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72)
[특별기획] 서울시내버스 172번이 저상버스 운행 불가 노선 판정을 받은 원인은?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장위동고개를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172번이 저상버스 운행 불가 노선 판정을 받은 원인에 대해서 여러가지 모든 원인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내버스 172번이 왜 저상버스 운행 불가 노선 판정을 받았을까요? 원인은 서울시내버스 172번이 장위동 고갯길을 통과하기 때문에 급경사가 아주 많은 장위동 고개에서는 저상버스가 운행할 수 없다는 서울특별시와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의 판단이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결정된 원인들도 많았습니다.  특히 서울시내버스 172번은 한성여객 하계동영업소 본사에서 관리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을 출발하여 월계동 인근 인덕대학과 장위동고개, 월곡뉴타운, 길음뉴타운, 돈암사거리(성..
[배구논평] 일본 V리그에 진출한 배구스타 윤봉우, 일본 V리그에서 최고 성적을 달성할 수 있을까? 오늘의 배구논평에서는 국내 V리그 남자부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일본 V리그 무대에 진출한 배구스타 윤봉우가 일본 V리그 무대에서 최고 성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 오늘의 배구논평에서 만나봅니다. 지난 시즌 남자프로배구 서울 우리카드 위비 프로배구단의 정규리그 1위를 견인했던 윤봉우는 2020~2021시즌을 앞두고 원 소속팀 우리카드와 이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임의탈퇴선수로 공시되었다가 일본 V리그의 입단 제의를 받고 우리카드를 떠나 일본 V리그 나고야 올프독스와 입단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당시 일본과 협상을 추진했던 이카루스 진용주 대표는 윤봉우 선수가 선수 생활을 연장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하게 됨에 따라 윤봉우와 접촉을 시도하고 선수 생활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한 뒤 나고야 울프독스와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특별기획] 부동의 센터 김상우가 지배하는 배구 지도자의 진취적인 지도력과 지도자의 품격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현역시절 삼성화재 남자배구단에서 부동의 센터로 활약하다가 13년 전 배구 지도자로 제2의 배구 인생을 시작했던 배구 지도자 김상우가 지배하는 배구 지도자의 진취적인 지도력과 지도자의 품격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부모님과 형을 가족으로 두고 있었던 배구 지도자 김상우는 195cm의 장신에서 지배하는 타점 높은 속공공격은 물론 블로킹 높이로 삼성화재 남자배구단을 지배했으며, 스파이크높이는 339cm, 블로킹 높이는 336cm, 서전트점프 70cm를 갖춘 대한민국 남자배구대표팀의 미들블로커로 한국 남자배구의 흥행 시대를 이끌었습니다. 그는 서울 청구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중인 1983년 9월부터 배구를 시작하여 서울의 대신중고등학교와 성균관대학교를..
[특별기획] 부동의 세터에서 지도자로 변신한 최태웅 감독이 지배하는 토스의 품격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현역시절 국가대표 부동의 세터로 활약하다가 5년 전부터 지도자로 변신을 시도하여 프로배구에서 최고의 배구 지도자로 활약하는 최태웅 감독이 지배하는 토스의 품격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인천 주안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1985년부터 배구를 시작했던 배구스타 최태웅은 인하사대부중, 인하사대부고, 한양대학교를 거쳐 1999년 3월 삼성화재 남자배구단에 입단하다가 2010년부터 2015년 5월까지 현대캐피탈 남자배구단에서 부동의 세터로 활약했습니다. 그는 185cm의 단신에도 불구하고 스파이크높이 330cm, 블로킹 높이 318cm, 서전트점프 80cm를 갖춘 만큼 타점 높은 토스로 한국 프로배구를 지배하다가 2015년 5월 현역 은퇴를 결정하고..
[t DAY] 7월30일 (2016년 7월30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전 구간 개통) 2016년 7월30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전 구간의 개통으로 인천광역시에서도 본격적인 경전철시대가 시작되었으며, 2009년 6월26일에 착공하여 7년1개월만에 완공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총길이 29.1km의 구간을 운행할 수 있는 철제차륜 경전철을 운행한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도색은 서울지하철 3호선이 사용하는 도색인 주황색을 사용하며,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05시30분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다음날 새벽 1시까지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러시아워 출퇴근시간대 3분, 평상시 6분간격으로 운행하고 토요일과 일요일·공휴일은 6분간격으로 운행한다. 검암역에서는 인천국제공항철도로 환승할 수 있으며, 주안역에서..
[특별기획] "마이 디그 요정" 최부식이 지배하는 디그의 품격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마이 디그 요정"으로 수비와 서브리시브를 담당하여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의 부동의 리베로로 활약하다가 지도자로 제2의 배구 인생을 시작했던 최부식이 지배하는 디그의 품격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마이 디그 요정"으로 프로배구를 지배했던 최부식의 수비 실력과 디그 실력은 V리그에서 살아있는 최고의 순간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얼마 전 2015년 11월에 수원에서 열린 프로배구 남자부 한국전력 VS 대한항공전 경기에서는 대한항공의 리베로 최부식이 튕겨져 나가는 배구공을 발견하고 선수 대기석까지 쫓아가 발디그로 공을 살리면서 디그를 하는 모습이 프로배구 중계 장면에 방영되고 2016년 1월에는 국제배구연맹(FIVB)이 최부식 발디그 중계 장면을 ..
[t DAY] 7월28일 (2000년 7월28일, 서울지하철 4호선 5단계 구간 개통) 2000년 7월28일, 서울지하철 4호선 5단계 구간인 안산~오이도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안산역까지만 운행했던 4호선 전동차가 경기도 시흥시 오이도역으로 연장되면서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군자동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오이도역까지 연장된 서울지하철 4호선 안산~오이도 구간은 평일의 경우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5~15분, 러시아워 퇴근시간대 6~18분, 평상시 10~25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5~15분, 러시아워 퇴근시간대 8~20분, 평상시 10~25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5~25분간격으로 운행한다. 그리고 오이도역 인근에는 서울지하철 4호선 전동차의 경수선과 철도청 소속 4호선 전동차의 경수선, 중수선이 ..
[특별기획] 국가대표 부동의 월드세터 신영철이 지배하는 배구 지도자의 진취적인 리더십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현역시절 국가대표 부동의 월드세터로 활약하여 서울 우리카드 위비 프로배구단에서 감독으로 팀을 지휘하고 있는 배구 지도자 신영철의 진취적인 배구 리더십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과거 시절 한국전력 남자배구단에서 부동의 세터로 활약했던 신영철은 179cm의 단신에도 불구하고 스파이크높이 320cm, 블로킹 높이 318cm, 서전트점프 75cm를 갖춘 만큼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삼성화재 남자배구단에서 부동의 세터로 활약했습니다. 현역시절 국가대표 부동의 월드세터로 활약했던 신영철은 1991년과 1994년 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 대륙간라운드 세터 부문에서 세터 부문 1위를 기록하여 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에서 두 차례 세터상을 차지하고 19..
[특별기획] 서울시내버스 103번이 저상버스 운행 불가 노선 판정을 받은 원인은?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는 장위동고개를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103번이 저상버스 운행 불가 노선 판정을 받은 원인에 대해서 여러가지 모든 원인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내버스 103번이 왜 저상버스 운행 불가 노선 판정을 받았을까요? 원인은 서울시내버스 103번이 장위동 고갯길을 통과하기 때문에 급경사가 아주 많은 장위동 고개에서는 저상버스가 운행할 수 없다는 서울특별시와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의 판단이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결정된 원인이 된 것입니다.  특히 서울시내버스 103번은 삼화상운 월계동영업소에서 관리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을 출발하여 장위동고개와 길음뉴타운, 돈암동, 보문동, 신설동, 동대문/흥인지문, 종로, 광화문, 시..
[특별기획] 스커드미사일로 배구스타의 이름을 알린 후인정의 진취적인 배구인생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현역시절 "스커드미사일"로 배구스타의 이름을 알린 배구스타 후인정의 진취적인 배구인생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 인창중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1987년부터 배구를 시작했던 후인정은 서울 인창중고등학교와 경기대학교를 거쳐 1996년 11월 현대자동차써비스 남자배구단에 입단하여 남자프로배구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에서 오른손잡이 라이트공격수로 활약했습니다. 2013년 7월에는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으로 이적하다가 프로배구가 열리고 있었던 2015년 12월28일에 당시 후인정의 소속팀인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이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2대 1 맞트레이드로 한국전력이 선수 보유 수를 초과하게 됨에 따라 후인정이 현역 은퇴를 결정하고 한국전력 빅스..
[특별기획] 배구의 신 신치용이 배구 지도자에서 진천선수촌장으로 발령을 받은 사연은?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는 현역시절 한국전력 남자배구단에서 선수로 활약하다가 배구 지도자를 넘어 진천선수촌장으로 발령을 받은 배구의 신 신치용 삼성화재 배구단 감독의 사연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한국전력 남자배구단에서 선수로 활약했던 신치용은 배구 지도자로 제2의 배구인생을 시작하여 지난 1995년 11월 삼성화재 남자배구단이 창단할 때 신치용이 삼성화재 남자배구단의 초대 감독으로 취임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는 지난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삼성화재 남자배구단의 겨울리그 9년 연속 우승을 지배하고 프로배구 시즌인 V리그에서 2007~2008시즌부터 2013~2014시즌까지 남자프로배구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배구단의 7년 연속 챔피언결정전 통합 우승으로 삼성화재 남..
[특별기획] 프로배구의 섹시한 반항아 박철우, 삼성화재를 버리고 한국전력으로 이탈을 결정한 이유? 배구이야기가 선보이는 특별기획에서는 최근 종료된 2020년 프로배구 FA에서 프로배구의 섹시한 반항아 박철우가 삼성화재를 버리고 한국전력으로 이탈을 결정한 이유를 이번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분석을 하겠습니다. 왼손잡이 아포짓 스파이커로 활약하는 라이트공격수 박철우는 왜 삼성화재를 버리고 한국전력으로 이탈을 결정했을까요? 당시 배구스타 박철우는 2003년 12월 현대캐피탈 남자배구단에 입단했을 때 대구광역시에 있는 경북사대부고 졸업을 앞두고 있는 만큼 배구코트에서 박철우가 섹시한 반항아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박철우는 대구광역시에 있는 경북사대부중 1학년 때부터 배구를 시작하여 경북사대부고를 거쳐 프로배구의 섹시한 반항아로 주목을 받았으며, 박철우가 프로배구에서 섹시한 반항아로 주목받기 시작하여 ..
[t DAY] 7월24일 (2009년 7월24일, 서울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 개통) 2009년 7월24일, 서울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인 개화~신논현 구간이 이날 아침 7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광역전철 동서선으로 신설되는 서울지하철 9호선은 1단계 구간인 개화~신논현간 27km에 이르는 구간이 개통되면서 공항동, 가양동, 등촌동, 가양동, 당산동, 흑석동, 반포동, 논현동 일대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도시철도 노선 최초로 일반 전철과 급행 전철을 동시에 운행하는 서울지하철 9호선 전동차는 1인승무운영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하고 자동운전이 가능한 4량편성의 직류전용 전동열차가 운행한다. 일반 전철은 개화역에서 신논현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하고 급행 전철은 김포공항역과 가양역, 염창역, 당산역, 여의도역, 노량진역, 동작(현충원)역, 고속터미널역, 신논현역만 정차한다. 개화역에서..
[t DAY] 7월19일 (1985년 7월19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85년 7월19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범어사~범내골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1년 6월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4년1개월만에 완공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범내골간 15km에 이르는 구간은 지난 1984년 12월부터 종합 시험 운전을 7개월 가량 진행했으며, 부산 도시철도 개통으로 부산광역시에서도 본격적인 지하철시대가 시작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국내 최초 중형전동차를 도입하여 국내 최초로 스테인리스 차체를 적용했으며, 국내 도시철도 최초로 1인승무운영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하고 자동운전으로 운행하는 신호장치를 채택했다. 전두환 前 대통령과 이순자 여사를 비롯한 각하 내외분들은 범어사역에서 열린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식에 참석하여 범어사역..
[t DAY] 7월18일 (2003년 7월18일, 서울지하철 4호선 수리산역 개통) 2003년 7월18일, 서울지하철 4호선 수리산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신설된 수리산역은 산본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경기도 군포시와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하여 신설되었으며, 수리산역이 신설되면서 산본역을 이용하는 이용객 수의 과밀(혼잡)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산본신도시 서남부에 있는 수리산역은 서울지하철 4호선 전동차와 철도청 소속 4호선 전동차가 정차하며, 4호선 전동차가 수리산역을 출발하여 대야미역 방향으로 운행할 때 교-교 사구간을 통과한다. 수리산역에서 서울역까지 전철로 이동할 경우 50분 이내로 주파할 수 있으며, 수리산역에서 안산역까지 전철로 이동할 경우 21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수리산역에서 오..
[특별기획] 신성운송그룹 최초의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 버스, 서울시내버스 N37번의 특별한 사연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신성운송그룹 최초의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 버스 노선으로 서울의 서북부 지역과 서울의 동남부 지역을 연결하고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 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N37번의 특별한 사연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 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N37번은 신성운송그룹 최초의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 버스 노선으로 의미가 있는 만큼 신성운송그룹 계열사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제일여객과 신성운송그룹 계열사에 있는 서울특별시의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한국비알티자동차가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 심야전용 간선버스 노선입니다.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내버스 N37번은 지난 2013년 4월19일 ..
[특별기획]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서울시내버스 N16번의 의미있는 사연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지난 2018년 7월에 KBS한국방송 2TV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되었던 서울시내버스 N16번의 의미있는 사연들을 이번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16번은 서울교통네트웍, 양천운수(舊 오케이버스)가 현재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특별시의 심야전용 간선버스 노선으로 하행(온수동방향)의 기점인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와 상행(도봉산방향)의 종점인 온수동에서 첫차, 막차가 동시에 출발하는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노선입니다.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 심야전용 간선버스 N16번은 지난 2018년 7월에 KBS한국방송 2TV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이후 올빼미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높은 인지도를 얻..
[t DAY] 7월17일 (1988년 7월17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요원 선발) 1988년 7월17일, 부산교통공사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요원 선발을 진행하고 이날 첫차부터 정식으로 승무를 진행했다. 부산교통공사는 현재 운행되고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를 운행하기 위해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무를 담당할 공채1기 기관사 선발을 진행하고 선발된 공채1기 기관사를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개통요원으로 차출하여 정식 승무 업무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노포역 구내에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무를 담당하기 위한 노포승무사업소를 신설했으며, 6량편성으로 운행하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는 1인승무운영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하고 자동운전 방식을 사용하는 국내 최초의 중형전동차로 운행된다.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3단계 구간인 중앙~서대신 구간은 오는 1990..
[특별기획]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개통 11주년, 앞으로 변화해야 할 더 많은 과제는? 버스이야기가 새로 선보이는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개통 11주년을 맞이하여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가 앞으로 변화해야 할 더 많은 과제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분석을 하겠습니다.  서울역버스환승센터는 2008년 7월에 착공을 시작하여 2009년 7월25일에 서울역 인근 세계 최대 규모의 시내버스 환승센터가 완공된 이후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가 하루 유동인구 20만명 이상을 수용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역버스환승센터는 지하철 1호선과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의 환승역인 지하철 서울역 9-1번출구와 쉽게 환승할 수 있으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인근에는 고속철도 서울역이 있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경부고속철도 KTX와 경강선 KTX, 경부선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누리로호 열차와 ..
[t DAY] 7월13일 (1990년 7월13일, 서울지하철 3호선 지축역 개통) 1990년 7월13일, 서울지하철 3호선 지축역이 이날 낮 12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구파발역까지만 운행했던 3호선 전동차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지축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지축차량기지 인근에 신설된 지축역은 6량편성의 전동차가 정차하는 1면1선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지축~구파발 구간의 배차간격은 러시아워 출퇴근시간대 18분, 평상시 18분간격으로 운행되며,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5시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4시30분까지 운행한다. 그러나 지축역은 서울지하철 3호선의 광역전철 노선인 일산선이 1990년 12월에 착공된 이후 1995년 하반기에 일산선 복선전철이 완공되면서 섬식 승강장으로 개조되었으며, 지축역은 서울교통..
[t DAY] 7월12일 (1985년 7월12일, 서울지하철 3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85년 7월12일, 서울지하철 3호선 1단계 구간인 구파빌~독립문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서울지하철 3호선 1단계 구간인 구파발~독립문간 8km의 서북부 구간이 이날 개통되어 새벽 5시부터 정식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서울지하철 3호선 서북부 구간의 개통으로 불광동과 녹번동, 홍제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5시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4시00분까지 운행하는 서울지하철 3호선 1단계 구간은 하루 운행횟수인 224회를 운행하고 10분간격으로 운행한다. 심도가 깊은 독립문역에는 승강장에 에스컬레이터 2대가 설치되었다. 3호선 전동차는 경수선과 중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 수리가 가..
[t DAY] 7월2일 (1999년 7월2일, 서울지하철 8호선 2단계 구간 개통) 1999년 7월2일, 서울지하철 8호선 2단계 구간인 암사~잠실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잠실역까지만 운행했던 8호선 전동차가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역까지 운행을 개시하면서 천호동과 암사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영파여자고등학교로 통학하는 여고생들의 통학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2단계 구간인 암사~잠실간 4.6km의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서울지하철 8호선의 운행 거리도 17.7km로 확장되었으며, 천호역에서는 서울지하철 5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8호선 전동차는 1인승무운영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하고 자동운전이 가능한 직류전용 전동열차가 운행한다. 서울지하철 8호선은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05시30분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4시..
[특별기획] 불운의 배구선수 조성훈이 프로배구 무대에서 살아남지 못한 이유? 배구이야기가 준비한 특별기획에서는 프로배구 무대에서 살아남지 못한 불운의 배구선수 조성훈의 안타까운 사연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으로 분석하겠습니다. 불운의 배구선수로 프로배구 무대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던 조성훈은 불운의 배구선수 전창희와 함께 지난 2006년 12월에 열린 2006~2007시즌 프로배구 남자부 신인 드래프트에서 남자프로배구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에 입단하게 됩니다. 조성훈은 지난 2007년 3월에 종료된 2006~2007시즌 프로배구 남자부 경기에서 삼성화재 배구단의 정규리그 우승과 챔피언결정전 준우승에 일조하고 2008년 4월에 종료된 2007~2008시즌 프로배구 남자부 경기에서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의 남자부 정규리그 우승과 남자부 챔피언결정전 통합우승에 일조합니다. 그러나..
[t DAY] 7월1일 (2009년 7월1일, 수도권전철 경의선 1단계 구간 개통) 2009년 7월1일, 수도권전철 경의선 1단계 구간인 문산~디지털미디어시티~서울역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한국철도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하여 광역전철로 다시 재건설하는 경의선 광역전철은 1단계 구간인 문산~디지털미디어시티~서울역간 46.3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전철이 경기도 파주시까지 확장되었으며, 경의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샘터마을, 소만마을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대곡역에서는 수도권전철 3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는 서울지하철 6호선 및 인천국제공항철도로 환승할 수 있다. 경의선 광역전철은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2단계 구간인 디지털미디어시티~공덕~용산 구간이 2012년 하..
[t DAY] 7월1일 (2012년 7월1일, 의정부경전철 전 구간 개통) 2012년 7월1일, 의정부경전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수도권전철 최초의 경전철 노선으로 신설된 의정부경전철 전 구간의 개통으로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본격적인 경전철시대가 시작되었으며, 의정부경전철 전 구간은 발곡~탑석간 10.6km의 고가도로 구간을 무인 자동운전 방식의 고무차륜 경전철이 운행하고 안내 등에 사용되는 색은 서울지하철 3호선이 사용하는 도색인 주황색을 사용한다. 의정부경전철이 통과하는 회룡역에서는 수도권전철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경기도 의정부시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의정부경전철은 의정부시 주민들의 수요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의정부경전철이 적자누적을 더 이상 감당하지 못해 의정부경전철이 2017년 5월26일부로 법원으..
[t DAY] 6월30일 (2006년 6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진위역·지제역 개통) 2006년 6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진위역과 지제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진위역은 오산역과 송탄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신설되었으며, 이번에 개통된 지제역은 서정리역과 평택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평택시 지제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수도권전철 1호선이 통과하는 진위역과 지제역은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만 정차하며,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5시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4시30분까지 10~15분간격으로 운행한다. 진위역과 지제역에 정차하는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의 하루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 140회, 일요일·공휴일 112회를 운행하며, 진위역에서 일반 전철을 타고 ..
[t DAY] 6월30일 (1999년 6월30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99년 6월30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인 호포~서면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91년 11월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7년7개월만에 완공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인 호포~서면간 21.7km의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부산광역시 북구, 사상구, 부산진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호포역 인근에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무를 담당하기 위해 호포승무사업소를 신설하여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무원 중 절반 이상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의 개통요원으로 차출했다. 종점인 서면역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호포역 인근에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전동차의 경수선과 중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 수리가 가능한 호포차량사업소를 신..
[t DAY] 6월30일 (2012년 6월30일, 수도권전철 수인선 1단계 구간 개통) 2012년 6월30일, 수도권전철 수인선 1단계 구간인 오이도~송도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수도권전철 수인선의 1단계 구간인 오이도~송도간 13.1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과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복선전철로 설계된 수인선 1단계 구간인 시점인 경기도 시흥시 오이도역을 출발하여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역까지 교류전용 사양의 351000번대 전동차가 운행한다. 수인선의 시점인 오이도역에서는 서울지하철 4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원인재역에서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수인선 전동차는 중정비를 타 노선 차량기지에서 시행하기 때문에 한국철도공사 4호선 시흥차량사업소에서 경정비와 중정비를 담당하고 있으며, 현..
[특별기획] 비운의 리베로 이강주의 악연으로 끝난 비참한 배구인생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프로배구 선수 중 비운의 리베로라는 악명을 얻은 이후 악연의 악순환을 끊지 못하고 비참한 배구인생을 끝낸 이강주 선수의 안타까운 배구인생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프로배구 선수 중 비운의 배구선수로 악명을 떨치지 못한 이강주 선수는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배구를 시작하여 서울 인창중고등학교와 경기대학교를 거쳐 지난 2005년 11월에 2005~2006시즌 프로배구 남자부 신인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1순위로 삼성화재에 지명됩니다. 그러나 이강주는 인창고등학교 시절 185cm의 단신 공격수로 활약할 때 여오현처럼 탄력이 좋은 공격수로 장래성을 높게 평가받았지만 경기대학교로 진학할 때 이경석 경기대학교 감독은 이강주를 리베로로 전향시키는 조치를 내..
잠실역 광역환승센터 운영현황(2020. 6. 26일부터) 1번승강장(하남방향)- 9302(경기상운/하남BRT환승센터↔잠실역 광역환승센터) 2번승강장(평내동, 호평동방향)- 1000(경기운수/호평동↔잠실역 광역환승센터)/1000-1(경기운수/호평동↔잠실역 광역환승센터), M2323(경기고속/호평동↔잠실역 광역환승센터)/M2352(대원운수/평내동↔잠실역 광역환승센터) 3번승강장(다산동방향)- 1003(대원운수/다산동↔잠실역 광역환승센터)/M2353(대원운수/다산신도시↔잠실역 광역환승센터) 4번승강장(화도읍방향)- 1200(대원운수/화도읍↔잠실역 광역환승센터) 5번승강장(차산리방향)- M2316(경기고속/차산리↔잠실역 광역환승센터) 6번승강장(대성리방향)- 8002(대원운수/대성리↔잠실역 광역환승센터)/M2341(대원운수/대성리↔잠실역 광역환승센터) 7번승강장(광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