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21년 서울의 발'을 서울 시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604번이 대한민국 영화인들의 고향 충무로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2025년 을사년을 맞이하여 '21년 서울의 발'을 서울특별시 서남부 주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은 서울특별시 양천구를 연고지로 두고 있는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본사에서 이 노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이 대한민국 영화인들의 고향으로 유명한 충무로 골목길을 통과하게 되는
사연들이 많습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이 충무로역7번출구 교차로에서 한번 좌회전을 하고
한국영화의 메카로 유명한 충무로 골목길을 지나가기 때문에 충무로 골목길을 지나가고 있는 이 노선은
대한민국 영화인들의 수요를 분담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이 대한민국 영화인들의 고향인 충무로 골목길을 통과하는 사연들은 많습니다. 충무로 골목길
주변에는 스카라극장과 대한극장을 비롯한 모든 영화관들이 밀집되면서 이 버스를 타고 영화를
관람하기 위해 극장으로 향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이 노선은 과거 시절인 1980년대 초반,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을 출발하여 송파구 잠실역에서
끝나는 신길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588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시작됩니다.
신길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588번의 실제 노선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을 출발하여
화곡동 골목길과 신월초등학교, 화곡역, 우장초등학교, 강서구청, 하이웨이주유소,
등촌중학교(백석초등학교), 등촌역(강서보건소), 염창역(서울도시가스), 안양천입구,
양평동한솔아파트, 양화대교전망카페를 지나 양화대교로 한강을 건너 합정역과 서교동,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신촌, 서강대학교, 공덕오거리, 서울대동창회관, 공덕시장,
만리동고개, 회현역/남대문시장, 명동입구, 퇴계로, 동대문운동장, 충무아트홀(중부소방서),
신당역/서울중앙시장, 성동고등학교, 상왕십리역, 왕십리역, 한양대학교, 성동교, 화양리,
어린이대공원, 광진구청을 거쳐 잠실대교로 한번 더 한강을 건너 잠실대교전망쉼터와
잠실장미아파트, 잠실나루역, 송파구청, 잠실역8번출구를 통과하면서
잠실역7번출구에서 끝나는 장거리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이 때 당시 이 노선은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서강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통학수요가 매우 많았던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노선은 1984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전구간 개통과 함께 회차 구간이
잠실역에서 왕십리로 단축되고 회차 코스가 상왕십리역 삼거리에서 한번 좌회전을 진행하여
양지시장 교차로에서 한번 우회전을 진행, 마장동 도선사거리에서 우회전을 진행하는 것과
동시에 왕십리역에서 회차하는 방식으로 단축하게 됩니다.
그러나 1985년 10월18일 서울지하철 3·4호선 전구간 완전 개통으로 이 노선의 회차 구간이
왕십리에서 동대문운동장으로 단축되고 회차 코스가 퇴계로5가 사거리에서 한번 좌회전을
진행하여 청계5가 교차로에서 한번 우회전을 진행, 청계6가 교차로에서 한번 우회전을 진행,
동대문운동장에서 회차한 뒤 다시 퇴계로6가를 따라 명동입구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단축되었지만 얼마 되지 않아 1986년 3월부터 이 노선의 회차 코스가 동대문운동장에서
충무로 골목길에 있는 스카라극장으로 단축됩니다. 회차 코스도 충무로역7번출구 교차로에서
한번 좌회전을 진행하여 충무로 골목길을 따라 스카라극장에서 회차하고 을지로3가와 을지로4가,
중구청(덕수중학교), 충무로역8번출구를 거쳐 퇴계로를 따라 다시 명동입구 방향으로 돌아가는
회차 코스로 다시 단축하게 됩니다. 이 때 당시 이 노선은 스카라극장과 대한극장으로 향하는
영화 관람객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으며, 대한민국 영화인들의 고향으로 한국 영화의 메카로 소문난
충무로 골목길을 통과하는 대표노선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신길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588번은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당시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지만 신길운수는 2004년 3월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당시 신성운송그룹 계열사의 서울특별시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게 됩니다. 신길운수에서 보유하고 있는 차량번호 일부를 한국비알티자동차에 드래프트시키는
조치를 동시에 진행했습니다.
2008년 12월27일부터 서울역 고가차도에 시내버스의 통행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상행(신월동방향)은
숭례문과 소공동주민센터를 지나 세종대로사거리에서 U턴을 진행하고 시청앞/덕수궁과 삼성프라자,
염천교, 중림동교차로를 거쳐 만리동고개로 돌아가는 방식의 코스로 운행경로가 변경되었지만 이듬해인
2009년 7월25일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가 본격적으로 개통되면서 이 노선은 하행(중구청방향)에 한정하여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을 추가 정차하게 됩니다. 그리고 2017년 5월27일부터
이 노선은 상행(신월동방향)에 한정하여 숭례문과 소공동주민센터를 지나 세종대로사거리에서 U턴을
진행하여 시청앞/덕수궁, 삼성프라자, 염천교를 통과하는 회차 코스를 모두 삭제하고 상행(신월동방향)에
한정되는 코스를 회현역/남대문시장을 지나 핑크색 도로를 따라 염천교 교차로에서 한번 좌회전을 하고
염천교를 건너 중림동교차로와 서울역서부, 만리동고개를 거쳐 공덕오거리로 돌아가는 방식의 회차 코스로
단축하게 됩니다. 이 노선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 정차할 때 하행(중구청방향)에 한정하여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에 정차하지만 하행(중구청방향)의 경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을 나와 U턴을 진행하고 동남부방향을 따라 회현역/남대문시장과 명동입구, 퇴계로를
통과하면서 충무로 골목길로 들어가게 됩니다. 아울러 신길운수는 2022년부터 신길교통으로 상호명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의 실제 노선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을 출발하여 화곡동대림아파트 건너편 화곡중앙시장과 강서문화원/강서K병원, 신월초등학교,
화곡역4번출구, 화곡본동시장,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 우장초등학교, 강서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등촌중학교(백석초등학교), 등촌역(강서보건소), 염창역(서울도시가스),
안양천입구, 양평동한솔아파트,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양화대교전망카페를 지나 양화대교로
한강을 건너 합정역과 서교동,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신촌, 서강대학교, 광성중고등학교, 대흥역4번출구,
용강초등학교, 동도중학교(서울디자인고등학교), 공덕역1번출구, 서울대동창회관, 공덕시장, 한겨레신문사,
만리동고개, 손기정체육공원, 서울역서부, 서울역버스환승센터, 회현역/남대문시장, 명동역4번출구,
충무로역7번출구, 초동, 을지로3가, 을지로4가(베스트웨스턴국도), 중구청(덕수중학교)를 거쳐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역8번출구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충무로역 인근 한옥마을/한국의집을 거쳐
퇴계로2가(명동역7번출구)에서 다시 염천교 방향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 노선은 서울시 지선버스 5712번과 함께 화곡동에서 합정동이나 홍대입구 방향으로 향하는 강서구
주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노선인 만큼 강서구 구간에서 신촌까지, 마포구~중구 사이의 수요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화곡동에서 9호선의 등촌역 및 염창역으로 향하는 9호선 급행 전철 환승 승객들의
접근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만리동고개 인근에서 공덕역이나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연계는 물론 마포구
학원가 수요가 매우 높기 때문에 마포구 학원가로 향하는 중고등학생들이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강서구 구간에서 서울역과 남대문시장, 명동을 연결하는 유일한 노선인 만큼 장거리 수요가 많지만
도로 정체가 빈번한 구간인 공덕오거리와 퇴계로, 중구청 회차 구간으로 인해 배차가 20분 이상 벌어지면
승객들이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본사에 항의전화를 하는 돌발상황을 신길교통 관계자들이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도 해결해야 합니다. 이 노선의 특징은 홍대입구와 서울역, 남대문시장, 명동을 주로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가장 많은 곳을 지나가기 때문에 이 노선은 버스 내에서 캐리어를 끌고 있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홍대입구역과 명동을 한번에 연결하는 유일한 노선인 만큼 홍대입구~명동 구간의
수요가 많고 합정동이나 신촌에서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남대문시장, 명동, 을지로4가, 충무로역, 중구청
방향으로 갈 수 있는 이 노선은 공덕역을 거쳐갈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가고 싶다면 서울지하철 2호선과
서울시 간선버스 603번을 대체 노선으로 타고 갈 수 있습니다. 이 노선은 신월동에서 첫차가 가장 이른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으나, 이 버스가 통과하는 홍대입구와 신촌에서 비교적 이른
시간대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노선의 첫차 승객은 하행(중구청방향)의 첫차 승객 대부분이
신촌 주변 백화점 및 서울역, 명동으로 향하는 건물 청소원들, 경비원들, 이른 새벽에 출근하는 공덕시장
상인들과 남대문시장 상인들이 이 노선의 첫차를 주로 타고 이른 새벽에 출근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은 공덕오거리를 통과할 때 하행(중구청방향)은 공덕오거리에서 서울대동창회관을 지나
P턴을 따라 공덕시장과 한겨레신문사 본사를 거쳐 만리동고개로 진입하고 상행(신월동방향)은
공덕역5번출구 인근 공덕오거리에서 공덕역2번출구 방향으로 진입하여 서강대학교 방향으로 향하게
됩니다. 이 노선의 경우 강서구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이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와
서울디지털대학교,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서강대학교로 통학하기 때문에 평일에 등교하는 대학생들의
수요는 물론 토요일에 등교하는 대학생들의 수요가 동시에 보장되고 있습니다.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은 서울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추석연휴 및 설날연휴 기간에는 늦은 시간에 고향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심야 귀경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2일간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을 진행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의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는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본사에서 막차가 밤 24시30분에 마지막으로 나가면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중구청(덕수중학교)에서 다음날 새벽 01시45분에 마지막으로 출발하며, 서울역 인근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서울역서부)에서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2시에 마지막으로
떠나면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하나은행신월동지점에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다음날 새벽 3시에
승객들을 모두 내려놓고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본사로 돌아와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일정을 모두
마무리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의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는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기점기준으로 밤 22시50분부터 밤 24시30분까지 25분간격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심야 귀경객
여러분들께서는 시내버스 도착 시간을 확인하시고 승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길운수 신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1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2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5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인가
대수는 예비차 1대를 포함하여 20대가 운행되고 하루 운행대수는 예비차 1대만 제외하면 평일 19대,
토요일 18대, 일요일·공휴일 15대가 운행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604번은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4시, 막차가 밤 22시50분에 출발하지만 중구청(덕수중학교)에서 첫차가
새벽 05시10분, 막차가 밤 24시05분에 출발하고 막차가 화곡동의 하나은행신월동지점에 도착하는
다음날 새벽 01시15분에 승객들을 모두 내려놓고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에 입고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40분간 휴식을 진행하게 됩니다.
다만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본사에 천연가스 충전시설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은 모든 버스가
천연가스버스로 운행하지만 천연가스 충전을 위해 신길교통 신월동영업소 본사에서 양천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먼저 실시하고 양천공영차고지에 설치된 CNG천연가스충전소에서 천연가스 충전을 진행합니다.
이 버스는 특정사항으로 본다면 공항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양화로~신촌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서울역버스환승센터, 퇴계로, 충무로, 을지로를 통과하고 있습니다.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604번이 대한민국 영화인들의 고향 충무로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들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