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ro News (252) 썸네일형 리스트형 [t DAY] 9월1일 (2006년 9월1일|수도권전철 1호선 병점역, 한신대학교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06년 9월1일, 수도권전철 1호선 병점역이 한신대학교 화성캠퍼스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병점(한신대학교)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수도권전철이 지난 2005년 1월에 충청남도 천안시까지 연장된 이후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과 급행 전철이 동시에 정차하는 병점역은 지난 2006년 8월부터 한신대학교 총장이 병점역 병기 역명 변경을 한국철도공사 관계자들에게 요구했으며, 병점역을 운영하는 한국철도공사는 한신대학교 화성캠퍼스 총장의 설득을 어렵게 받아들이고 병점역의 병기 역명을 지금의 병점(한신대학교)역으로 개정했다. 쌍섬식 승강장으로 신설된 병점역은 수도권전철 1호선 열차의 경수선과 유치를 동시에 담당하는 병점차량기지가 신설되면서 병점에서 서울 방.. [t DAY] 8월28일 (2017년 8월28일|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 종로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으로 개정) 2017년 8월28일, 서울지하철 4호선 혜화역이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혜화역의 병기 역명을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병기 역명이 혜화(서울대학교병원)역으로 개정되었다. 서울교통공사는 서울대학교병원 직원들이 혜화역 병기 역명 변경을 요구함에 따라 서울교통공사와 서울대학교병원이 협의를 진행한 끝에 혜화역의 병기 역명 변경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으며, 혜화역이 병기 역명인 혜화(서울대학교병원)역으로 변경됨에 따라 서울대학교병원 이용객의 교통편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혜화(서울대학교병원)역에 정차하는 4호선 전동차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2.5분, 러시아워 퇴근시간대 3분, 평상시 5.5분간격으로 운행하고 토요일과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평상시 6분, 러시아워 시간대는 4~.. [t DAY] 8월5일 (2006년 8월5일|서울지하철 4호선, 토요일 열차 운행 스케줄 전면 개편) 2006년 8월5일, 서울지하철 4호선이 이날 새벽 첫차부터 토요일 열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는 서울메트로 소속 4호선 전 열차의 불연재 개조 작업이 모두 완료되고 한국철도공사 소속 4호선 전 열차의 불연재 개조 작업이 모두 완료됨에 따라 지난 2006년 7월부터 서울메트로와 한국철도공사가 협의를 거쳐 서울지하철 4호선과 직결 노선인 과천·안산선의 토요일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배차간격 개선을 위한 협의를 마쳤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당고개역과 경기도 시흥시 오이도역을 연결하는 수도권전철 4호선은 토요일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배차간격을 개선하고 열차 운행 회전율 증가 수를 10회 이상 늘려 토요일 밤 열차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편의를 제공한다. 4호선 구간 중.. [t DAY] 8월5일 (2006년 8월5일|서울지하철 3호선, 토요일 열차 운행 스케줄 전면 개편) 2006년 8월5일, 서울지하철 3호선이 토요일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배차간격을 개선하기 위해 토요일 열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는 지난 2006년 7월 서울지하철 3호선과 직결 노선인 일산선의 토요일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배차간격을 개선하기 위한 협의를 완료했으며, 서울지하철 3호선과 직결 노선인 일산선의 토요일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배차간격이 개선됨에 따라 기존에 운행중인 서울지하철 3호선의 토요일 운행횟수가 452회에서 29회를 감축하여 423회로 조정된다. 서울지하철 3호선 구간 중 구파발~수서 구간은 토요일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배차간격을 개선하기 위해 토요일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배차간격을 기존의 3분에서 1분 늘린 4분간격으로 조정하고 토요일 러시아워.. [t DAY] 8월1일 (2016년 8월1일|서울지하철 4호선 명동역, 정화예술대학교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으로 개정) 2016년 8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 명동역이 정화예술대학교 명동캠퍼스 총장의 명동역 병기 역명 변경 요구를 반영하여 명동역의 병기 역명 변경을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현재의 병기 역명인 명동(정화예술대)역으로 변경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정화예술대학교 명동캠퍼스 총장이 지난 2016년 7월부터 서울지하철 4호선 명동역의 병기 역명 변경을 요구함에 따라 서울메트로와 정화예술대학교 명동캠퍼스 총장이 협의를 진행한 끝에 지금의 병기 역명인 명동(정화예술대)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으며, 명동역이 병기 역명 변경을 본격적으로 사용하면서 정화예술대학교 명동캠퍼스로 통학하는 대학생들의 통학수요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명동(정화예술대)역에 정차하는 4호선 전동차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 [t DAY] 8월1일 (2006년 8월1일|서울지하철 4호선 평일 열차 스케줄 전면 개편) 2006년 8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이 평일 열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서울메트로가 보유하는 전동차 1944량 중 1612량의 불연재 개조 작업이 최종 완료됨에 따라 이날 새벽 첫차부터 평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으며, 평일 열차 운행 전면 개편과 함께 일부 열차의 운행 시간을 조정하고 하루 운행횟수는 기존에 542회가 운행되었지만 이번 평일 전동차 운행 스케줄 전면 개편과 함께 4호선 전동차의 평일 운행 횟수가 542회로 유지된다. 당고개~사당 구간의 평일 배차간격은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2.5분, 러시아워 퇴근시간대 3분, 평상시 5분간격으로 운행하고 사당~오이도 구간의 평일 배차간격은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5분, 러시아워 퇴근시간대 6분, 평상시 10.. [t DAY] 8월1일 (2016년 8월1일|서울지하철 8호선 단대오거리역, 신구대학교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16년 8월1일, 서울지하철 8호선 단대오거리역이 신구대학교 성남캠퍼스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단대오거리(신구대학교)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1996년 11월23일 서울지하철 8호선 1단계 구간의 개통과 함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에 지하철시대 개막을 알린 단대오거리역은 한신코아백화점 성남점으로 출퇴근하는 백화점 직원들의 수요가 많았으나, 지난 2016년 7월에 신구대학교 성남캠퍼스 총장이 서울지하철 8호선 단대오거리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서울도시철도공사(現 서울교통공사)가 신구대학교 성남캠퍼스와 협의를 거쳐 지금의 병기 역명으로 개정했다. 단대오거리(신구대학교)역은 지난 2021년 12월18일 위례신도시 남부에 있는 남.. [t DAY] 8월1일 (2016년 8월1일|서울지하철 2호선 방배역, 백석예술대학교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으로 개정) 2016년 8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 방배역이 백석예술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방배역의 병기 역명을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현재의 병기 역명인 방배(백석예술대)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1978년 2월에 착공을 시작하여 1983년 10월에 완공된 이후 2개월 가량 종합 시험 운전을 거쳐 1983년 12월17일 서울지하철 2호선 4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서울지하철 2호선 방배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하고 서울고등학교, 상문고등학교로 통학하는 청소년들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방배역은 지난 2016년 7월부터 백석예술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장이 방배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가 백석예술대학교 서울캠퍼스 .. [t DAY] 8월1일 (2017년 8월1일|서울지하철 2호선 신림역, 관악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으로 개정) 2017년 8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 신림역이 관악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과 함께 현재의 병기 역명인 신림(양지병원)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남부순환로와 신림로가 교차되는 지점에 있는 신림역은 1979년 3월에 착공을 시작한 이후 5년2개월만인 1984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5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했으며, 신림역이 개통되면서 신원시장으로 출퇴근하는 신원시장 상인들의 수요가 많이 늘어나고 신림동 주민들과 서원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신림역은 서울특별시와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2017년 7월31일부로 신림역의 병기 역명 사용이 최종 결정되면서 신림(양지병원)역으로 병기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신림역의 병기 역명 사용 이.. [t DAY] 8월1일 (2007년 8월1일|서울지하철 4호선 이촌역, 문화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07년 8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 이촌역이 문화재청의 이촌역 병기 역명 변경 요구를 반영하여 지금의 병기 역명인 이촌(국립중앙박물관)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이촌역 인근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이 2005년 10월28일에 용산에서 영업을 개시한 이후 문화재청이 서울메트로 관계자를 만나 지하철 4호선 이촌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했으며, 서울메트로는 문화재청 관계자들의 요청을 고려하여 문화재정 관계자들의 설득을 수락하고 4호선 이촌역의 병기 역명 사용과 이촌역의 병기 역명을 지금의 이촌(국립중앙박물관)역으로 변경하여 국립중앙박물관 이용객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지하철 4호선, 경의·중앙선 전철과 환승이 가능한 이촌(국립중앙박물관)역은 2012년 1.. [t DAY] 8월1일 (2016년 8월1일|서울지하철 3호선 홍제역, 서울문화예술대학교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16년 8월1일, 서울지하철 3호선 홍제역이 서울문화예술대학교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홍제(서울문화예술대)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통일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아래를 통과하는 서울지하철 3호선 홍제역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주민들의 통근수요가 많았으나, 지난 2016년 7월부터 서울문화예술대학교 총장이 홍제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서울메트로가 서울문화예술대학교 총장의 설득을 어렵게 받아들이고 현재의 병기 역명을 홍제(서울문화예술대)역으로 개정했다. 1985년 7월12일 서울지하철 3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서울지하철 3호선 홍제역은 섬식 승강장으로 설계된 전철역으로 극동건설이 시공.. [t DAY] 8월1일 (2016년 8월1일|서울지하철 3호선 압구정역, 강남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백화점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16년 8월1일, 서울지하철 3호선 압구정역이 강남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현대백화점 압구정점을 이용하는 백화점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병기 역명을 압구정(현대백화점)역으로 개정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이 지난 2016년 7월부터 서울지하철 3호선 압구정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서울메트로가 강남구청과 협의를 거쳐 현대백화점 압구정점을 이용하는 백화점 이용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지금의 병기 역명인 압구정(현대백화점)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으며, 사무실과 쇼핑센터가 밀집되어 있는 압구정역은 압구정현대아파트 단지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으로 압구정동 사람들의 일터와 삶터를 연결하고 있다. 압구정역은 원래부터 반대편 승강장을 횡단할 수 있는 전철역으로 서울메트.. [t DAY] 8월1일 (2006년 8월1일|서울지하철 3호선, 평일 열차 운행 스케줄 전면 개편) 2006년 8월1일, 서울지하철 3호선이 평일 열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는 서울메트로 소속 3호선 전동차 396량의 불연재 개조 작업이 모두 완료되고 한국철도공사 소속 3호선 전 열차의 불연재 개조 작업이 2006년 7월1일부로 모두 완료됨에 따라 이날 새벽 첫차부터 서울지하철 3호선의 평일 열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으며, 기존에 운행중인 서울지하철 3호선의 평일 운행횟수가 기존의 472회에서 12회를 감축하여 460회로 운행횟수를 조정했다. 서울지하철 3호선 구간 중 구파발~수서 구간의 평일 배차간격은 평일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3분, 평일 러시아워 퇴근시간대 4분, 평상시 6분간격으로 운행하고 서울지하철 3호선의 직결 노선인 일산선 대화~구파발 .. [t DAY] 7월26일 (2019년 7월26일|서울지하철 2호선, 토요일·일요일·공휴일 열차 운행 스케줄 전면 일원화) 2019년 7월26일,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이 토요일·일요일·공휴일의 열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일원화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최근 서울지하철 2호선의 수송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다음날인 2019년 7월27일부터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의 토요일·일요일·공휴일 열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일원화했으며,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의 토요일·일요일·공휴일의 열차 운행 스케줄이 전면 일원화됨에 따라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의 토요일·일요일·공휴일 운행횟수가 432회로 일원화되었다.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의 토요일·일요일·공휴일 운행횟수 432회 중 외선순환은 214회가 운행되고 내선순환은 218회가 운행된다. 이번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의 토요일·일요일·공휴일 열차 운행 스케줄이 전면 일원화됨에 따라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을.. [t DAY] 7월15일 (2014년 7월15일|서울지하철 2호선, 평일 열차 운행 스케줄 전면 개편) 2014년 7월15일,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이 평일 열차 운행 스케줄을 전면 개편했다. 지난 2014년 5월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 사고 발생으로 인해 그동안 2호선 전동차의 정상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서울지하철 2호선의 신형 전동차 도입 대비와 서울지하철 2호선 전 구간의 신호시스템이 기존의 지상신호방식인 ATS 신호에서 차상신호방식의 ATP/ATO로 변경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의 평일 운행횟수를 기존의 558회에서 7회를 감축하여 지금의 551회로 조정된다. 서울지하철 2호선의 평일 운행횟수 551회 중 내선순환은 기존의 274회에서 1회를 더 늘려 275회로 늘리고 외선순환은 기존의 284회에서 8회를 감축하여 2.. [t DAY] 7월1일 (2005년 7월1일|지하철 가리봉역, 디지털 산업단지 조성 결과를 반영하여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 개정) 2005년 7월1일, 서울지하철 7호선과 수도권전철 1호선의 환승역인 가리봉역이 가산동에 디지털 산업단지 조성 결과를 반영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을 변경했다. 2000년 2월29일 서울지하철 7호선 2단계 구간의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서울지하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은 수도권전철 1호선의 일반 전철과 급행 전철을 한번에 환승할 수 있으며, 서울도시철도공사(現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는 가산동 주변에 디지털 산업단지가 조성되는 것을 반영하여 현재의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같은 날에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이 1주년을 맞이하고 서울시내버스 운행사원의 컨디션을 위해 새로 적용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1주년을 맞이했다. 올해로 개편 .. [t DAY] 6월30일 (2012년 6월30일|수도권전철 4호선 공단역, 안산시청과 단원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초지역으로 역명 개정) 2012년 6월30일, 수도권전철 4호선 공단역이 경기도 안산시청과 안산시 단원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초지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1994년 1월10일에 영업을 개시한 공단역은 한국철도공사가 관리하는 수도권전철 4호선의 전철역으로 원래부터 반월국가산업단지로 출퇴근하는 근로자들의 편의를 제공했지만 공단역이 반월국가산업단지와 멀리 떨어져 있다는 문제가 계속 거론되어 경기도 안산시가 공단역 역명 개정을 요구함에 따라 한국철도공사가 초지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지금의 초지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초지역은 신안산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병기 역명인 초지(신안산대학교)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초지역은 지난 2018년 6월에 서해선 광역전철 1단계 구간이 개통되고 2020년 .. [t DAY] 6월25일 (2004년 6월25일|수도권전철 1호선 부곡역, 의왕시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의왕역으로 역명 개정) 2004년 6월25일, 수도권전철 1호선 부곡역이 경기도 의왕시와 의왕시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의왕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1974년 8월15일 수도권전철이 개통된 이후 30년 이상 역명을 사용했던 부곡역은 경기도 의왕시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경기도 의왕시와 의왕시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지금의 의왕역으로 역명을 개정했으며, 오는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전면 개편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의왕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의왕역은 인근에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는 철도박물관과 국립한국철도대학이 의왕역 부근에 있었기 때문에 서울에서 국립한국철도대학으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수요가 많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2012년 하반기에 국립한국철도대학이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로 교명을 변경하게 됨에 따.. [t DAY] 6월13일 (1994년 6월13일|서울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관악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1994년 6월13일, 서울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이 관악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서울대입구(관악구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1979년 3월에 착공하여 1983년 12월17일 서울지하철 2호선 4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서울대입구역은 이듬해인 1984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5단계 구간인 서울대입구~충정로~시청~을지로입구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서울지하철 2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을지로순환선을 완성할 수 있었으며, 관악구청이 서울대입구역의 병기 역명 변경을 요구함에 따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관악구청의 설득을 받아들이고 서울대입구역의 병기 역명을 서울대입구(관악구청)역으로 개정했다. 서울대입구(관악구청)역은 .. [t DAY] 6월1일 (1997년 6월1일|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 광진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1997년 6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이 광진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구의(광진구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특별시와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은 지난 1997년 3월부터 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에 요구했으며, 서울지하철공사는 광진구청의 설득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하고 광진구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지금의 병기 역명인 구의(광진구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반대편 승강장 횡단불가역으로 지정된 구의(광진구청)역은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1동 지역 주민들과 자양2동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제공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다. 현재 당산철교 공사 기간에 한정하여 운행되고 있는 서울.. [t DAY] 6월1일 (1998년 6월1일|서울지하철 잠실역, 송파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 결정) 1998년 6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과 8호선의 환승역인 잠실역이 송파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병기 역명 사용을 결정하고 지금의 병기 역명인 잠실(송파구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現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1998년 4월부터 송파구청이 서울지하철 2호선과 8호선의 환승역인 잠실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함에 따라 송파구청의 설득을 받아들이고 송파구청과 협의를 거쳐 지금의 병기 역명인 잠실(송파구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올림픽로와 송파대로가 교차되는 지점에 있는 잠실역은 1980년 10월31일 서울지하철 2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면서 국내 최대 규모의 지하 상가가 신설되었으며, 롯데백화점 잠실점과 롯데월드, 롯데월드몰.. [t DAY] 5월28일 (2009년 5월28일|서울지하철 4호선 동작역, 국립서울현충원 이용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병기 역명 사용 결정) 2009년 5월28일, 서울지하철 4호선 동작역이 국립서울현충원으로 향하는 이용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지금의 병기 역명인 동작(현충원)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서울특별시 동작구청이 지난 2009년 4월부터 4호선 동작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요구함에 따라 동작구청의 설득을 받아들이고 4호선 동작역의 병기 역명 개정을 결정했으며, 4호선 동작역이 지금의 병기 역명인 동작(현충원)역으로 병기 역명이 개정됨에 따라 국립서울현충원으로 향하는 이용객들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서울지하철 4호선 동작(현충원)역은 서울메트로 4호선 동작승무사업소 소속 승무원들이 4호선 동작(현충원)역에서 2중 승무교대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2009년 7월24.. [t DAY] 5월27일 (2010년 5월27일|서울지하철 2호선 성내역, 송파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잠실나루역으로 역명 개정) 2010년 5월27일, 서울지하철 2호선 성내역이 송파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잠실나루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특별시와 송파구청은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서울지하철 2호선 성내역이 서울특별시 송파구와 인지도가 맞지 않다는 이유로 서울메트로 관계자들에게 서울지하철 2호선 성내역의 역명 개정을 요구했으며, 서울메트로는 지난 2010년 5월 송파구청과 협의를 거쳐 지역 주민들의 인지도를 고려하여 30년 이상 역명을 사용했던 성내역을 지금의 잠실나루역으로 개정하는 조치를 진행했다. 잠실나루역은 잠실 지역에서 두번째로 사용하는 서울지하철 2호선의 역명으로 사용된 이후 한강시민공원 잠실지구로 연결되는 보도교와 잠실철교로 이어지는 통로가 개통되면서 잠실철교를 지나가는 시민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t DAY] 5월22일 (2021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7호선 5단계 구간 개통) 2021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7호선 5단계 구간인 부평구청~석남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2014년 10월30일에 착공을 시작하여 6년7개월만에 완공된 서울지하철 7호선 5단계 구간인 부평구청~석남 구간은 서울지하철 7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 연계를 위해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가 서울지하철 7호선의 추가 연장을 인천광역시와 함께 논의했으며, 부평구청~석남간 4.2km의 연장구간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산곡역과 석남역이 추가로 신설되고 그동안 부평구청역까지만 운행했던 7호선 전동차가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여 인천광역시 서구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종점인 석남역에서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과 환승할 수 있으며, 새로 신설된 서울.. [t DAY] 5월18일 (1984년 5월18일|서울지하철 2호선 동교역,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홍대입구역으로 역명 개정) 1984년 5월18일, 서울지하철 2호선 동교역이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장의 권고 명령에 따라 홍대입구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오는 1984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전 구간 개통을 앞두고 동교역으로 영업을 개시할 예정이었으나,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장이 동교역 역명 개정을 요구함에 따라 홍익대학교와 협의를 거쳐 지금의 홍대입구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양화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하는 서울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은 1984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이후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홍대입구역에 정차하는 서울지하철 2호선의 배차간격은 러시아워 출퇴근시간대 3분30초, 평.. [t DAY] 5월15일 (1998년 5월15일|수도권전철 4호선 제2종합청사역, 김대중 정부의 지시로 정부과천청사역으로 역명 개정) 1998년 5월15일, 수도권전철 4호선 제2종합청사역이 故 김대중 前 대통령과 김대중 정부의 지시로 정부과천청사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1994년 4월1일 서울지하철 4호선 4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제2종합청사역은 지난 1998년 4월부터 경기도 과천시에 있는 제2종합청사가 건물 명칭을 정부과천청사로 변경하면서 경기도 과천시와 과천시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정부과천청사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지금의 정부과천청사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상대식 승강장으로 설계된 정부과천청사역은 승객의 사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2013년 7월부터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사상사고 방지와 승객의 안전을 강화했으며, 추후에는 서울지하철 4호선의 직결 노선인 과천선의 급행열차 연장 운행이 결정되면 .. [t DAY] 5월1일 (1987년 5월1일|서울지하철 3호선 중앙청역, 종로구청과 문화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경복궁역으로 역명 개정) 1987년 5월1일, 서울지하철 3호선 중앙청역이 서울특별시 종로구청과 문화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경복궁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1985년 10월18일 서울지하철 3·4호선 전 구간이 개통된 이후 서울지하철 3호선 중앙청역이 인근에 정부중앙청사가 있었기 때문에 원래부터 이 역명을 사용하였으나, 지난 1987년 2월부터 서울특별시 종로구청과 문화재청이 서울지하철 3호선 중앙청역 역명 개정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종로구청, 문화재청과 협의를 거쳐 문화재 보호 차원에서 경복궁으로 나들이를 가는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지금의 경복궁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경복궁역에 정차하는 서울지하철 3호선의 배차간격은 러시아워 출퇴근시간대 4분30초, 평상시 6분, 일요일과 공휴일의 경우 .. [t DAY] 4월1일 (2010년 4월1일|서울지하철 2호선, 평일·토요일 전동차 스케줄 전면 개편) 2010년 4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은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평일·토요일 전동차 스케줄 일정을 전면 개편했다. 서울메트로(現 서울교통공사)는 수요가 가장 많은 서울지하철 2호선 본선의 평일 운행횟수와 토요일 운행횟수를 전면 개편하고 토요일 전동차 운행횟수 중 토요일 일부 열차 스케줄을 조정하여 이용객들의 편의를 보강했다. 서울지하철 2호선의 평일 운행횟수는 기존에 556회가 운행되었으나, 외선순환에 2회를 추가하여 평일 운행횟수를 558회로 늘린다. 2호선의 평일 운행횟수 558회 중 내선순환은 평일 일부 열차 스케줄을 조정하지만 274회로 유지되고 외선순환은 기존의 282회에서 2회를 더 추가하여 284회로 늘린다. 2호선의 평일 배차간격도 평일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2.5분, 평일 러시아워 퇴.. [t DAY] 4월1일 (1990년 4월1일|서울지하철 3호선 화물터미널역, 서초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남부터미널역으로 역명 개정) 1990년 4월1일, 서울지하철 3호선 화물터미널역이 서초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남부터미널역으로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는 서초동 화물터미널역 인근에 있는 화물터미널이 양재대로 부근 양재동으로 이전하면서 화물터미널 이전 부지에 서울남부버스터미널이 영업을 개시하게 됨에 따라 서초구청의 권고 명령을 반영하여 지금의 남부터미널역으로 역명을 개정했으며, 남부터미널역은 서울남부버스터미널이 처음 들어선 이후 전국에서 고속버스, 시외버스를 타고 남부버스터미널에서 하차하여 서울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남부터미널역은 1990년대 중반부터 남부터미널역 인근에 예술의전당이 들어서고 국제전자센터 본사가 남부터미널역 인근에 신설되면서 병기 역명도 남부.. [t DAY] 4월1일 (1990년 4월1일|서울지하철 교대역, 법조단지 조성 상황을 반영하여 병기 역명 사용 결정) 1990년 4월1일, 서울지하철 2호선, 3호선의 환승역인 교대역이 교대역 주변에 법조단지 조성 상황을 반영하여 서초구청의 권고 명령에 따라 지금의 병기 역명인 교대(법원·검찰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1984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전 구간 개통과 1985년 10월18일 서울지하철 3·4호선 전구간 개통으로 영업을 개시한 교대역은 인근에 서울교육대학교가 있었기 때문에 서울교육대학교로 통학하는 대학생들의 통학수요가 많았으며, 1988년 1월에 서초구가 신설되면서 교대역 주변에 법조단지가 조성됨에 따라 서초구청의 권고 사항을 반영하여 지금의 병기 역명인 교대(법원·검찰청)역으로 병기 역명을 개정했다. 서울지하철 3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는 서울지하철 2호선 교대(법원·검찰청)역은 상대식 승강장.. 이전 1 2 3 4 5 ··· 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