편성되면서 월드리그 결승라운드 6강진입의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한국 남자배구가 95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에서 결승라운드 6강에 진출했던..
[다시보는 월드리그] 한국 남자배구, 체력보강·서비스강화 절실 "다시보는 국제배구"와 함께 준비한 "다시보는 월드리그", 이번 시간에는 95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 결승라운드 본선에서 6위라는 신기록을 달성하여 세계 배구에 새로운 기념비를 세운 한국 남자배구의 큰 문제점인 체력 보강과 서비스 강화에 대해서 다시 한번 분석합니다. 한국 남자배구가 세계 무대에서 보다 나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체력의 보강과 서브와 서브리시브의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한국 남자배구는 지난 1995년 7월10일 브라질에서 종료된 95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 결승라운드 본선에서 당초 목표인 6강 진출에는 성공했으나 월드리그 결승라운드 본선에서는 수준차를 여실히 드러내며 4게임에서 단 두 세트만을 따내고 전패했습니다. 세계 대회에서 전패를 당한 것은 당초 예상된 것이긴 했지..
[t DAY] 7월11일 (1994년 7월11일, 수도권전철 1호선 간석역·도원역 개통) 1994년 7월11일, 수도권전철 1호선의 경인선 구간인 간석역과 도원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간석역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미추홀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인천광역시와 남동구청, 미추홀구청이 간석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동암역과 주안역 사이에 신설된 간석역이 개통되면서 남동구와 미추홀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같은 날에는 수도권전철 1호선의 경인선 구간인 도원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신설된 도원역은 인천광역시 동구 창영동, 중구 도원동, 미추홀구 숭의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동구청과 인천광역시 중구청, 미추홀구청이 도원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제물포역과 동인천역 사이에 신설된 도원역이 개통..
[특별기획] 용미리 고갯길과 파주읍 골목길을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774번이 저상버스를 운행할 수 없는 이유는?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용미리 고갯길과 파주읍 골목길을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774번이 저상버스를 운행할 수 없는 이유와 저상버스를 운행할 수 없는 원인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내버스 774번은 신수교통에서 관리하는 서울특별시의 장거리 간선버스 노선으로 진관공영차고지 본사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신수교통이 서울운수의 전 노선을 인수하여 오늘에 이르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774번은 서울운수 시절부터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선유리 자이안트부대를 출발하여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에서 끝나는 장거리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당시 이 노선은 문산읍 선유리에 있는 자이안트부대를 출발하여 문산수억중고등학교와 향양1리, 향양2리, 세경고등학교, 연풍초등학교, 광탄..
[대기획] 서울특별시 서남부 지역을 빠르게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N65번이 저상버스를 운행하지 않는 원인은?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서울특별시 서남부 지역을 빠르게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N65번이 저상버스를 운행하지 않는 원인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내버스 N65번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서 금천구로 넘어가는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노선으로 공항버스, 범일운수가 공동배차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올빼미버스 노선 중 한강을 건너가지 않는 유일한 노선인 서울시 올빼미버스 N65번은 늦은 시간에 귀가하는 마곡뉴타운 주민들의 수요가 매우 높고 심야 유동인구가 많은 화곡동과 목동 로데오거리, 영등포역, 신도림역, 구로디지털단지역 구간을 빠르게 통과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시 올빼미버스 N65번은 특졍사항으로 본다면 경인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시흥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하고..
[특별기획] 서울시 최장거리 올빼미버스, 서울시내버스 N61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과 사람들의 의미있는 이야기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서울시 최장거리 올빼미버스 노선으로 운행하는 서울시내버스 N61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과 사람들의 의미있는 이야기를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N61번은 관악교통, 삼화상운, 영인운수가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올빼미버스 노선으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양천공영차고지와 노원구 노원역을 연결하는 인가 노선 길이 88.6km의 최장거리 올빼미버스 노선입니다.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내버스 N61번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양천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노원구 상계주공7단지로 넘어가는 최장거리 올빼미버스 노선으로 운행되고 심야 유동인구가 많은 신림동, 서울대입구역, 남부터미널, 강남역, 역삼동, 선릉역, 삼성역,..
[특별기획]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104번이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않는 이유는?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104번이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않는 이유와 서울시내버스 104번이 저상버스를 투입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내버스 104번은 선일교통 강북영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인가거리는 30.5km에 이르고 현대 에어로시티를 주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은 서울특별시 강북구를 출발하여 중구로 넘어가는 네번째 간선버스 노선이지만 강북청소년수련관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강북청소년수련관으로 출퇴근하는 직원들은 물론 국립4·19민주묘지로 나들이를 가는 승객 대부분이 이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시내버스 104번은 강북청소년수련관 정류소 기점기준..
[특별기획] "17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751번의 아쉬운 퇴장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시행 이후 17년간 서을의 발을 이끌었던 서울시내버스 751번이 아쉬운 퇴장과 함께 역사속으로 저물어가는 과정, 그리고 새로운 번호인 간선버스 742번으로 연장되기까지의 과정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내버스 751번은 선진운수 구산동차고지 본사에서 관리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구산동을 출발하여 구산중학교와 서울기독대학교입구, 신사동고개, 응암오거리, 대림시장, 모래내삼거리, 모래내시장/가좌역, 사천교, 연희104고지앞/舊성산회관, 서대문우체국, 연세대앞, 신촌기차역, 이대역, 웨딩타운, 아현역, 충정로역(경기대입구),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갈월동,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KT..
[대기획] 한국 프로배구 V리그에 새로운 기념비를 세운 국내 최초 외국인 감독 로베르토 산틸리 감독이 남긴 한국 프로배구 V리그의 새로운 업적 배구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남자프로배구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배구단의 창단 첫 챔피언결정전 통합우승으로 한국 프로배구 V리그에 새로운 기념비를 세운 국내 최초 외국인 감독 로베르토 산틸리 감독이 남긴 한국 프로배구 V리그의 새로운 업적을 배구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만나봅니다. 한국 프로배구 V리그에 새로운 기념비를 세운 로베르토 산틸리 감독은 이탈리아 출신의 배구 지도자로 현역시절 이탈리아 남자배구대표팀에서 부동의 세터로 활약하고 이탈리아 세리에 A1리그에서 부동의 세터로 활약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부상으로 일찍 은퇴했지만 1996년부터 이탈리아 리그에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2002년 이탈리아 U21 대표팀을 지휘하고 폴란드, 러시아의 프로 배구팀과 독일 배구 국가대표팀, 호주 배구 ..
[대기획]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서울시내버스 160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여유와 사람들의 의미있는 사연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지난 3월에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서울시내버스 160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여유와 사람들의 의미있는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서울 160번 버스는 서울교통네트웍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를 출발하여 종로와 광화문을 거쳐 마포대교로 한강을 건너 구로구 온수동에서 끝나는 주간선버스 노선입니다.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구로구로 넘어가는 주간선버스 노선인 만큼 서울 160번 버스의 인가거리는 노선 길이가 70km이기 때문에 첫차 손님들이 가장 많은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서울시내버스 160번의 첫차 승객들은 이른 새벽에 ..
[t DAY] 5월10일 (2002년 5월10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곡역 개통) 2002년 5월10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단계 구간인 진천~대곡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96년 12월31일에 착공을 시작하여 5년5개월만에 완공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단계 구간인 진천~대곡간 1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면서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동안 진천역까지만 운행했던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열차가 기점을 대곡역으로 연장하면서 대곡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게 되었다. 금적색을 도색으로 사용하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열차는 모든 열차가 중형 전동열차로 운행하고 모든 열차가 직류전용으로 운행한다. 대곡역에서 안심역에 이르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05시20분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
[대기획]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수원시내버스 7770번이 평일에 24시간 단 1분도 쉬지 않고 운행하는 이유?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지난 2014년 4월 KBS 2TV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이후 사당사거리 블루스의 배경 장소로 사용되어 평일에 24시간 단 1분도 쉬지 않고 운행하는 경기도 광역직행좌석버스 노선인 수원시내버스 7770번이 평일에 24시간 단 1분도 쉬지 않고 운행하는 과정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만나봅니다. 평일에 한정하여 24시간 단 1분도 쉬지 않고 운행하는 수원시내버스 7770번의 운행 스케줄 과정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분석합니다.  평일 24시간 운행 노선인 수원시내버스 7770번은 경진여객운수에서 운영하는 경기도 광역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에 있는 경진여객운수 본사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경진여객운수 본사에서 관리하..
[t DAY] 5월1일 (1992년 5월1일, 수도권전철 안산선 산본역 개통) 1992년 5월1일, 수도권전철 안산선 산본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와 경기도 군포시는 1990년부터 산본신도시가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게 됨에 따라 산본신도시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산본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금정역과 대야미역 사이에 신설된 산본역의 개통으로 산본신도시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쌍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된 산본역은 장래에는 급행 전철과 일반 전철을 동시에 운행하는 안산선 전동차의 급행 열차 운행도 추후에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안산선은 금정역을 시점으로 최근에 개통된 산본역과 대야미역, 반월역, 상록수역, 한대앞역, 중앙역, 고잔역, 안산역을 비롯한 8개 역이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금정역과 사당역을 연결하는 광역전철 노..
[t DAY] 4월30일 (1997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신길역 개통) 1997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신길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은 대방역과 영등포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1994년부터 수도권전철 1호선 신길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1994년 6월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3년만에 개통된 신길역은 롯데건설이 시공을 담당하고 서울지하철 1호선 신길역과 5호선 신길역을 연결하는 환승 통로도 동시에 신설되었다. 신길역이 새로 신설되면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 신설된 1호선 신길역은 서울지하철 5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과 급행 전철이 모두 정차한다. 지금은 수도권전철 1호선 신길역이 운전..
[t DAY] 4월30일 (1997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소사역 개통) 1997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소사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은 역곡역과 부천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둥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1994년부터 소사역 역사 신설을 추진했으며, 소사역이 신설되면서 서울에서 서울신학대학교 부천캠퍼스로 통학하는 대학생들의 큰 혜택을 제공하고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쌍섬식 승강장으로 재설계된 소사역은 내선의 경우 급행 전철이 통과하기 때문에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만 정차한다. 소사역은 병기 역명이 소사(서울신대)역으로 변경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지만 최근에는 2018년 6월16일에 광역전철 서해선 1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으로 승격되..
[t DAY] 4월30일 (2003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병점 연장 구간 개통) 2003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수원~병점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수원역까지만 운행했던 수도권전철 1호선 전동차가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병점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수원~병점간 7.2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서울지하철 1호선 열차가 병점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는 것과 동시에 세류역과 병점역을 비롯한 2개 역이 신설되었다. 병점역 인근에는 수도권전철과 일반열차의 평면교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가선로가 신설되었으며, 새로 신설된 고가선로는 천안 방향을 운행할 예정인 수도권전철 1호선 열차와 일반열차가 통과한다. 고가선로 신설과 함께 수도권전철과 일반열차의 평면교차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병점역 인근에는 450량의 수용이 가능하고 경수선과 유치, 점검이 ..
[t DAY] 4월30일 (2016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 개통) 2016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경의선 전 구간이 개통된 이후 그동안 개통되지 않았던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은 2012년 9월24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2014년 12월27일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전 구간이 개통된 이후 역사 공사가 지연되어 효창공원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편 사항이 제기되었으며, 2016년 1월에 완공된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은 2016년 3월부터 개통을 위한 종합 시험 운전을 한달 가량 진행하여 개통과 함께 여객 영업을 본격적으로 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 개통된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은 서울지하철 6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서울지하철 6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는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은 경의·중앙선 전 구간을 운행..
[t DAY] 4월28일 (2018년 4월28일, 수도권전철 신분당선 미금역 개통) 2018년 4월28일, 수도권전철 신분당선 미금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신분당선은 최근 2단계 구간인 정자~광교 구간이 개통된 이후 정자역에서 환승하기 어려운 분당신도시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2013년 2월28일부터 신분당선 미금역 추가 설치 착공을 진행했으며, 2018년 2월부터 개통을 위한 최종 점검을 진행하고 두달 가량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하여 신분당선 미금역이 개통되면서 정자역에서 분당선, 신분당선을 환승하기 어려운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 개통된 신분당선의 미금(분당서울대병원)역은 분당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현재 강남에서 광교까지 운행하고 있는 신분당선은 추후에 경기도 서남부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광교중앙에서 호매실을 ..
[t DAY] 4월28일 (2004년 4월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 2004년 4월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간 12.2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광주광역시의 지하철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을 시작했으며, 녹동역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복선전철로 설계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은 녹동역과 소태역, 학동·증심사입구역, 남광주역, 문화전당(구도청)역, 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 양동시장역, 돌고개역, 농성역, 화정역, 쌍촌역, 운천역, 상무역을 비롯한 14개 역이 신설되었다. 1996년 2월17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8년2개월만에 완공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은 광주광역시의 전통시장으로 유명한 양동시장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에..
[t DAY] 4월26일 (2013년 4월26일, 수도권전철 용인 경전철 전구간 개통) 2013년 4월26일, 수도권전철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의 개통과 함께 경기도 용인시에서도 본격적인 경전철시대가 개막을 시작했으며, 용인경량전철의 경전철 노선인 용인 경전철은 2005년 12월17일부터 착공을 시작한 이후 7년4개월만에 18.1km의 전 구간이 모두 개통되면서 기흥(백남준아트센터)역과 강남대역, 지석역, 어정역, 동백(용인세브란스병원)역, 초당역, 삼가역, 시청·용인대역, 명지대역, 김량장역, 운동장·송담대역, 고진역, 보평역, 둔전역, 전대·에버랜드역을 비롯한 15개 역이 신설되었다.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의 개통을 계기로 서울에서 용인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하고 서울에서 용인권에 있는 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
[V리그 대기획] 창단 첫 챔피언결정전 준우승을 차지한 우리카드가 V리그에서 남긴 위대한 유산 그리고 선수들의 투혼 배구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V리그 대기획에서는 지난 4월17일에 종료된 도드람 2020~2021 V리그 남자부 챔피언결정전 5차전 경기에서 대한항공에 1대 3으로 역전패하여 창단 첫 챔피언결정전 준우승으로 V리그 역사를 남긴 남자프로배구 서울 우리카드 위비 프로배구단의 창단 첫 챔피언결정전 준우승과 V리그에서 남긴 위대한 유산, 선수들의 투혼을 V리그 대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잘 싸우고도 창단 첫 챔피언결정전 준우승을 달성한 우리카드가 V리그에서 남긴 과정들을 만나봅니다. 남자프로배구 서울 우리카드 위비 프로배구단은 지난 4월17일 인천 계양체육관에서 열린 도드람 2020~2021 V리그 남자부 챔피언결정전 5차전 우리카드 VS 대한항공전 경기에서 1세트를 듀스 접전 끝에 상대팀 선수의 갑작스런 범실로..
[t DAY] 4월23일 (2015년 4월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 개통) 2015년 4월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인 칠곡경대병원~용지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국내 최초 모노레일 노선을 적용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은 2009년 7월24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2014년 1월에 완공된 이후 2015년 상반기에 개통을 위한 영업 시운전을 두달 가량 진행했으며, 칠곡경대병원~용지간 23.2km의 구간이 개통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은 청라언덕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고 명덕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모든 열차가 모노레일로 운행하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열차는 대구광역시 북구에 경수선과 중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 수리를 위한 칠곡차량사업소가 신설되었으며,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에..
[t DAY] 4월21일 (1993년 4월21일, 서울지하철 4호선 당고개역 개통) 1993년 4월21일, 서울지하철 4호선 3단계 구간인 상계~당고개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9년 12월30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1993년 3월1일부터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했던 당고개역은 한달 가량 시운전을 진행하여 이날 개통과 함께 서울지하철 4호선의 기점으로 연장되었으며, 그동안 상계역까지만 운행했던 서울지하철 4호선 전동차가 당고개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상계역 당고개 방향 주변에 있는 크로스형 회차 선로가 완전히 삭제되고 당고개역 주변에는 2개의 크로스형 회차 선로가 추가로 신설되었다. 당고개역이 새로 신설되면서 상계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3·4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지하철 4호선의 당고개~사당 구간은 ATC 신호..
[t DAY] 4월20일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인 상계~한성대입구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0년 2월29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5년2개월만에 완공된 상계~한성대입구간 11.8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상계동과 창동, 쌍문동, 수유동, 미아동, 길음동, 돈암동, 삼선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의 개통과 함께 상계역과 노원역, 창동역, 쌍문역, 수유(강북구청)역, 미아(서울사이버대학)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돈암)역, 한성대입구(삼선교)역을 비롯한 10개 역이 신설되면서 서울사이버대학교와 성신여자대학교 돈암캠퍼스, 한성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계~한성대입구 구간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