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20)
[특별기획] 시민들의 인생을 싣고 달리는 강남권 도심의 간선버스, 서울시내버스 143번의 의미있는 사연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서울 시내버스 중 최다 이용객을 자랑하고 시민들의 인생을 싣고 달리는 강남권 도심의 간선버스, 서울시내버스 143번의 의미있는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정릉과 개포동을 오가는 서울시내버스 143번은 대진여객 정릉영업소 본사에서 관리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서울특별시 성북구에서 강남구로 넘어가는 세번째 간선버스 노선인 만큼 서울시내버스 중 최다 이용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과거 시절 대진운수가 운영했던 도시형버스 710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사용되었지만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지금의 간선버스 143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강북 도심 지역에서 강남권 도심을 연결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되고 ..
[ t DAY] 12월1일 (2018년 12월1일, 서울지하철 9호선 3단계 구간 개통) 2018년 12월1일, 서울지하철 9호선 3단계 구간인 종합운동장~중앙보훈병원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지난 2018년 10월7일부터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했던 3단계 구간인 종합운동장~중앙보훈병원간 9.2km의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그동안 종합운동장역까지 운행했던 9호선 전동차가 서울특별시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게 되었으며, 삼전역과 석촌고분역, 석촌(한솔병원)역, 송파나루역, 한성백제역, 올림픽공원(한국체대)역, 둔촌오륜역, 중앙보훈병원역을 비롯한 8개 역이 신설되었다. 석촌(한솔병원)역에서는 서울지하철 8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올림픽공원(한국체대)역에서는 서울지하철 5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9호선의 일반 전철은 개화역에서 중앙보훈병원역까지 모든 역에 ..
[t DAY] 12월1일 (2012년 12월1일, 수도권전철 분당선 5단계 구간 개통) 2012년 12월1일, 수도권전철 분당선 5단계 구간인 기흥~망포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2006년 12월22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6년만에 완공된 분당선 5단계 구간인 기흥~망포간 7.3km의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영통신도시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동안 기흥역까지만 운행했던 분당선 전동차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 있는 망포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분당선 전동차가 망포역까지 연장 운행을 하게 되었다. 망포역은 기흥역과 함께 급행 전철과 일반 전철의 완급결합을 위해 쌍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되었다.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6단계 구간인 망포~수원 구간은 오는 2013년 하반기에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공사가 진행중인 분당선 6단계 구간인 망포..
[t DAY] 11월30일 (2001년 11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도화역 개통) 2001년 11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도화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도화역은 주안역과 제물포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과 인천광역시가 주안역과 제물포역 사이에 도화역을 신설하는 합의를 마무리하여 이날 새벽 5시부터 영업을 시작했으며, 쌍섬식 승강장으로 신설된 도화역은 서울에서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만 정차하는 도화역은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5시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4시30분까지 운행한다. 현재 용산역과 부평역을 오가는 급행 열차가 운행중인 경인2복선 2단계 구간인 부평~주안 구간은 오는 ..
[t DAY] 11월30일 (2013년 11월30일, 수도권전철 분당선 전구간 개통) 2013년 11월30일, 수도권전철 분당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2006년 12월22일에 착공을 시작하여 7년만에 완공된 분당선 6단계 구간인 망포~수원간 6.1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총길이 53km의 분당선 전 구간이 모두 완성되었으며, 분당선 전 구간의 개통을 계기로 경기도 수원시에서 본격적으로 지하철시대가 시작되었다.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5시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4시40분까지 운행하는 분당선 왕십리~수원 구간은 분당선 전동차를 타고 왕십리에서 수원까지 빠르게 이동할 경우 85분이 소요된다. 분당선은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대에 급행 전철을 추가로 투입하여 일반 전철과 급행 전철을 1대 1로 운행하는 방식을 적용했으며, 분당선 전 구간의 개통..
[t DAY] 11월30일 (2011년 11월30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 개통) 2011년 11월30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은 서울역과 홍대입구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인천국제공항철도 이용 승객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신설되었으며, 신설된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은 서울지하철 5호선과 6호선, 경의·중앙선 전철로 환승할 수 있다. 새로 신설된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은 공항철도 2000번대 전동차가 정차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직통열차로 운행하는 1000번대 교류전용 전동열차와 일반열차로 운행되는 2000번대 교류전용 전동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공항철도 2000번대 전동차를 타고 서울역에서 인천국제공항역까지 이동할 경우 65분 이내에 주파할 수 있다.
[t DAY] 11월28일 (2005년 11월28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전 구간 개통) 2005년 11월28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1997년 11월25일에 착공을 시작하여 8년만에 개통되면서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어려운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북구, 동래구, 연제구, 수영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브라운 컬러를 도색으로 사용하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배차간격은 러시아워 출퇴근시간대 5분, 평상시 7분간격으로 운행하고 4량편성의 중형 전동차가 운행한다. 전동차의 경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을 위한 대저차량사업소가 신설되고 대저역 구내에는 부산교통공사 3호선 승무를 담당하기 위해 대저승무사업소를 신설했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덕천역과 수영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으로 환승할 수..
[특별기획] 노량진 블루스의 대표노선, 서울시내버스 9408번의 고달픈 일상이 있는 스토리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역을 연결하는 노량진 블루스의 대표노선, 서울시내버스 9408번의 고달픈 일상이 있는 스토리를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서울시내버스 9408번을 타고 통근하는 사람들의 애환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노량진 블루스의 대표노선으로 주목받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9408번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남성버스 구미동영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준심야버스의 광역버스 노선으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을 출발하여 오리역과 무지개마을 단지, 하얀마을 단지, 오리초등학교, 미금초등학교, 까치마을 단지, 헬스케어혁신파크, 정든마을 단지, 한솔마을 단지, 푸른마을 단지, 샛별마을 단지, 효자촌 단지와..
[t DAY] 11월26일 (1997년 11월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97년 11월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진천~중앙로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91년 12월7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6년만에 완공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진천~중앙로간 10.3km의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대구광역시에서도 본격적인 지하철시대가 시작되었으며, 대구광역시 달서구와 남구, 중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금적색을 사용하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전동차는 1인승무운영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하고 자동운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ATC/ATO 신호장치를 사용하여 열차의 안전운행을 도모했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2단계 구간인 중앙로~안심 구간이 1998년 5월에 개통되면 전동차가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
[t DAY] 11월23일 (1996년 11월23일, 서울지하철 8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96년 11월23일, 서울지하철 8호선 1단계 구간인 잠실~모란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90년 12월29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6년만에 완공된 서울지하철 8호선 1단계 구간인 잠실~모란간 13.1km의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경기도 성남시에서도 본격적인 지하철시대가 시작되었으며, 핑크색을 도색으로 사용하는 서울지하철 8호선은 국내 도시철도 노선 중 6량편성으로 운행하는 전동차를 도입했다. 잠실역에서는 서울지하철 2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복정역과 모란역에서는 수도권전철 분당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8호선 전동차는 1인승무운영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하고 자동운전 방식을 사용하는 ATC/ATO 신호를 사용한다. 8호선 전동차는 경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을 위한 모란차량사업소를 신..
[t DAY] 11월22일 (1999년 11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당산철교 재개통) 1999년 11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당산철교가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재개통되었다. 지난 1980년 2월26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1983년 12월에 완공된 서울지하철 2호선 당산철교는 심한 균열 문제와 붕괴위험으로 인해 1994년 12월에 전면 재시공이 결정된 이후 1996년 12월31일을 끝으로 다음날인 1997년 1월1일부터 재건설을 시작했으며, 당산철교 재건설 기간으로 인해 합정역과 당산역을 연결하는 구간이 단절되면서 서울지하철 2호선이 당산~신도림~사당~잠실~성수~을지로입구~시청~충정로~홍대입구~합정 구간을 한시적으로 운행했다. 1997년 1월1일부터 재건설을 시작하여 2년11개월만에 완공된 당산철교는 진흥기업, 현대중공업이 공동으로 시공하여 1999년 11월15일부터 1주일간 종합 시험..
[특별기획] 부동의 세터에서 배구 지도자로 새로운 출발을 결정하는 이효희의 토스의 법칙과 지도자의 이중생활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현역시절 국가대표 부동의 세터로 활약하다가 올해부터 배구 지도자로 새로운 출발을 결정했던 이효희가 보여줄 수 있는 토스의 법칙과 지도자의 이중생활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V리그 여자부 경기에서 부동의 세터로 활약했던 이효희는 수원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중인 1991년 3월부터 배구를 시작하여 수일여중과 한일전자산업여자고등학교, 대덕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지난 2000년 12월 KT&G 여자배구단의 세터로 입단했습니다. 배구선수 이효희는 173cm의 단신에도 불구하고 V리그 코트에서 야전사령관으로 활약하여 올해에 현역 은퇴를 결정할 때까지 부동의 세터로 활약했습니다. 이효희가 과거 시절부터 몸을 담은 KT&G 여자배구단은 2004년 10월부터 프..
[t DAY] 11월15일 (1995년 11월15일, 서울지하철 5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95년 11월15일, 서울지하철 5호선 1단계 구간인 왕십리~상일동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90년 6월27일에 착공을 시작하여 5년5개월만에 완공된 서울지하철 5호선 1단계 구간인 왕십리~상일동간 14.4km의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강동 지역 일대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국내 최초 자동운전 방식을 적용하는 서울지하철 5호선 전동차는 1인승무운영으로 무인운전이 가능하고 자동운전 방식으로 운행이 가능한 ATC/ATO 신호방식을 사용한다. 왕십리역에서는 서울지하철 2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광나루역과 천호역 사이에는 국내 최초 하저터널이 신설되었다. 5호선 전동차의 경수선과 중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 수리가 가능한 고덕차량사업소를 신설하고 답십리역 구내에는 서..
[특별기획] "코트 위의 여신" 한유미가 지배할 수 있는 배구 중계의 법칙과 진취적인 배구해설가의 품격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현역시절 프로배구 여자부 경기에서 "코트 위의 여신"으로 활약하다가 2년 전인 2018년 7월부터 KBSN스포츠 배구해설위원으로 발령을 받아 제2의 배구 인생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던 배구스타 한유미가 지배할 수 있는 배구 중계의 법칙과 진취적인 배구해설가의 품격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배구팬 여러분들도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진취적인 배구해설위원의 품격을 티스토리에서 만나봅니다. 현역시절 현대건설 여자배구단에서 공격형 윙스파이커의 레프트공격수로 활약했던 한유미는 부모님과 2녀 중 장녀로 프로배구 선수로 활약하는 동생인 배구스타 한송이와 V리그의 자매로 배구팬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녀는 오산 성호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중인 1992년 7..
[특별기획] "아저씨 리더십"으로 프로배구를 지배하는 차상현 감독의 진취적인 이중생활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현재 여자프로배구 GS칼텍스 서울 Kixx 배구단에서 감독으로 팀을 지휘하는 차상현 감독의 진취적인 이중생활과 "아저씨 리더십"으로 프로배구를 지배하는 그의 배구이야기를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배구 지도자 중 경상도 사투리를 구사하는 차상현 감독은 울산광역시 출신의 배구 지도자로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중인 1984년부터 배구를 시작하여 울산 중앙중학교와 마산 중앙고등학교, 경기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대통령배 배구대회와 한국배구 슈퍼리그 대회에서 아웃사이드 히터의 수비형 레프트공격수로 활약했습니다. 경기대학교 배구단에서 왼쪽 공격수로 활약했던 그는 지난 1996년 11월 삼성화재 남자배구단에 입단하여 삼성화재 남자배구단에서 아웃사이드 히터의 수비..
[t DAY] 11월1일 (2006년 11월1일, 수도권전철 1호선 경기도 이북구간 시운전 진행) 2006년 11월1일, 한국철도공사는 수도권전철 1호선 의정부~소요산 구간의 개통을 대비하기 위해 수도권전철 1호선 경기도 이북구간인 의정부~소요산 구간의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수도권전철 1호선의 경기도 이북구간인 의정부~소요산 구간의 시운전을 진행했으며, 의정부~소요산 구간의 시운전을 진행하는 동안 수도권전철 1호선 구간의 경부선 청량리~천안 구간의 일부 열차 운행 시간도 조정했다. 시운전이 진행되고 있는 경기도 이북구간인 의정부~소요산 구간은 오는 2006년 12월 중순에 개통되면 수도권전철이 경기도 양주시를 거쳐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소요산역까지 연장 운행될 예정이다. 수도권전철 1호선의 경기도 이북구간 중 의정부~동두천 구간은 복선전철로 운영되지만 동두..
[t DAY] 10월31일 (2015년 10월31일,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야당역 개통) 2015년 10월31일,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야당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야당역은 운정역과 탄현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운정신도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한국철도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를 결정하고 야당역을 신설하게 되었으며,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야당역은 급행 전철이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경의·중앙선의 일반 전철만 정차한다. 그러나 경의·중앙선이 운정신도시 도심을 통과하지 않는 특징이 있어 운정신도시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경기도 파주시와 파주시청은 운정신도시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대화역까지만 운행되고 있는 서울지하철 3호선을 운정신도시 도심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t DAY] 10월31일 (1980년 10월31일, 서울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80년 10월31일, 서울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인 종합운동장~성수~신설동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서울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인 종합운동장~성수~신설동간 14.3km의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잠실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종합운동장역과 신천(現 잠실새내)역, 잠실역, 성내(現 잠실나루)역, 강변역, 구의역, 화양(現 건대입구)역, 성수역, 용답역, 신답역, 신설동역을 비롯한 11개 역이 신설되었다. 잠실역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지하 상가가 신설되었으며, 서울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의 종점인 신설동역에서는 지하철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전두환 前 대통령을 비롯한 여러 각하 내외분들은 종합운동장역에서 열린 서울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 ..
[대기획] 서울시 최장거리 광역버스, 서울시내버스 9711번이 공감할 수 있는 이중생활과 버스의 정석 버스이야기가 새로 선보이는 대기획에서는 최근 서울특별시에서 운영하는 광역버스 노선 중 서울시 최장거리의 광역버스 노선으로 인가거리 100km의 신기록을 돌파했던 서울시내버스 9711번이 공감할 수 있는 이중생활과 서울시내버스 9711번이 보여줄 수 있는 버스의 정석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 첫 페이지로 만나봅니다.  서울시 최장거리 광역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9711번은 서울운수 킨텍스영업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노선으로 준심야버스로 운행하기 때문에 새벽 2시 이후까지 대리운전기사들의 셔틀버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운수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9711번은 인가거리 100km의 대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시 최장거리 광역버스 노선인 만큼 이 노선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특별기획] "산본신도시 주민들의 발" 서울시내버스 541번이 우면산터널을 통과하는 이유는?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산본신도시 주민들의 발"로 서울시내버스 최초로 우면산터널을 통과하여 화제가 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541번이 우면산터널을 통과하는 이유를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산본신도시와 강남 도심을 연결하는 서울시내버스 541번은 우신버스 군포공영차고지 본사에서 관리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준심야버스도 동시에 운행하기 때문에 대리운전기사들의 셔틀버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서울시내버스 541번은 군포공영차고지 출발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4시10분, 막차가 밤 23시20분에 출발하고 회차 구간인 신분당선 강남역에서 첫차가 새벽 05시25분, 막차가 다음날 밤 24시40분에 출발합니다. 서울시내버스 541번의 막차는 ..
[t DAY] 10월30일 (1993년 10월30일, 서울지하철 3호선 4단계 구간 개통) 1993년 10월30일, 서울지하철 3호선 4단계 구간인 양재~수서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9년 12월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4년만에 완공된 양재~수서간 7.5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그동안 양재역까지만 운행했던 3호선 전동차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게 되었으며, 심도가 깊은 도곡역과 대치역, 학여울역에는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했다. 이 구간의 개통으로 도곡동과 대치동, 일원동, 수서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학여울역에는 국내 최초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승객의 편의를 도모했다. 故 김영삼 前 대통령을 비롯한 각하 내외분들은 서울지하철 3호선 수서역에서 열린 서울지하철 3호선 4단계 구간 개통식에 ..
[t DAY] 10월28일 (2011년 10월28일, 수도권전철 신분당선 1단계 구간 개통) 2011년 10월28일, 수도권전철 신분당선 1단계 구간인 강남~정자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신분당선은 분당선을 이용하는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BTO 방식의 광역철도로 건설되었으며, 2005년 6월24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6년4개월만에 강남~정자간 17.3km의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강남대로 주변 지역의 교통난을 해소하고 판교신도시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강남역에서는 지하철 2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양재(서초구청)역에서는 지하철 3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정자역에서는 분당선 전철로 환승할 수 있다. 신분당선은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2단계 구간인 정자~광교 구간이 오는 2015년 하반기에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V리그 특별기획] 배구스타 이선규가 지배할 수 있는 블로킹 높이와 진취적인 속공의 기술 배구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V리그 남자부 최초 1000블로킹의 대기록을 달성하여 한국 프로배구 V리그에서 베테랑 미들블로커로 활약했던 배구선수 이선규가 지배할 수 있는 블로킹 높이와 진취적인 속공의 기술을 배구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배구스타 이선규는 부모님과 3형제 중 막내로 서울 대신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1996년 10월부터 배구를 시작하여 문일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를 거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이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체육교육학과를 전공했으며, 스파이크높이 341cm, 블로킹 높이 337cm, 서전트점프 90cm를 갖춘 최고급 센터로 V리그 코트에서 부동의 센터로 활약했습니다. 202cm의 큰 키를 갖춘 장신 센터 이선규는 국내 프로배구 남자부 최초로 ..
[t DAY] 10월27일 (2012년 10월27일, 서울지하철 7호선 4단계 구간 개통) 2012년 10월27일, 서울지하철 7호선 4단계 구간인 온수~부평구청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2005년 9월13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7년1개월만에 완공된 서울지하철 7호선 4단계 구간인 온수~부평구청간 10.2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경기도 부천시에서도 본격적인 지하철시대가 시작되었으며, 까치울역과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상동역, 삼산체육관역, 굴포천역, 부평구청역을 비롯한 9개 역이 신설되었다. 온수~상동 구간은 단선병렬터널로 설계되었으며, 그동안 온수역까지만 운행했던 7호선 전동차가 부평구청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7호선 전동차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구청역까지 연장 운행을 하게 되었다. 온수~부평구청 구간의 배차간격은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V리그 특별기획] 남자프로배구 최초 고졸 프로배구 선수 정지석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프로와 이중생활 배구이야기가 2020~2021시즌 프로배구 개막과 도드람 2020~2021 V리그 특집을 맞이하여 특별하게 준비하는 V리그 특별기획에서는 프로배구 남자부에서 사상 처음으로 고졸 프로배구 선수의 서막을 열었던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의 공격형 윙스파이커 정지석이 가장 공감할 수 있는 프로에 관련된 이중생활을 V리그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배구스타 정지석은 2013년 7월1일부로 프로배구 남자부에서 고졸 프로배구 선수 영입이 본격적으로 적용된 이후 지난 2013년 8월12일에 종료된 2013~2014시즌 프로배구 남자부 신인 드래프트에서 고졸 배구선수 최초로 남자프로배구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에 입단하여 195cm의 큰 키를 갖춘 타점 높은 공격력과 프로 적응에 대한 기본기까지 보유하고 남자프로배구 최초로 고졸..
[V리그 특별기획] 배구스타 장지원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행복배구와 그의 프로배구 이야기 배구이야기가 프로배구 2020~2021시즌인 도드람 2020~2021 V리그 개막을 맞이하여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V리그 특별기획에서는 최근 고졸 프로배구 선수로 서울 우리카드 위비 프로배구단에서 같은 포지션의 리베로 이상욱과 함께 주전 리베로로 맹활약하고 있는 배구스타 장지원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행복배구와 그의 프로배구 이야기를 배구이야기의 V리그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고졸 프로배구 선수를 넘어 배구스타로 발돋움하고 있는 우리카드의 작은 거인 장지원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그의 프로배구 이야기를 V리그 특별기획에서 만나봅니다. 장지원은 지난해 9월16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리베라호텔에서 열린 2019~2020시즌 프로배구 남자부 신인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5순위로 남자프로배구 서울..
[t DAY] 10월25일 (1988년 10월25일, 수도권전철 안산선 개통) 1988년 10월25일, 수도권전철 안산선 금정~안산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금정~안산간 19.5km를 연결하는 안산선은 경기도 안산시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신설되었으며, 금정역과 대야미역, 반월역, 상록수역, 한대앞역, 중앙역, 안산역이 신설되었다. 안산역 인근에는 전동차의 경수선이 가능하고 전동차의 유치, 점검을 위한 안산차량사업소가 신설되었으며, 수도권전철 안산선 구간에 터널 4개가 신설되었다. 대야미역과 반월역, 한대앞역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설계되었으며, 금정역과 상록수역, 중앙역, 안산역은 쌍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되었다. 안산선은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5시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4시30분까지 운행하며, 수도권전철 1호선의 지선..
[t DAY] 10월25일 (2014년 10월25일, 수도권전철 경의선 강매역 개통) 2014년 10월25일, 수도권전철 경의선 강매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신설된 강매역은 소만마을 주민들과 서정마을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와 덕양구청이 강매역 재신설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서정마을 개발과 역 폐지에 반발한 인근 주민들의 항의가 빗발치면서 결국 한국철도공사가 강매역 재신설을 결정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강매역은 2013년 7월10일에 착공하여 1년3개월만인 이날 아침부터 수도권전철의 전철역으로 재개통된 이후 소만마을 주민들과 서정마을 주민들의 통근수요가 꾸준히 늘어났으며,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전철역으로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여 오늘에 이른다.
[특별기획] 서울시내버스 148번이 압구정동 도심과 방배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은?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번동을 출발하여 수유역과 미아사거리, 경동시장, 압구정역, 신사역8번출구(가로수길), 고속터미널, 반포뉴타운, 방배동 골목길을 거쳐 방배동에서 끝나는 서울시내버스 148번이 압구정동 도심과 방배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들을 한번 살펴보고 서울시 간선버스 148번이 압구정동과 신사동, 논현동, 반포뉴타운, 방배동 방배중앙로의 골목길 구간들을 통과하는 사연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서울시내버스 148번은 한성운수 번동차고지에서 관리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인가 거리가 44.6km에 이르지만 하행(방배동방향)의 시점인 북부수도사업소에서 출발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148번의 ..
[대기획] 한국 프로배구 최고의 V리그 외국인 선수 숀 루니가 지배하는 진취적인 한국배구 성공기 배구이야기가 새로 선보이는 대기획 첫 페이지 시간에서는 과거 시절부터 지금까지 한국 프로배구 최고의 V리그 코트를 지배하여 V리그 코트에서 외국인 선수의 진취적인 한국배구 성공기를 이끌었던 한국 프로배구 최고의 V리그 외국인 선수 숀 루니가 지배하는 진취적인 한국배구 성공기 과정을 배구이야기 대기획의 첫 페이지에서 만나봅니다. 2013년 10월부터 2014년 봄까지 한 시즌간 서울 우리카드 위비 프로배구단에서 공격형 윙스파이커로 활약한 경력이 있는 외국인 선수 숀 루니는 토마스에디슨중학교 3학년 때부터 배구를 시작하여 위튼사우스고등학교와 페퍼다인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배구를 시작하기 전까지 골프와 비치발리볼을 시작하고 2003년 8월에 대구광역시에서 열린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올림픽 남자부 준결승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