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2025년 을사년 여름특집을 맞이하여 경기도 서남부
지역인 광명 시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21년 광명의 발' 서울시내버스 504번이 서울에서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익근무요원들과 공무원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연들을 먼저 살펴보고
서울에서 경기도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익근무요원들과 공무원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이 광명 사람들의 통근노선으로 사용되고 있는 과정들을 버스이야기, 특별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올해로 '21년 광명의 발'을 광명 시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하안주공아파트 인근 광명공영차고지에 영업소를 두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한성운수
광명사업소에서 이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21년 광명의 발'을 광명 시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현재 예비차 1대만 제외하면 거의 모든 버스가 전기버스로 운행하기 때문에 지금은
광명공영차고지 구내에 친환경 전기버스 충전소가 새로 신설되면서 광명공영차고지 구내에 이미 설치된
친환경 전기버스 충전소에서 전기 연료를 충전하고 있습니다.
인가 거리는 44km에 이르지만 이 노선은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하안주공아파트 인근 광명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 중 기점기준 첫차 출발 시간이 가장 이르지만 이 노선은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하안주공아파트 인근 광명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 중
기점기준 막차 출발 시간이 일찍 끊기기 때문에 광명에서 서울 도심으로 향하는 광명 시민들은 물론
하안주공아파트에 거주하는 아파트 입주자 주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광명공영차고지와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입구를 오고 가는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이 때부터
서울에서 경기도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익근무요원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고 서울에서
경기도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는 사연들이 많습니다.
주로 서울특별시 자택에서 거주하는 공익근무요원들은 광명시청 공익근무요원으로 배정되었을 경우
서울 자택에서 이 버스를 타고 경기도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기 때문에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이
서울에서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익근무요원들의 수요를 분담하고 있으며, 서울에서 거주하는
공무원들이 경기도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기 때문에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이 서울에서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의 수요를 분담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광명시청 인근에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캠퍼스가 새로 들어서면서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서울에서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통학수요가 많이 늘어나고 서울 지역에서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수요를 분담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은 대한주택공사가 시공한 하안주공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기 시작하는 1990년대 초반,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을 출발하여 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서울역과 숭례문, 舊시경앞을 지나 서울특별시 중구
신세계백화점에서 끝나는 한성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26-3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시작됩니다.
한성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26-3번의 실제 노선은 이렇습니다.
한성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26-3번은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을 출발하여 철산역(광명경찰서)와
광명시청/한국폴리텍대학, 철산주공13단지, 철산주공12단지, 디지털단지오거리, 가산초등학교,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남서울중학교(성보중고등학교), 신림사거리/신원시장,
신림동별빛거리, 당곡역, 보라매공원, 신대방삼거리역, 상도초등학교입구, 장승배기역,
노량진초등학교, 노량진역, 노들역, 노들섬을 지나 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한강대교북단,
신용산역, 용산우체국, 삼각지역, 숙대입구역, 갈월동, 서울역, 숭례문, 舊시경앞을 통과하여
서울특별시 중구 신세계백화점 본점에서 끝나는 도시형버스 노선으로 운행되고 다음 회현역 인근
남대문시장과 서울역을 거쳐 갈월동에서 다시 신용산역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의 도시형버스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이 노선의 경우 첫차 시간에는 이른 새벽에 광명시 지역에서
남대문시장으로 출근하는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으며,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과
토요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에는 신세계백화점 본점으로 출퇴근하는 백화점 직원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습니다.
한성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26-3번은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고, 2006년 9월4일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하안주공아파트 인근 광명공영차고지가 개소되면서 기점이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에서 하안동
광명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으며, 광명공영차고지 개소와 함께 한성운수 광명사업소가 동시에
개소되면서 기점이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하안주공아파트 인근 광명공영차고지로 연장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2008년 12월27일부터 서울역 고가차도에 시내버스의 통행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그동안 통과했던 남대문시장 인근 신세계백화점 본점과 회현역/남대문시장,
염천교를 통과하는 구간들은 모두 삭제하고 남대문시장/신세계앞, 명동(롯데영프라자),
을지로입구(시청입구), 삼성프라자, 숭레문 정류소를 통과하는 루트로 변경시키는 것과 동시에
회차 구간이 을지로입구역1번출구 인근 을지로입구(시청입구) 정류소로 연장되었으며, 이듬해인
2009년 7월25일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가 본격적으로 개통되면서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하행(을지로입구방향)의 경우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강우규 의거 터) 한국은행·시청방향
7번승강장을 나와 한국은행 방향을 따라 남대문시장/신세계앞, 명동(롯데영프라자)를 거쳐
을지로입구(시청입구)로 향하고 상행(광명공영차고지방향)의 경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남부방향 4번승강장을 나와 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서남부방향을 따라 시흥나들목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운행을 하게 됩니다.
이 노선은 철산대교와 수출의 다리 구간에서 정체가 매우 발생할 경우 버스가 10분 이내에 오지
않을 때 버스 승객들의 항의전화가 빗발치는 경우가 있으며, 남부순환로와 모자원고개, 신대방삼거리,
디지털로에서 철산대교, 수출의다리를 거쳐 디지털단지오거리에 이르는 구간에서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에 극심한 정체가 발생하면 기다려도 10분 이내에 오지 않을 때 버스 승객들의 항의전화가
많이 빗발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경기도 광명시에서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남부방향
4번승강장까지 갈 수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503번·505번보다 배차가 아주 좋지만 평일과 토요일에는
2대가 한꺼번에 오는 것을 흔히 볼 수 있고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과 정체가 아주 심각한 시간대인
평일 오후 시간대와 토요일 오후 시간대에는 대여섯 대가 한꺼번에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은 서울시 간선버스 152번과 신림동 별빛거리에서 서울역버스환승센터까지 동일하지만
두 가지 노선 중 한 가지 노선을 선택해야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나,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500번과 KT구로지사~신림동 별빛거리, 장승배기역/동작구청~을지로입구(시청입구)
구간과 동일하기 때문에 두 가지 노선 중 한 가지 노선을 선택해야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500번이 당곡역사거리에서 한번
우회전을 하고 봉천역과 현대시장, 국사봉터널을 지나 장승배기역사거리에서 직진하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당곡역을 거쳐 신대방삼거리역에서 한번 우회전을 하고 성대시장
방향으로 통과하며, 철산동을 통과하는 구간은 서울시 간선버스 503번과 서울시 지선버스
5536번·5714번과 조금 다르기 때문에 가장 먼저 언급한 세 노선은 광명경찰서에서 한번
우회전을 하고 광명성애병원과 철산래미안자이아파트, 철산한신아파트를 통과하면서 철산교를
건너 디지털단지오거리 방향으로 향합니다. 그렇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의 경우 철산역과
광명시청/한국폴리텍대학, 철산주공13단지, 철산주공12단지를 모두 돌고 철산교를 건너
디지털단지오거리에서 한번 우회전을 하고 시흥나들목 상부를 통과하여 신림사거리 방향으로
향합니다. 다만 다만 철산교앞과 철산주공9단지 정류소는 오직 이 노선만
상행(광명공영차고지방향)에 한정하여 정차할 수 있으나, 이 버스가 통과하는 철산주공12단지는
하행(을지로입구방향)도 정차하기 때문에 광명시에서 회차하는 경기도 도시형버스 3번도
정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통과할 때 하행(을지로입구방향)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강우규 의거 터) 한국은행·시청방향 7번승강장을 나와 숭례문교차로를 지나
한국은행 방향을 따라 남대문시장/신세계앞, 명동(롯데영프라자)를 거쳐 하행(을지로입구방향)의
종점인 을지로입구(시청입구)로 향하며, 상행(광명공영차고지방향)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남부방향 4번승강장을 나와 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서남부방향을 따라 디지털단지오거리로
향하게 됩니다.
한성운수 광명사업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한성운수 광명사업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의 실제 노선은 하행(을지로입구방향)의
기점인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하안주공아파트 인근 광명공영차고지를 출고하여 하안주공3·4단지 부근
광명우체국과 광명시민체육관, 광명시평생학습원(E편한세상센트레빌), 철산푸르지오하늘채아파트,
철산역(광명경찰서), 광명시민회관, 광명시청/한국폴리텍대학, 모세로삼거리/광명시보훈회관,
모세로삼거리, 철산주공13단지, 철산자이더헤리티지, 철산주공13단지후문, 철산주공12단지,
디지털3단지사거리,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현대아울렛, 디지털단지오거리, 가산초등학교,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난곡입구, 호림박물관,
남서울중학교(성보중고등학교), 신림사거리/신원시장, 신림동별빛거리, 당곡역1번출구,
보라매공원/보라매병원, 보라매삼성아파트(모자원고개), 신대방삼거리, 성대시장,
상도초등학교입구, 청화병원, 노량진초등학교, 노량진역3번출구, 노들역, 노들섬을 지나
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한강대교북단(LG유플러스), 신용산역, 용산우체국, 삼각지역, 숙대입구역,
갈월동,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남대문시장/신세계앞, 명동(롯데영프라자)를 거쳐
하행(을지로입구방향)의 종점인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입구(시청입구)에서 끝나게 됩니다. 그리고
회차지점을 지나 상행(광명공영차고지방향)의 시점인 삼성프라자와 숭례문 중앙정류소를 통과하여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 버스는 매년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 여러분들이 수능시험을 보는 수능일이 되면 성보고등학교와
당곡고등학교, 용산철도고등학교로 향하는 수험생들의 셔틀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평일과 토요일은
첫차 새벽시간대 2대가 동시에 출발하기 때문에 이른 새벽에 경기도 광명시에서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건물 청소원들과 경비원들은 물론 광명 지역에서 이른 새벽에 신원시장, 남대문시장으로
출근하는 신원시장 상인들은 물론 남대문시장 상인들도 첫차를 타고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신림동 별빛거리에서 을지로입구역 사거리에 이르는 구간은 심야시간과 새벽시간에
운행하는 공동배차 노선인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15번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이 노선의 경우
신세계백화점 본점과 롯데영프라자, 롯데백화점 본점으로 출퇴근하는 백화점 직원들의 수요가 매우
높기 때문에 경기도 광명시 지역에서 서울 도심 백화점으로 출퇴근하는 백화점 직원들의 수요를 동시에
분담하고 있습니다.
한성운수 광명사업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통과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추석연휴 및 설날연휴 기간에 2일간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을
실시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의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는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하안주공아파트 인근 광명공영차고지에서 밤 24시40분에 마지막으로 나가면
을지로입구(시청입구)에서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01시50분에 출발하고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남부방향 4번승강장에서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2시에
마지막으로 나오면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의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광명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03시05분에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일정을 모두 마무리합니다.
한성운수 광명사업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7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8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0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인가대수는 예비차 1대와 전기버스 32대를 포함하여 33대가 운영하고 있으나, 하루 운행대수는
예비차 1대만 제외하면 평일 32대, 토요일 30대, 일요일·공휴일 25대가 운행합니다. 그리고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은 광명공영차고지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3시55분, 막차가
밤 22시40분에 출발하고 을지로입구(시청입구)에서 첫차가 새벽 5시, 막차가 밤 23시50분에
출발하며, 막차가 광명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1시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50분간 휴식에 들어갑니다.
그렇지만 이 버스는 2025년 을사년 상반기부터 현금없는 교통카드 전용버스로 승격되면서 지금은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이 현금 요금 징수를 제한하고 있으며, 경기도 광명시 구간과 서울특별시
구간에서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서울시 간선버스 504번이 현금 요금
징수를 제한하기 때문에 반드시 선불 교통카드를 구입하여 선불 교통카드로 요금 할인과 환승
할인을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21년 광명의 발' 서울시내버스 504번이 서울에서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익근무요원들과
공무원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는 사연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버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별기획] '21년 서울의 발' 목동뉴타운 도심을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571번이 진관공영차고지에서 천연가스를 충전하게 된 사연은? (2) | 2025.09.13 |
---|---|
[특별기획] '21년 서울의 발' 강북과 강동을 연결하는 서울시내버스 130번이 길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은? (4) | 2025.09.06 |
[대기획] '21년 광명의 발' 서울시내버스 503번이 서울 도심의 굴곡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12) | 2025.08.23 |
[대기획] '21년 민락뉴타운 주민들의 발' 서울시내버스 107번이 민락동 굴곡구간과 종로구 굴곡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24) | 2025.08.16 |
[대기획]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601번이 창경궁로와 대학로를 통과하게 된 사연은? (12)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