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오랜 기간에 지금까지 노선이 변경되지 않고 '21년 서울의 발'을 서울 시민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130번이 강북과 강동을 연결하고 길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한번 살펴보고 서울특별시 강북구에서 출발하는 대표적인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이 단 한 차례도 노선이 변경되지 않고 오랜 기간에 지금까지 운행되고 있는 과정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21년 서울의 발'을 서울특별시 시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은 서울특별시 강북구를
연고지로 사용하는 삼양교통에서 최초로 신설된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이 본격적으로 시행됨과 동시에 운행을 처음 개시하여 강북과 강동을 연결하는
인가거리 48.7km에 이르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의
신설 과정은 이렇습니다. 원래부터 당시 삼양교통에서 우이동과 보광동을 오고 가는 도시형버스 23번을
폐지하고 운행경로를 변경시키는 대신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에 맞추어 삼양교통이
최초로 신설하는 신설 노선인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을 신설하는 결단을 내리게 된 것입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을 출발하여 천호대교로 한강을 건너 강동구 길동으로
넘어가는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노선을 뜻하지만 강북과 강동을 연결하는 이 노선은 강동구 지역의
천호동과 길동 골목길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길동 골목길을 통과하고 있는 이 노선의 특정사항으로
본다면 도봉로~동소문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천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하고 있으나,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과 함께 천호대교로
한강을 건너 천호동으로 진입하며, 왕복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과
달리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은 하행(길동방향)과 상행(우이동방향)의 천호역~강동역 구간의 정차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은 하행(길동방향)의 경우 천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강동구 구간을 주로
통과하지만 상행(우이동방향)은 강동구 가변차로를 모두 통과하고 천호대교북단에서 동대문구청
방향의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으로 합류하기 때문에 천호역에서 이 버스를 타고 승차할 경우
천호역5번출구, 천호역1번출구에서 승차해야 합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은 덕성여자대학교로 가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우이동 수요는 주로 토요일과 일요일·공휴일에 강동 지역에서 북한산으로 향하는
등산객들의 수요가 있는 만큼 토요일과 일요일·공휴일은 북한산으로 향하는 등산객들의 편의를 위한
수요가 보장됩니다. 본격적인 수요는 우이동의 고갯길을 넘어 방학동부터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하행(길동방향)의 기점인 북한산우이역 인근 강북구 우이동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수요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구간에서 나오며, 강북구 구간 수요는 수유역 이남부터 나오기 때문에
평일과 토요일의 경우 강동 지역에서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성신여자대학교 미아캠퍼스로 통학하는
대학생들이 이 버스를 타고 등교하는 만큼 이 노선은 강동 지역에서 평일은 물론 토요일도 등교하는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성신여자대학교 미아캠퍼스로 향하는 대학생들의 통학수요가 보장됩니다.
노선 전체에서 커브를 트는 구간은 방학사거리와 용두역 인근 동대문구청, 길동 회차 구간이 전부이며,
이 버스가 통과하는 천호역과 강동역의 경우 서울지하철 5호선과 서울지하철 8호선에서 이 버스로
환승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 주민이나 경기도 하남시 지역 주민의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천호역에 오기 전 만차가 발생할 경우 시내버스 운전기사가 '탑승 불가, 다음 차량을 이용해주세요'라는
신호 표시를 하는 경우에는 다음 차량을 이용해야 하는 돌발상황을 감수해야 하는 만큼 답십리역과
장한평역 구간에서 강동구 방향으로 가는 버스 승객의 수요가 높고 꾸준한 수요가 끊임없기 계속
증가되면서 삼양교통에서 유일한 최대의 성공작 중 하나로 유명한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에는 종암사거리~경동시장사거리 구간에서 정체로 인해서 많이 밀리면
정상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지만 방학사거리~미아사거리, 동대문구청~길동사거리
구간에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있기 때문에 배차가 깨지는 문제들은 그렇게 심각하지 않으며, 이 버스가
동대문구청 인근에서 잠시 길게 정차하는 경우가 있는 것도 배차를 맞출 때 먼저 길동 방향으로
동대문구청사거리의 통과 주기를 활용하기 때문에 간격조정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은 방학동과 쌍문역, 수유역/강북구청,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미아역을 통과하지만 같은 버스 회사의 서울시 간선버스 144번은 우이동 기점에서 분리되어
북한산우이역과 덕성여자대학교, 가오리(빨래골), 삼양동을 지나가면서 내려오다가
미아사거리역에서 다시 만나 고려대학교 인근 고려대삼거리 교차로에서 신설동로타리 방향으로
우회전을 합니다. 지난 2015년 9월24일 목요일에는 프로야구 제10구단 수원 KT 위즈를 운영하는
모기업 KT(舊 한국통신)가 이 노선 승객 중 선착순 130명에게 1만3000원이 충전된 대한민국 통신
130주년 기념 교통카드를 증정했으며, 카드 종류는 티머니가 KT와 함께 공동 발주를 담당했습니다.
낮 시간에는 하행(길동방향)의 종점인 길동역 골목 구간에서 이 버스를 승차할 때 앞뒤차가 밀려 있을
경우 앞차가 만차일 경우에는 시내버스 운전기사가 '승차 불가, 다음 차량을 이용해주세요'라는 신호
표시를 하는 경우가 있을 경우에는 다음 차량을 이용해야 하는 돌발상황을 먼저 감수해야 하며,
이용객 수의 편차가 큰 단점은 있으나, 이 노선의 첫차 승객은 하행(길동방향)의 첫차 승객의 경우
천호동으로 향하는 건물 청소원들과 경비원들은 물론 현대백화점 천호점으로 향하는 건물 청소원들의
수요가 많습니다. 반면 상행(우이동방향)의 첫차 승객은 이른 새벽에 강동구 지역에 거주하시는
경동시장 상인들과 수유시장 상인들이 이른 새벽에 출근하기 위해 이 버스의 첫차를 타고 경동시장이나
수유시장으로 향하기 때문에 경동시장 상인들과 수유시장 상인들의 수요가 보장되며,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과 함께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간에서 중고등학생들의 등·하교 시간이
시작되는 시간에는 광장중학교 학생들이 이 버스를 타고 등교를 하거나 이 버스를 타고 하교를 하는
만큼 청소년 승객들의 수요가 보장되고 있습니다. 이는 대원중학교가 국제중학교로 형간전환되면서
기존 구의동이나 중곡동에 거주하는 중학생들이 광장중학교로 통학하기 위해 승·하차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양교통 우이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삼양교통 우이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의 실제 노선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기점을 출발하여 한국사회봉사회와 방학동신동아타워, 방학동신동아아파트,
방학초등학교, 신한은행방학동지점, 방학사거리, 정병원, 도봉보건소, 도봉구민회관/도봉문화원,
쌍문역, 우이1교, 수유3동우체국, 수유역/강북구청, 수유역(수유사거리),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미아역(신일중고등학교), 도봉세무서(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미아사거리역, 성가복지병원, 종암사거리입구, 종암동주민센터, 숭례초등학교,
고려대역(고려대삼거리), 홍파초등학교, 경동시장, 동대문구청,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답십리역사거리, 청년회의소(서울새활용플라자), 장한평역, 군자교입구, 군자역(용마초등학교),
중곡동입구삼거리,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새밭교회, 광나루역을 지나 천호대교로 한강을 건너
천호역과 강동역, 강동성심병원(동신중학교), 천동초등학교/천호도서관, 참잘함한방병원,
길동역1번출구, 서울프라임한방병원을 거쳐 하행(길동방향)의 종점인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강동역1번출구(동신중학교)와 천호역5번출구,
천호역1번출구(문구거리)를 통과하여 천호대교로 한강을 건너 광나루역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 노선은 매년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이 수능시험을 보는 수능일이 되면 신일고등학교와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영훈고등학교로 향하는 수험생들의 셔틀버스로 사용되며, 평일과 토요일은
첫차 시간에 극심한 혼잡도를 해소하기 위해 기점기준 첫차 새벽시간대 2대를 동시에 운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버스가 통과하는 미아사거리에서 용두역사거리에 이르는 구간은 지금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서울 경전철 도시철도 동북선 공사 기간으로 인해 정상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서울 경전철 도시철도 동북선이 오는 2027년 11월에 완공 후 종합 시운전을 거쳐 2028년
상반기에 개통되면 미아사거리와 고려대삼거리를 연결하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신설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결과를 먼저 지켜봐야 합니다. 그렇지만 서울 경전철 도시철도 동북선이 오는 2028년
상반기에 개통되고 미아사거리와 고려대삼거리를 연결하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장래에 개통되면
우이동과 길동을 오고 가는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은 물론 도봉산과 염곡동을 오고 가는 서울시
간선버스 141번, 공동배차로 운행하고 우이동과 서소문을 오고 가는 서울시 간선버스 101번, 번동과
방배동을 오고 가는 심야도시형 노선인 서울시 간선버스 148번이 미아사거리와 고려대삼거리를
연결하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삼양교통 우이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8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9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1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인가
대수는 예비차 3대를 포함하여 42대가 운행되고 있으며,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의 경우 40대가
운행하지만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에는 예비차 2대가 평일 정상운행 차량과 같은 형태로
투입되고 토요일은 37대, 일요일·공휴일은 31대가 운행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130번은 우이동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4시20분, 막차가 밤 22시50분에 출발하지만 길동사거리 인근
강동세무서에서 첫차가 새벽 05시30분, 막차가 밤 24시05분에 출발하며, 막차가 삼양교통
우이동영업소 본사로 돌아오는 다음날 새벽 01시15분에 야간운행을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3시간의 휴식을 준비하게 됩니다. 현재 삼양교통 우이동영업소 본사에는 친환경
전기버스 충전소가 이미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전기버스 차량과 천연가스버스 차량을 골고루
운행하고 있으며, 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천연가스 충전을 위해 동아운수가 우이동에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CNG천연가스충전소까지 가서 천연가스 충전을 진행하고 천연가스 충전을 진행하는 시간에
한정하여 공차회송을 진행합니다.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21년 서울의 발' 강북과 강동을 연결하는 서울시내버스 130번이 길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버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별기획] '21년 광명의 발' 서울시내버스 504번이 서울에서 광명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익근무요원들과 공무원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는 사연은? (4) | 2025.08.30 |
---|---|
[대기획] '21년 광명의 발' 서울시내버스 503번이 서울 도심의 굴곡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12) | 2025.08.23 |
[대기획] '21년 민락뉴타운 주민들의 발' 서울시내버스 107번이 민락동 굴곡구간과 종로구 굴곡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24) | 2025.08.16 |
[대기획]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601번이 창경궁로와 대학로를 통과하게 된 사연은? (12) | 2025.08.09 |
[대기획]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470번이 내곡동 방향으로 운행할 때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를 통과하는 이유는? (18) | 202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