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tro News

(252)
[t DAY] 3월30일 (2024년 3월30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노선 1단계 구간 개통) 2024년 3월30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1단계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1단계 구간인 33.1km의 장거리 구간이 개통되면서 경기도 화성시에 지하철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을 시작했으며, 수서역과 성남역, 동탄역이 신설되면서 분당신도시 주민들과 동탄제2신도시 주민들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열차를 타고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1단계 구간의 개통으로 동탄제2신도시까지 확장된 서울 통근권의 수도권 주민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된 수서역 승강장은 동탄 방향 앞쪽 부근에 열차가 중간에 회차할 수 있는 Y선 회차 선로가 신설되었다.  시점인 수서역에서는 서..
[t DAY] 3월30일 (2024년 3월30일, 수도권전철 경강선 성남역 개통) 2024년 3월30일, 수도권전철 경강선 성남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한국철도공사는 수도권전철 경강선을 이용하기 어려운 분당신도시 주민들과 동판교 지역 주민들의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판교역과 이매역 사이에 성남역 신설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성남역이 신설되면서 판교역과 이매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분당신도시의 아름마을 주민들과 이매촌에 거주하는 아파트 단지 주민들, 동판교 지역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아파트 단지 주민들의 불편사항들을 해소할 수 있었다.  성남역은 이날 개통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경강선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노선을 환승할 수 있으며, 승객의 편의를 위해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승객들이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승객들의..
[t DAY] 12월16일 (2023년 12월16일|수도권전철 1호선 연천 연장 구간 개통) 2023년 12월16일, 수도권전철 1호선이 경기도 비수도권 지역인 연천군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연천군 군 부대 주변 군인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그동안 소요산역까지만 운행했던 1호선의 일부 전동열차가 경기도 비수도권 지역인 연천군의 연천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동두천~연천간 20.2km의 연장구간이 수도권전철의 광역전철 구간 중 단선으로 개통되었으며, 25000V의 교류구간으로 설계된 단선 구간의 동두천~연천 구간은 소요산역, 청산역이 상대식 승강장으로 설계되고 전곡역, 연천역은 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되었다. 그리고 승객의 안전을 위해 소요산역과 청산역, 전곡역, 연천역에 승강장 안전문이 설치되었으며,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여 승객들이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승객의..
[t DAY] 8월26일 (2023년 8월26일|광역전철 서해선, 경의중앙선 일산역까지 연장 운행 개시) 2023년 8월26일, 광역전철 서해선이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경의·중앙선의 일산역까지 연장 운행을 본격적으로 개시하여 일산신도시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그동안 대곡역까지만 운행했던 서해선 전동차가 대곡역을 넘어 곡산역과 백마역, 풍산역을 거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경기도 고양시의 일산신도시 주민들이 서해선 전동차를 타고 김포공항역에서 9호선으로 환승하여 9호선 급행열차를 타고 여의도, 강남 도심으로 출퇴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일산역 인근 회차 선로는 서해선 전동열차의 주박 선로로 사용되며, 391000번대 교류전용 전동열차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역을 출발하여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역까지 1시간20분 이내에 주파할 수 ..
[t DAY] 7월1일 (2023년 7월1일, 수도권전철 서해선 2단계 구간 개통) 2023년 7월1일, 수도권전철 서해선 2단계 구간인 소사~대곡간 18.3km의 연장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소사역까지만 운행했던 서해선 391000번대 교류전용 전동열차가 경기도 고양시의 대곡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경기도 고양시의 서북부 지역 주민들과 부천시 오정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서울의 김포국제공항을 통과하는 서해선 광역전철 2단계 구간은 김포공항~능곡 구간에 한강 하부를 통과하는 하저터널이 신설되면서 경기도 고양시 서북부 지역 주민들이 9호선 김포공항역으로 환승하여 9호선의 급행열차를 타고 여의도, 강남 도심으로 출퇴근할 수 있게 되었다. 쌍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된 대곡역에는 4개의 주박 선로가 신설되었으며, 원종역은 쌍섬식 승강장으..
[t DAY] 2월29일 (1996년 2월29일, 서울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신정네거리역 개통) 1996년 2월29일, 서울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의 신정네거리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지하철을 이용하기 어려운 신정동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1990년 12월부터 신정지선 연장 구간 착공을 시작했으며, 지난 1995년 하반기에 신정지선 연장 구간인 양천구청~신정네거리 구간의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하여 이날 새벽 05시30분부터 6량편성의 전동열차가 신정네거리역에서 첫차로 운행을 개시할 수 있었다. 현재 시운전이 진행되고 있는 신정지선 신정네거리~까치산 구간은 늦어도 서울지하철 5호선 2단계 구간이 개통되는 1996년 3월 하순에 개통될 예정이며, 신정지선이 까치산역까지 연장되면 신정지선의 종점인 까치산역에서 2호선과 5호선으로 환승할..
[t DAY] 2월29일 (2000년 2월29일, 서울지하철 7호선 2단계 구간 개통) 2000년 2월29일, 서울지하철 7호선 2단계 구간인 신풍~온수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93년 12월부터 착공을 시작한 서울지하철 7호선 2단계 구간인 신풍~온수간 9.2km의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대림동과 가산동,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과 광명동, 철산동, 온수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대림(구로구청)역에서는 지하철 2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고 가리봉(現 가산디지털단지)역과 온수역에서는 수도권전철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경기도 광명시 구간을 통과하는 서울지하철 7호선 2단계 구간은 신풍역과 대림(구로구청)역, 남구로역, 가리봉역, 철산역, 광명사거리역, 천왕역, 온수역이 신설되고 철산역과 광명사거리역의 개통과 함께 경기도 광명시에 지하철시대가 본격적..
[t DAY] 1월1일 (2022년 1월1일|서울지하철 7호선 4단계 구간, 인천교통공사로 전면 이관) 2022년 1월1일, 서울지하철 7호선 4단계 구간인 온수~부평구청 구간이 서울교통공사에서 인천교통공사로 전면 이관되었다.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는 최근 서울교통공사가 누적적자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서울지하철 7호선 4단계 구간인 온수~부평구청 구간을 인천교통공사에 이관하기 위해 지난 2021년 12월1일에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가 서울지하철 7호선 4단계 구간을 인천교통공사에 이관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했으며, 전동차 운영과 전동차 운행은 서울교통공사에서 관리하지만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 등 두 양사간의 협의를 통해 수립되면서 서울지하철 7호선 4단계 구간인 까치울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신중동역, 부천시청(부천아트센터)역, 상동..
[t DAY] 12월26일 (2019년 12월26일|서울지하철 7호선 용마산역, 용마폭포공원 이용객의 편의를 고려하여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19년 12월26일, 서울지하철 7호선 용마산역이 용마폭포공원 이용객의 편의를 고려하여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용마산(용마폭포공원)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지하철 7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운행을 시작한 용마산역은 면목동 주민들과 중곡동 주민들의 통근수요가 매우 많은 전철역으로 인근에 면목도시개발아파트가 있으며, 용마산으로 향하는 등산객들의 수요가 매우 높은 용마산역은 용마산 인근에 용마폭포공원이 개장되면서 용마폭포공원으로 나들이를 향하는 이용객들의 교통편의를 고려하여 지난 2019년 12월 중순에 서울교통공사와 중랑구청이 용마산역 병기 역명 사용에 대한 협의를 완료하고 이날 새벽 4시부터 병기 역명 사용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서울..
[t DAY] 10월21일 (2010년 10월21일|서울지하철 7호선 공릉역, 대학교 교명 변경으로 인한 대학교 병기 역명 재지정) 2010년 10월21일, 서울지하철 7호선 공릉역이 서울산업대학교의 대학교 교명 변경으로 대학교 병기 역명을 재지정하게 됨에 따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장의 권고 사항을 고려하여 병기 역명을 공릉(서울과학기술대학교)역으로 재지정했다. 서울지하철 7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운행을 개시한 공릉역은 서울산업대학교를 병기 역명으로 사용하여 서울산업대학교로 통학하는 대학생들과 공릉동 주민들의 통근수요가 늘어나면서 8량편성으로 운행하는 7호선 전동차가 이 역에 정차하게 되었으며, 서울산업대학교가 2010년 10월1일부터 서울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게 됨에 따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장이 서울도시철도공사 관계자들을 만나 공릉역의 대학교 병기 역명 재지정 권고 사항을 요구하여 서울도시철도공사(現 서울교통공사..
[t DAY] 9월1일 (2022년 9월1일|서울지하철 4호선 명동역, 우리금융그룹과 함께 협의하여 우리금융타운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22년 9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 명동역이 우리금융그룹과 함께 협의하여 우리금융타운의 명동역 병기 역명 사용을 승인하고 병기 역명을 명동(우리금융타운)역으로 재지정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2022년 8월에 정화예술대학교의 명동역 병기 역명 사용이 만료됨에 따라 명동역 병기 역명 사용을 위해 명동역 병기 역명 사용 대상자 중 금융 업체와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했으며, 명동역의 병기 역명 사용 최종 대상자가 우리금융타운으로 확정되면서 우리금융타운이 명동역의 병기 역명을 사용하게 되었다. 명동역의 병기 역명 사용 대상자로 나선 우리금융그룹 이순우 행장을 비롯한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들은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들을 만나 서울지하철 명동역의 병기 역명 사용 대상자로 직접 참여하여 명동역의 병기 역명 사용 대상자로 ..
[t DAY] 5월28일 (2022년 5월28일, 수도권전철 신분당선 3단계 구간 개통) 2022년 5월28일, 수도권전철 신분당선 3단계 구간인 강남~신사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2016년 8월30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6년만에 완공된 신분당선 3단계 구간인 신사~강남간 2.4km의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의 강남역사거리~신사역사거리 과밀(혼잡) 문제가 빠르게 해소될 수 있었으며, 새로 개통된 신논현역과 논현역, 신사역이 신설되면서 그동안 강남역까지만 운행했던 교류전용 사양의 신분당선 전동차가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여 역삼동, 서초동, 논현동, 신사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신분당선의 논현역은 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되고 신분당선의 신논현역과 신사역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설계되었다. 신논현역에서는..
[t DAY] 5월28일 (2022년 5월28일, 서울 경전철 신림선 전구간 개통) 2022년 5월28일, 서울 경전철 도시철도 신림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지난 2017년 2월3일에 착공을 시작하여 5년3개월만에 완공된 서울 경전철 도시철도 신림선은 지난 2021년 10월부터 개통을 위한 최종 점검을 진행했으며, 여의도의 샛강역과 서울대학교 인근 관악산역을 연결하는 총길이 7.8km의 단거리 구간이 개통되면서 시점인 샛강역을 포함하여 대방역, 서울지방병무청역, 보라매역, 보라매공원역, 보라매병원역, 당곡역, 신림(양지병원)역, 서원역, 서울대벤처타운역, 관악산(서울대)역을 비롯해 총 11개역이 신설되었다. 샛강역에서는 지하철 9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대방역에서는 수도권전철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보라매역에서는 서울지하철 7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고 신..
[t DAY] 3월19일 (2022년 3월19일, 서울지하철 4호선 6단계 구간 개통) 2022년 3월19일, 서울지하철 4호선 6단계 구간인 당고개~진접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2014년 12월10일에 착공을 시작한 서울지하철 4호선 6단계 구간인 당고개~진접간 14.9km의 연장구간은 지난 2021년 12월18일부터 3개월간 시운전을 실시하여 이듬해인 2022년 3월 중순에 개통되면서 진접역과 오남역, 별내별가람역이 신설되었으며, 그동안 당고개역까지만 운행했던 4호선의 일부 열차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 있는 진접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경기도 남양주시에 지하철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을 시작했다. 서울지하철 4호선 전동차가 경기도 남양주시의 진접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서울에서 경복대학교 남양주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t DAY] 3월1일 (2022년 3월1일|수도권전철 4호선 정왕역, 한국공학대학교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재개정) 2022년 3월1일, 수도권전철 4호선 정왕역이 한국공학대학교의 정왕역 병기 역명 재개정 명령에 따라 지금의 병기 역명을 정왕(한국공학대학교)역으로 재개정했다. 한국철도공사는 "한국산업기술대를 병기 역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수도권전철 4호선 정왕(한국산업기술대)역이 2022년 3월1일 첫차부터 지금의 병기 역명을 정왕(한국공학대학교)역으로 재개정한다"라고 소식을 알려왔다. 지난 2000년 7월28일 서울지하철 4호선 5단계 구간의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정왕역은 개통과 함께 병기 역명을 정왕(한국산업기술대)역으로 사용했으나, 한국산업기술대학교가 2022년 3월부터 한국공학대학교로 대학교 교명을 변경하게 됨에 따라 병기 역명을 정왕(한국공학대학교)역으로 재개정했으며, 최근에는 2020년 9월12일 수도권..
[t DAY] 12월28일 (2021년 12월28일, 동해선 광역전철 2단계 구간 개통) 2021년 12월28일,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영남 지역의 동해선 광역전철 2단계 구간인 일광~태화강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일광역까지만 운행했던 동해선 광역전철 전동차가 부산광역시와 기장군과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넘어 울산광역시의 태화강역으로 연장되면서 일광~태화강 구간의 35.8km의 연장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으며, 새로 신설된 좌천역, 월내역, 서생역, 남창역, 망양역, 덕하역, 개운포역, 태화강역에는 전동차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여 승객의 편의를 도모했다. 동해선 광역전철 2단계 구간이 새로 개통되면서 부산광역시의 기장군과 울산광역시의 울주군을 비롯해 울산광역시에서도 광역전철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을 시작했다. 동해선 광역전철 전동..
[t DAY] 12월26일 (2019년 12월26일|서울지하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19년 12월26일, 서울지하철 2호선과 4호선, 5호선의 환승역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이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동대문 디자인플라자를 이용하는 이용 승객의 편의를 위해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서울특별시 중구청이 지난 2019년 10월 중순부터 서울지하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동대문 디자인플라자를 이용하는 이용 승객의 편의를 고려하여 서울특별시 중구청과 협의를 거쳐 기존의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을 지금의 병기 역명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는 2009년 10월27일에 처음으로 개장을 시작한 이후 동대문역사문화공원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로 ..
[t DAY] 12월26일 (2013년 12월26일|서울지하철 4호선 수유역, 강북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13년 12월26일, 서울지하철 4호선 수유역이 서울특별시 강북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수유(강북구청)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수유역은 심야 유동인구가 많은 수유리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으로 강북멋쟁이들의 기착지로 사용되었으나, 서울특별시 강북구청이 4호선 수유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가 강북구청과 협의를 거쳐 지금의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수유(강북구청)역은 원래부터 반대편 승강장을 횡단할 수 있는 역으로 사용되었으나, 2009년 10월부터 게이트 방식이 변경되면서 현재는 반대편 승강장 횡단불가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반대편 승강장을..
[t DAY] 12월18일 (2021년 12월18일, 서울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 개통) 2021년 12월18일, 서울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복정역과 산성역 사이에 신설된 남위례역은 복정역과 산성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지역 주민들의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위례신도시 남부에 도시철도 전철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2019년 12월23일부터 착공을 시작한 남위례역은 1주일간의 종합 시험 운전을 거쳐 2년만에 이 역을 개통할 수 있게 되었다. 2년만에 완공된 남위례역은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반대편 승강장 횡단불가역으로 서울교통공사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남위례역에 정차하는 8호선 전동차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4분30초, 러시아워 퇴근시간대 6분, 평상시 8분30초 간격으로 운행한다. 토요일과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8분간격..
[t DAY] 12월18일 (2014년 12월18일|수도권전철 왕십리역, 성동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14년 12월18일, 서울지하철 2호선과 5호선,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의 환승역인 왕십리역이 서울특별시 성동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왕십리(성동구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와 서울도시철도공사(現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는 수도권전철 왕십리역을 이용하는 성동구 지역 주민들의 수요가 많이 늘어났으나, 성동구청을 이용하는 성동구 지역 주민들의 민원 사항과 성동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지금의 병기 역명인 왕십리(성동구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함에 따라 서울 자택에서 성동구청으로 출퇴근하는 공익근무요원들의 꾸준한 수요가 늘어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지하철 5호선 왕십리(성동구청)역은 지난 2019년 상반기에 ..
[t DAY] 12월1일 (1991년 12월1일|서울지하철 3호선 양재역, 서초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1991년 12월1일, 서울지하철 3호선 양재역이 서울특별시 서초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양재(서초구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1985년 10월18일 서울지하철 3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서울지하철 3호선 양재역은 남부순환로와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교차되는 지점으로 지난 1991년 9월에 서초구청이 서울지하철 3호선 양재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했으며,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서초구청과 협의를 거쳐 서울지하철 3호선 양재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양재(서초구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지하철 3호선 양재(서초구청)역은 1993년 10월30일 서울지하철 3호선 4단계 구간이 개통..
[t DAY] 12월1일 (1991년 12월1일|서울지하철 4호선 회현역, 남대문시장 이용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병기 역명 사용 결정) 1991년 12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 회현역이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남대문시장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지금의 병기 역명인 회현(남대문시장)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1985년 10월18일 서울지하철 4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서울지하철 4호선 회현역은 서울특별시 중구청이 서울지하철 4호선 회현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에 요구했으며, 서울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서울특별시 중구청과 협의를 거쳐 서울지하철 4호선 회현역을 지금의 병기 역명인 회현(남대문시장)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지하철 4호선 회현(남대문시장)역은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통근수요가 많이 늘어나면서 전통시장..
[t DAY] 12월1일 (1991년 12월1일|서울지하철 2호선 강변역, 광진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1991년 12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 강변역이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강변(동서울터미널)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1978년 3월에 착공을 시작하여 1980년 10월31일 서울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서울지하철 2호선 강변역은 강변역과 잠실나루역을 연결하는 잠실철교가 인근에 있었으며, 동서울터미널이 1987년부터 영업을 개시한 이후 시외버스 이용객들과 고속버스 이용객들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광진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강변(동서울터미널)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강변(동서울터미널)역은 1998년 4월에 테크노마트가 영업을 개시하면서 테크노마트에 근무하는 마트 직원들의 수요..
[t DAY] 11월1일 (1987년 11월1일|서울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1987년 11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이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충정로(경기대입구)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지하철 2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서울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은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장이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 관계자들을 만나 서울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했으며, 2호선 충정로역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메트로는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와 협의를 거쳐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대학생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지금의 병기 역명인 충정로(경기대입구)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서울지하철 2호선 충정로(경기대입구)역은..
[t DAY] 10월31일 (2015년 10월31일|지하철 노량진역 환승통로 개통) 2015년 10월31일, 서울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 환승 통로가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서울시메트로9호선과 서울9호선운영, 한국철도공사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수도권전철 1호선과 서울지하철 9호선으로 환승하는 환승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지하철 노량진역 환승 통로를 개통했다. 노량진역은 2009년 7월24일 서울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이 개통된 이후 환승 통로가 개통되지 않아 이용 승객의 불편이 가중됨에 따라 2011년 10월5일부로 지하철 노량진역 환승 통로를 본격적으로 착공하여 4년만에 환승 이용객의 불편 사항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수도권전철 1호선과 서울지하철 9호선을 환승할 수 있는 노량진역은 2017년 7월7일부터 경인선 특급 전동열차가 운행을 개시하면서..
[t DAY] 10월30일 (2021년 10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탕정역 개통) 2021년 10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탕정역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한국철도공사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수도권전철 1호선 구간 중 아산역과 배방역 사이에 신설되는 탕정역이 이날 새벽 04시30분부터 본격적으로 영업을 개시한다는 소식을 알려왔다. 충청남도 아산시는 지난 2018년 3월부터 아산신도시 지역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탕정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7개월만인 지난 2018년 10월에 탕정역을 착공하여 3년만에 이 역을 개통할 수 있게 되었다.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과 급행 전철이 동시에 정차하는 탕정역은 아산역과 배방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 신설되었으며, 승강장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고 에스컬레이터와 엘리..
[t DAY] 10월29일 (2009년 10월29일|서울지하철 동대문운동장역,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 개정) 2009년 10월29일, 서울지하철 2호선, 4호선, 5호선의 환승역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이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와 서울도시철도공사(現 서울교통공사)는 동대문운동장이 시설 노후로 완전히 철거되면서 철거된 동대문운동장 부지에 동대문역사문화공원과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가 2009년 10월27일부터 영업을 개시하게 됨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권고 명령을 통해 과거의 동대문운동장역을 지금의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개정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은 동대문패션타운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멋쟁이들의 쇼핑 코스로 자리를 잡고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인근에 있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는 매년 3월과 10월에 열리는 패..
[t DAY] 10월29일 (2009년 10월29일|서울지하철 4호선 미아역, 강북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09년 10월29일, 서울지하철 4호선 미아역이 서울특별시 강북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미아(서울사이버대학)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미아역은 신일중고등학교로 통학하는 청소년 학생들의 수요가 늘어났으며, 미아역 당고개방향 승강장 앞쪽 부근에는 비상시 전동차가 회차할 수 있는 크로스형 건넘오버 회차선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서울사이버대학교 총장이 미아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가 결단을 내리고 미아역의 병기 역명 사용 개정을 결정했다. 서울지하철 4호선 미아(서울사이버대학)역은 신일중고등학교 인근에 서울사이버대학교가 새로 신설되면서 신..
[t DAY] 10월24일 (1985년 10월24일|서울지하철 서울운동장역,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동대문운동장역으로 역명 개정) 1985년 10월24일, 서울지하철 2호선과 4호선의 환승역인 서울운동장역이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동대문운동장(現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1983년 9월16일 서울지하철 2호선 3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서울지하철 2호선 서울운동장역은 1985년 10월18일 서울지하철 4호선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으로 승격되었으며, 다가오는 86서울아시안게임 개최를 대비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특별시 중구청의 권고 명령으로 동대문운동장역 인근에 있는 서울운동장을 동대문운동장으로 경기장 명칭을 변경했다. 경기장 명칭이 변경된 동대문운동장 인근에 있는 야구장의 경우 지난 1982년 3월27일 대한민국 프로야구가 최초로 출범되어 故 전두환 前 대통령이 가장 먼저 ..
[t DAY] 10월1일 (2004년 10월1일|서울지하철 2호선 구로공단역, 디지털 산업단지 조성 결과를 반영하여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 개정) 2004년 10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 구로공단역이 구로동 주변에 디지털 산업단지 조성 결과를 반영하여 서울특별시 구로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있는 서울지하철 2호선 구로공단역이 공업 단지 기능의 소멸로 인해 구로동에 디지털 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구로구청의 권고 명령과 구로공단의 구조가 첨단산업 및 벤처기업 위주로 변경됨에 따라 구로동 디지털 산업단지로 출퇴근하는 이용 승객의 편의를 위해 지금의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을 변경했다. 구로디지털단지역은 원래부터 서울지하철 2호선 구로승무사무소(現 대림승무사업소) 소속 승무원들이 승무교대를 진행하는 전철역으로 운영되었으나, 구로승무사무소가 서울메트로(現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