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DAY] 4월28일 (2004년 4월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
2004년 4월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간 12.2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광주광역시의 지하철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을 시작했으며, 녹동역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복선전철로 설계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은 녹동역과 소태역, 학동·증심사입구역, 남광주역, 문화전당(구도청)역, 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 양동시장역, 돌고개역, 농성역, 화정역, 쌍촌역, 운천역, 상무역을 비롯한 14개 역이 신설되었다. 1996년 2월17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8년2개월만에 완공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은 광주광역시의 전통시장으로 유명한 양동시장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에..
[t DAY] 4월26일 (2013년 4월26일, 수도권전철 용인 경전철 전구간 개통)
2013년 4월26일, 수도권전철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의 개통과 함께 경기도 용인시에서도 본격적인 경전철시대가 개막을 시작했으며, 용인경량전철의 경전철 노선인 용인 경전철은 2005년 12월17일부터 착공을 시작한 이후 7년4개월만에 18.1km의 전 구간이 모두 개통되면서 기흥(백남준아트센터)역과 강남대역, 지석역, 어정역, 동백(용인세브란스병원)역, 초당역, 삼가역, 시청·용인대역, 명지대역, 김량장역, 운동장·송담대역, 고진역, 보평역, 둔전역, 전대·에버랜드역을 비롯한 15개 역이 신설되었다. 용인 경전철 전 구간의 개통을 계기로 서울에서 용인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하고 서울에서 용인권에 있는 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
[t DAY] 4월20일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 개통)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인 상계~한성대입구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0년 2월29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5년2개월만에 완공된 상계~한성대입구간 11.8km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상계동과 창동, 쌍문동, 수유동, 미아동, 길음동, 돈암동, 삼선동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의 개통과 함께 상계역과 노원역, 창동역, 쌍문역, 수유(강북구청)역, 미아(서울사이버대학)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돈암)역, 한성대입구(삼선교)역을 비롯한 10개 역이 신설되면서 서울사이버대학교와 성신여자대학교 돈암캠퍼스, 한성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계~한성대입구 구간은 ..
[t DAY] 3월30일 (1996년 3월30일, 서울지하철 5호선 3단계 구간 개통)
1996년 3월30일, 서울지하철 5호선 3단계 구간인 강동~마천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1989년 3월27일부터 서울지하철 5호선이 정식으로 착공된 이후 1996년 1월부터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했던 5호선의 강동~마천 구간은 두달 가량 종합 시험 운전을 진행하여 이날 정식으로 개통되면서 강동~마천간 7.1km의 분리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으며, 강동~마천 구간의 개통과 함께 둔촌동역과 올림픽공원(한국체대)역, 방이역, 오금역, 개롱역, 거여역, 마천역을 비롯한 7개 역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어려운 강동구 둔촌동과 송파구 방이동, 오금동, 거여동, 마천동 지역 주민들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서울지하철 5호선 4단계 구간인 까치..
[t DAY] 3월28일 (2015년 3월28일,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 개통)
2015년 3월28일,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인 신논현~종합운동장 구간이 이날 새벽 4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그동안 신논현역까지만 운행했던 서울지하철 9호선 전동차가 종합운동장역까지 연장 운행을 개시하면서 2단계 구간인 신논현~종합운동장간 4.7km의 연장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으며, 2009년 1월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6년2개월만에 완공된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은 새로 신설된 언주(강남차병원)역과 선정릉역, 삼성중앙역, 봉은사역, 종합운동장역이 신설되었다. 9호선의 일반 전철은 개화역에서 종합운동장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하고 9호선의 급행 전철은 김포공항, 가양, 염창, 당산, 여의도, 노량진, 동작(현충원), 고속터미널, 신논현, 선정릉, 봉은사, 종합운동장역만 정차한다. 선정릉역에서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