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o News (252) 썸네일형 리스트형 [t DAY] 9월12일 (2020년 9월12일, 수도권전철 수인선 전구간 개통) 2020년 9월12일, 수도권전철 수인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한국철도공사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수도권전철 수인선 전 구간인 인천~수원간 52.3km의 구간이 완성됨에 따라 이날 새벽 5시부터 영업운행을 개시했으며, 3단계 구간인 한대앞~수원간 18.9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면서 고색역과 오목천역, 어천역, 야목역, 사리역이 신설되었다. 사리역 구내에는 수도권전철 수인·분당선 승무를 위해 한국철도공사 수인·분당선 안산승무사업소 사동분소를 신설했으며, 수인선의 기점인 수원역에서는 수도권전철 분당선과 직결되어 수도권전철 수인·분당선으로 정식 영업운행을 개시했다. 수도권전철 수인·분당선은 분당선을 운행하고 있는 전동차가 고색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게 됨에 따라 고색역에서 한대앞역을.. [t DAY] 8월22일 (1985년 8월22일, 수도권전철 1호선 창동 연장 구간 개통) 1985년 8월22일, 수도권전철 1호선의 동북부 구간인 성북(現 광운대)~창동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성북역까지만 운행했던 1호선 열차가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역으로 연장되면서 수도권전철 1호선 동북부 구간인 성북~창동간 3.5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수도권전철 1호선 전동차가 창동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월계동, 창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기점으로 연장된 창동역에서는 서울지하철 4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수도권전철 1호선의 녹천~월계 구간은 최근 장마철로 인한 산사태 발생으로 열차 운행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월계~녹천간 1.2km의 구간을 이설하는 것과 동시에 수도권전철 1호선이 통과하는 터널을 추가로 신설하는 공사를 진행했으며, 한.. [t DAY] 8월8일 (2020년 8월8일, 서울지하철 5호선 6단계 구간 개통) 2020년 8월8일, 서울지하철 5호선 6단계 구간인 상일동~하남풍산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상일동역까지만 운행했던 서울지하철 5호선 열차가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하남풍산역까지 연장되면서 미사역과 하남풍산역이 신설되었으며, 서울지하철 5호선 6단계 구간인 상일동~하남풍산간 4.4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전철이 경기도 하남시까지 확장되어 경기도 하남시에서도 지하철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을 시작했다. 새로 신설된 미사역과 하남풍산역에는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승객의 편의를 도모했다. 서울지하철 5호선 6단계 구간 개통식은 2020년 8월7일 서울지하철 5호선 미사역 대합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이날 개통 행사에는 경기도 하남 .. [t DAY] 8월2일 (1982년 8월2일, 수도권전철 1호선 석수역 개통) 1982년 8월2일, 수도권전철 1호선 석수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신설된 석수역은 금천구청역과 관악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경기도 안양시와 만안구청이 석수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석수역이 신설되면서 수도권전철 1호선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석수역은 지난 2009년 6월29일에 시흥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역사거리까지 연장되면서 경기도 지역을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노선과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이 석수역을 경유하고 있으며, 추후에는 신안산선이 신설되면 석수역은 신안산선과 수도권전철 1호선을 환승할 수 있는 환승역으로 승격할 예정이다. [t DAY] 7월11일 (1994년 7월11일, 수도권전철 1호선 간석역·도원역 개통) 1994년 7월11일, 수도권전철 1호선의 경인선 구간인 간석역과 도원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개통된 간석역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미추홀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인천광역시와 남동구청, 미추홀구청이 간석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동암역과 주안역 사이에 신설된 간석역이 개통되면서 남동구와 미추홀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같은 날에는 수도권전철 1호선의 경인선 구간인 도원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신설된 도원역은 인천광역시 동구 창영동, 중구 도원동, 미추홀구 숭의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동구청과 인천광역시 중구청, 미추홀구청이 도원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제물포역과 동인천역 사이에 신설된 도원역이 개통.. [t DAY] 5월10일 (2002년 5월10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곡역 개통) 2002년 5월10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단계 구간인 진천~대곡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96년 12월31일에 착공을 시작하여 5년5개월만에 완공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단계 구간인 진천~대곡간 1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면서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동안 진천역까지만 운행했던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열차가 기점을 대곡역으로 연장하면서 대곡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게 되었다. 금적색을 도색으로 사용하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열차는 모든 열차가 중형 전동열차로 운행하고 모든 열차가 직류전용으로 운행한다. 대곡역에서 안심역에 이르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05시20분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 [t DAY] 5월1일 (1992년 5월1일, 수도권전철 안산선 산본역 개통) 1992년 5월1일, 수도권전철 안산선 산본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와 경기도 군포시는 1990년부터 산본신도시가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게 됨에 따라 산본신도시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산본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금정역과 대야미역 사이에 신설된 산본역의 개통으로 산본신도시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쌍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된 산본역은 장래에는 급행 전철과 일반 전철을 동시에 운행하는 안산선 전동차의 급행 열차 운행도 추후에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안산선은 금정역을 시점으로 최근에 개통된 산본역과 대야미역, 반월역, 상록수역, 한대앞역, 중앙역, 고잔역, 안산역을 비롯한 8개 역이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금정역과 사당역을 연결하는 광역전철 노.. [t DAY] 4월30일 (1997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신길역 개통) 1997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신길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은 대방역과 영등포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1994년부터 수도권전철 1호선 신길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1994년 6월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3년만에 개통된 신길역은 롯데건설이 시공을 담당하고 서울지하철 1호선 신길역과 5호선 신길역을 연결하는 환승 통로도 동시에 신설되었다. 신길역이 새로 신설되면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 신설된 1호선 신길역은 서울지하철 5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과 급행 전철이 모두 정차한다. 지금은 수도권전철 1호선 신길역이 운전.. [t DAY] 4월30일 (1997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소사역 개통) 1997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소사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은 역곡역과 부천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둥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1994년부터 소사역 역사 신설을 추진했으며, 소사역이 신설되면서 서울에서 서울신학대학교 부천캠퍼스로 통학하는 대학생들의 큰 혜택을 제공하고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쌍섬식 승강장으로 재설계된 소사역은 내선의 경우 급행 전철이 통과하기 때문에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만 정차한다. 소사역은 병기 역명이 소사(서울신대)역으로 변경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지만 최근에는 2018년 6월16일에 광역전철 서해선 1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으로 승격되.. [t DAY] 4월30일 (2003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병점 연장 구간 개통) 2003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1호선 수원~병점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수원역까지만 운행했던 수도권전철 1호선 전동차가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병점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수원~병점간 7.2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서울지하철 1호선 열차가 병점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는 것과 동시에 세류역과 병점역을 비롯한 2개 역이 신설되었다. 병점역 인근에는 수도권전철과 일반열차의 평면교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가선로가 신설되었으며, 새로 신설된 고가선로는 천안 방향을 운행할 예정인 수도권전철 1호선 열차와 일반열차가 통과한다. 고가선로 신설과 함께 수도권전철과 일반열차의 평면교차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병점역 인근에는 450량의 수용이 가능하고 경수선과 유치, 점검이 .. [t DAY] 4월30일 (2016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 개통) 2016년 4월30일,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경의선 전 구간이 개통된 이후 그동안 개통되지 않았던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은 2012년 9월24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2014년 12월27일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 전 구간이 개통된 이후 역사 공사가 지연되어 효창공원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편 사항이 제기되었으며, 2016년 1월에 완공된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은 2016년 3월부터 개통을 위한 종합 시험 운전을 한달 가량 진행하여 개통과 함께 여객 영업을 본격적으로 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 개통된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은 서울지하철 6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서울지하철 6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는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역은 경의·중앙선 전 구간을 운행하는.. [t DAY] 4월28일 (2018년 4월28일, 수도권전철 신분당선 미금역 개통) 2018년 4월28일, 수도권전철 신분당선 미금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신분당선은 최근 2단계 구간인 정자~광교 구간이 개통된 이후 정자역에서 환승하기 어려운 분당신도시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2013년 2월28일부터 신분당선 미금역 추가 설치 착공을 진행했으며, 2018년 2월부터 개통을 위한 최종 점검을 진행하고 두달 가량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하여 신분당선 미금역이 개통되면서 정자역에서 분당선, 신분당선을 환승하기 어려운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 개통된 신분당선의 미금(분당서울대병원)역은 분당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현재 강남에서 광교까지 운행하고 있는 신분당선은 추후에 경기도 서남부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광교중앙에서 호매실을 .. [t DAY] 4월28일 (2004년 4월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 2004년 4월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간 12.2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광주광역시의 지하철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을 시작했으며, 녹동역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복선전철로 설계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은 녹동역과 소태역, 학동·증심사입구역, 남광주역, 문화전당(구도청)역, 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 양동시장역, 돌고개역, 농성역, 화정역, 쌍촌역, 운천역, 상무역을 비롯한 14개 역이 신설되었다. 1996년 2월17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8년2개월만에 완공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은 광주광역시의 전통시장으로 유명한 양동시장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에.. [t DAY] 4월26일 (2013년 4월26일, 수도권전철 용인 경전철 전구간 개통) 2013년 4월26일, 수도권전철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의 개통과 함께 경기도 용인시에서도 본격적인 경전철시대가 개막을 시작했으며, 용인경량전철의 경전철 노선인 용인 경전철은 2005년 12월17일부터 착공을 시작한 이후 7년4개월만에 18.1km의 전 구간이 모두 개통되면서 기흥(백남준아트센터)역과 강남대역, 지석역, 어정역, 동백(용인세브란스병원)역, 초당역, 삼가역, 시청·용인대역, 명지대역, 김량장역, 운동장·송담대역, 고진역, 보평역, 둔전역, 전대·에버랜드역을 비롯한 15개 역이 신설되었다.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의 개통을 계기로 서울에서 용인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하고 서울에서 용인권에 있는 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 [t DAY] 4월23일 (2015년 4월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 개통) 2015년 4월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인 칠곡경대병원~용지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국내 최초 모노레일 노선을 적용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은 2009년 7월24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2014년 1월에 완공된 이후 2015년 상반기에 개통을 위한 영업 시운전을 두달 가량 진행했으며, 칠곡경대병원~용지간 23.2km의 구간이 개통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은 청라언덕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고 명덕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모든 열차가 모노레일로 운행하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열차는 대구광역시 북구에 경수선과 중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 수리를 위한 칠곡차량사업소가 신설되었으며,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에.. [t DAY] 4월21일 (1993년 4월21일, 서울지하철 4호선 당고개역 개통) 1993년 4월21일, 서울지하철 4호선 3단계 구간인 상계~당고개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9년 12월30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1993년 3월1일부터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했던 당고개역은 한달 가량 시운전을 진행하여 이날 개통과 함께 서울지하철 4호선의 기점으로 연장되었으며, 그동안 상계역까지만 운행했던 서울지하철 4호선 전동차가 당고개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상계역 당고개 방향 주변에 있는 크로스형 회차 선로가 완전히 삭제되고 당고개역 주변에는 2개의 크로스형 회차 선로가 추가로 신설되었다. 당고개역이 새로 신설되면서 상계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3·4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지하철 4호선의 당고개~사당 구간은 ATC 신호.. [t DAY] 4월20일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인 상계~한성대입구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0년 2월29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5년2개월만에 완공된 상계~한성대입구간 11.8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상계동과 창동, 쌍문동, 수유동, 미아동, 길음동, 돈암동, 삼선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의 개통과 함께 상계역과 노원역, 창동역, 쌍문역, 수유(강북구청)역, 미아(서울사이버대학)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돈암)역, 한성대입구(삼선교)역을 비롯한 10개 역이 신설되면서 서울사이버대학교와 성신여자대학교 돈암캠퍼스, 한성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계~한성대입구 구간은 .. [t DAY] 4월20일 (2017년 4월20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5단계 구간 개통) 2017년 4월20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5단계 구간인 신평~다대포해수욕장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2009년 11월20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7년5개월만에 완공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5단계 구간인 신평~다대포해수욕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다대포해수욕장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이 꾸준히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5단계 구간인 신평~다대포해수욕장간 7.9km의 연장구간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동매역과 장림역, 신장림역, 낫개역, 다대포항역, 다대포해수욕장역을 비롯한 6개 역이 추가로 신설되었다. 그동안 신평역까지만 운행했던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가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있는 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다대동, 장림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모든 열차가 직.. [t DAY] 4월17일 (2007년 4월17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 개통) 2007년 4월17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인 정부대전청사~반석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96년 10월30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10년6개월만에 완공된 2단계 구간인 정부대전청사~반석간 9.8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면서 그동안 정부대전청사역까지만 운행했던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열차가 대전광역시 유성구 반석동에 있는 반석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했으며,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구간의 개통으로 갈마동과 월평동, 봉명동, 구암동, 노은동, 지족동, 반석동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반석역 인근에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열차의 경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이 가능한 대전광역시 유성구 외삼동에 있는 외삼차량사업소를 신설하여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열차의.. [t DAY] 4월11일 (2008년 4월11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 개통) 2008년 4월11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인 상무~평동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2000년 4월6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8년만에 완공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인 상무~평동간 8.3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면서 그동안 상무역까지만 운행했던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열차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전동에 있는 평동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했으며, 2단계 구간인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과 공항역, 송정공원역, 광주송정역, 도산역, 평동역을 비롯한 6개 역이 신설되면서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평동역 부근에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전동에 전동차의 경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이 가능한 옥동차량사업소를 신설하여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열차의 경정.. [t DAY] 4월1일 (1994년 4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 4단계 구간 개통) 1994년 4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 4단계 구간인 사당~안산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사당역까지만 운행했던 4호선 전동차의 종점이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 있는 안산역으로 연장되면서 사당~안산간 35.5km의 연장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서울지하철 4호선의 사당~안산 구간이 개통되면서 경기도 과천시와 안양시 동안구에서도 본격적인 지하철시대가 개막을 시작했다. 심도가 깊은 남태령역에는 승강장에 에스컬레이터 2대를 설치하여 승객들의 편의를 도모했으며, 남태령~선바위 구간에는 1500V의 직류와 25000V의 교류를 변경하기 위한 꽈배기굴의 교-직 사구간이 새로 신설되었다. 당고개에서 안산까지 확장된 서울지하철 4호선은 당고개~남태령 구간에서 우측통행 방식으로 운행하고 남태령~안.. [t DAY] 3월30일 (1996년 3월30일, 서울지하철 5호선 3단계 구간 개통) 1996년 3월30일, 서울지하철 5호선 3단계 구간인 강동~마천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9년 3월27일부터 서울지하철 5호선이 정식으로 착공된 이후 1996년 1월부터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했던 5호선의 강동~마천 구간은 두달 가량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하여 이날 정식으로 개통되면서 강동~마천간 7.1km의 분리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으며, 강동~마천 구간의 개통과 함께 둔촌동역과 올림픽공원(한국체대)역, 방이역, 오금역, 개롱역, 거여역, 마천역을 비롯한 7개 역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어려운 강동구 둔촌동과 송파구 방이동, 오금동, 거여동, 마천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서울지하철 5호선 4단계 구간인 까치.. [t DAY] 3월30일 (2011년 3월30일, 부산 도시철도 4호선 1단계 구간 개통) 2011년 3월30일, 부산 도시철도 4호선 1단계 구간인 안평~미남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2003년 12월3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7년3개월만에 완공된 부산 도시철도 4호선 1단계 구간은 안평~미남간 12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부산광역시의 동래구와 해운대구 반송동, 기장군 철마면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서울지하철 4호선이 사용하고 있는 도색인 밝은 블루 컬러를 사용하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모든 구간이 철제 궤도 없이 콘크리트 도상으로 운행하고 전동차는 우진산전에서 만든 대한민국형 표준 경전철 모델인 K-AGT 기반의 고무 차륜 경전철을 도입했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1단계 구간은 안평역과 고촌역, 윗반송역, 영산대(아랫반송)역, 석대역, 반여농산.. [t DAY] 3월28일 (2015년 3월28일,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 개통) 2015년 3월28일,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인 신논현~종합운동장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신논현역까지만 운행했던 서울지하철 9호선 전동차가 종합운동장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2단계 구간인 신논현~종합운동장간 4.7km의 연장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으며, 2009년 1월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6년2개월만에 완공된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은 새로 신설된 언주(강남차병원)역과 선정릉역, 삼성중앙역, 봉은사역, 종합운동장역이 신설되었다. 9호선의 일반 전철은 개화역에서 종합운동장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하고 9호선의 급행 전철은 김포공항, 가양, 염창, 당산, 여의도, 노량진, 동작(현충원), 고속터미널, 신논현, 선정릉, 봉은사, 종합운동장역만 정차한다. 선정릉역에서는 수.. [t DAY] 3월28일 (2015년 3월28일, 지하철 서울역 공항철도 환승통로 개통) 2015년 3월28일, 지하철 서울역 공항철도 환승통로가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지하철 서울역을 환승하기 어려운 공항철도 이용 승객들의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011년 8월16일부터 지하철 서울역의 공항철도 환승 연결 통로를 착공했으며, 경부고속철도의 기점인 철도 서울역 하부 아래를 통과하는 지하철 서울역의 공항철도 환승통로는 지난 2015년 1월부터 개통을 위한 최종 점검을 진행하고 두달 가량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하여 이날 지하철 서울역의 공항철도 환승 연결 통로를 개통할 수 있었다. 새로 개통된 지하철 서울역의 공항철도 환승통로 개통을 계기로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서울역과 지하철 서울역을 쉽고 빠르게.. [t DAY] 3월28일 (2020년 3월28일,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원동역 개통) 2020년 3월28일, 부산광역시의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원동역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동해선 광역전철이 2016년 12월30일에 개통된 이후 미개통역으로 운영되고 있는 부산원동역은 부산광역시 동래구와 해운대구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안락역과 재송역 사이에 신설되었으며, 부산원동역의 개통으로 동해선 광역전철을 이용하기 어려운 안락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부산광역시의 부전역과 부산광역시의 기장군 일광역을 연결하는 동해선 광역전철은 2단계 구간인 일광~태화강 구간이 오는 2021년 9월에 개통되면 기장군 일광역까지만 운행하는 동해선 광역전철 전동열차가 울산광역시에 있는 태화강역까지 연장 운행할 예정이며, 울산광역시의 태화강역 인근에는 동해선 광.. [t DAY] 3월28일 (1996년 3월28일, 수도권전철 1호선 부개역 개통) 1996년 3월28일, 수도권전철 1호선 부개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은 송내역과 부평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개동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1992년 하반기에 부개역 신설을 추진했으며, 부개역이 개통되면서 1호선 전철을 이용하기 어려운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개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쌍섬식 승강장으로 재설계된 부개역은 내선의 경우 급행 전철이 통과하지만 급행 전철이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은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만 이 역에 정차하며, 최근에는 삼산체육관역과 부개역 사이에 새로운 테마파크인 웅진플레이도시가 신설되면서 웅진플레이도시로 나들이를 가는 승객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t DAY] 3월26일 (2016년 3월26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역 개통) 2016년 3월26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역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이번에 신설된 영종역은 청라국제도시역과 운서역을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공항철도가 발주하고 인천광역시의 시비로 신설되었으며, 쌍섬식 승강장으로 신설된 영종역은 영종하늘도시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이 역을 신설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종역은 공항철도 전동차를 타고 청라국제도시역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별도운임을 징수할 수 있기 때문에 공항철도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영종역에서 인천국제공항2터미널역까지 제한적으로 이용이 가능할 수 있으나, 공항철도를 타고 서울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별도 운임을 징수해야 하는 문제점을 감수해야 한다. 영종역의 경우 인천국제공항철도.. [t DAY] 3월25일 (1985년 3월25일, 서울지하철 3호선 개통요원 1차 선발 진행) 1985년 3월25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서울지하철 3호선 1차 개통요원 선발을 진행했다. 서울지하철공사는 다가오는 서울지하철 3·4호선 전 구간 개통을 대비하기 위해 이날부터 서울지하철 3호선 1차 개통요원 선발을 진행하고 서울지하철 3호선 옥수역 구내에 옥수승무사무소(現 수서승무사업소)를 신설했다. 새로 신설된 옥수승무사무소는 서울지하철 3호선 승무 업무를 담당하는 승무사업소로 지난 1983년 9월17일부터 공채1기 기관사로 입사했던 종로승무사무소(現 신답승무사업소) 소속 승무원들의 과밀(혼잡) 문제를 해소하고 지난 1983년 12월과 1984년 1월, 1984년 3월부터 2호선 개통요원으로 선발되었던 성수승무사무소(現 동대문승무사업소) 소속 승무원들의 과밀.. [t DAY] 3월23일 (2007년 3월23일,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 개통) 2007년 3월23일,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인 김포공항~인천국제공항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노선을 운영하는 공항철도는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수도권전철을 연계하기 위해 인천국제공항철도 노선을 추진했으며, 1단계 구간인 김포공항~인천국제공항간 37.6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해외 관광객의 교통 편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기점인 김포공항역에서는 서울지하철 5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계양역에서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대부분의 모든 열차는 김포공항행과 인천국제공항행만 운행되지만 일부의 경우 검암역까지만 운행하고 김포공항으로 회차하는 열차도 동시에 운행한다.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2단계 구간인 서울역~김포공항 구간은 ..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