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2025년 을사년 여름특집을 맞이하여 서울특별시
서북부 주민들과 함께 '21년 서울의 발'을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470번이 내곡동 방향으로
운행할 때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를 통과하는 이유에 대해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보고 이 노선이 하행(내곡동방향)에 한정하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도심을 통과하게 된
과정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올해로 '21년 서울의 발'을 시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상암차고지 구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모아자동차 상암동영업소 본사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이 노선은 내곡동 방향으로 운행할 때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를 통과하기 때문에 내곡동
방향으로 운행할 때 가장 먼저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도심 지역을 가장 먼저 통과합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의 인가 거리는 58.3km에 이르지만 다모아자동차 상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의 경우 강북 지역에서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과 함께 최단거리로 강남 도심을
연결하고 대부분의 구간은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으로 운행하며, 다모아자동차 상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서울특별시 마포구를
연고지로 사용하는 서울특별시의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다모아자동차에서 최초로 이 노선을 신설하여
지금까지 '21년 서울의 발'을 서울특별시 서북부 지역 주민들과 함께하고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을
출발하여 한남대교로 한강을 건너 서초구 내곡동으로 넘어가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다모아자동차 상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되고 있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이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다모아자동차가 이 노선을 최초로 신설하면서 다모아자동차가 이 때 당시
은평공영차고지를 본사로 사용했습니다. 당시 노선은 은평공영차고지에서 내곡나들목에 이르는
장거리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공영차고지를 출고하여 덕은교/은평차고지앞과
수색교,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북가좌동삼거리, DMC래미안·E편한세상(요진아파트),
모래내시장/가좌역, 사천교, 연희104고지앞/舊성산회관, 서대문우체국, 연대앞, 세브란스병원앞,
이대후문, 금화터널, 영천시장, 금화초등학교/서울시교육청, 서대문역사거리,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광화문, 종로1가, 종로2가, 종로2가(삼일교), 남대문세무서, 남산1호터널, 순천향대학병원 인근
한남오거리를 지나 한남대교로 한강을 건너 신사역과 논현역, 강남역,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뱅뱅사거리,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말죽거리공원사거리, 매헌시민의숲, AT센터/양재꽃시장, 코트라,
내곡동주민센터, 탑성마을, 안골마을을 거쳐 서초구 내곡나들목에서 끝나고 내곡나들목에서 P턴을 2번
진행하여 다시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에서 역순으로 이어지는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지난 2005년 6월17일, 이 노선에 배차되고 있는 이베코 시티클래스 IRISBUS CNG천연가스버스
굴절버스가 종로2가사거리에서 종로1가 방향으로 좌회전을 하는 도중 갑자기 멈춰서는 돌발 사고가
발생하여 이 노선의 굴절버스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불편을 가중시키게 되고 굴절버스가
종로2가사거리에서 갑자기 멈춰 교차로를 막는 바람에 종로 구간에 3시간 가량 마비되어 극심한 정체를
빚는 돌발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 때 당시 은평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다모아자동차 본사에는
시내버스 승객들의 항의전화가 하루종일 빗발치는 돌발상황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다모아자동차는
지난 2010년 8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에 투입되고 있는 굴절버스 5대 중 2대를 감차시켜 굴절버스
운행 대수를 3대로 조정했습니다.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에 마지막 최후까지 운행된 이베코 시티클래스
IRISBUS CNG천연가스버스 굴절버스 3대는 2014년 10월에 마지막으로 굴렀던 것을 끝으로 모두
폐차되면서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표준형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으로 교체되었습니다. 2008년에 전면
퇴출된 이베코 시티클래스 IRISBUS CNG천연가스버스 굴절버스는 지난 2014년 10월 다모아자동차와
메트로버스에서 마지막으로 굴렀던 것을 끝으로 모두 폐차되면서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2007년 4월9일부터 회차 구간이 내곡동주민센터로 단축되면서 그동안
운행했던 내곡동주민센터~내곡나들목 구간을 삭제하고 2008년 5월에 상암차고지가 개소되면서
다모아자동차 본사는 은평공영차고지를 떠나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상암차고지 구내로 입주하게
됨에 따라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수색교~은평공영차고지 구간을 모두 삭제하여 기점을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상암차고지로 변경시키는 조치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내곡동 방향은 상암차고지를
나와 서부면허시험장과 월드컵파크3단지, 월드컵파크2단지, 상암DMC홍보관·YTN, 누리꿈스퀘어(MBC),
상암중고등학교, 구룡근린공원, 수색교를 지나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을 따라 연대앞 방향으로 향하게
됩니다. 2014년 7월7일부터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회차 구간을 내곡동주민센터에서 내곡동
안골마을로 연장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고 헌릉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된 이후 그동안 경유했던
매헌시민의숲과 AT센터/양재꽃시장, 코트라를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됨에 따라 말죽거리공원사거리에서
헌릉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을 따라 영동1교교차로와 매헌시민의숲을 지나 염곡지하차도 하부를
통과하면서 염곡마을(서초50플러스센터), 탑성마을(서초포레스타입구)를 거쳐 내곡동 안골마을 부근
서초포레스타2단지에서 회차하는 루트로 운행하게 됩니다.
다모아자동차 상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의 실제 노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모아자동차 상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차고지를
출고하여 서부면허시험장과 월드컵파크3단지정문, 월드컵파크2단지(에스플렉스센터), 상암DMC홍보관·YTN,
누리꿈스퀘어(MBC), 월드컵파크5단지(상암중고등학교입구), 구룡근린공원, DMC첨단산업센터, 수색교,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북가좌동삼거리, DMC래미안·E편한세상(요진아파트), 모래내시장/가좌역,
사천교, 연희104고지앞/舊성산회관, 서대문우체국, 연대앞, 세브란스병원앞, 이대후문, 금화터널, 영천시장,
금화초등학교/서울시교육청, 서대문역사거리(농협중앙회),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광화문, 종로1가,
종로2가, 종로2가(삼일교), 남대문세무서, 남산1호터널, 순천향대학병원(한남오거리)를 지나 한남대교로
한강을 건너 신사역과 논현역, 강남역,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뱅뱅사거리,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말죽거리공원사거리, 영동1교교차로, 매헌시민의숲, 염곡마을(서초50플러스센터),
탑성마을(서초포레스타입구)를 거쳐 하행(내곡동방향)의 종점인 내곡동 안골마을 인근 서초포레스타2단지
정류소에서 끝나게 됩니다. 그리고 내곡파출소 교차로에서 U턴을 진행하여 상행(상암동방향)의 시점인
안골마을에서 첫 손님을 맞이하고 탑성마을, 염곡마을을 지나 매헌시민의숲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다모아자동차 상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하행(내곡동방향)의 종점인
서초포레스타2단지 정류소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면 시내버스 운행사원의 화장실 이용 및
휴게 시간을 진행하기 위해 서초포레스타2단지 부근에서 10~15분간 휴게 시간을 진행하고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을 이용하는 운행사원들이 서초포레스타2단지에서 운행을 종료할 때 급한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화장실 이용은 서초포레스타2단지 정류소와 가까운 주유소 화장실에 먼저 들려 급한 신호를
먼저 제거합니다. 화장실 이용이 끝나고 10~15분간 휴게 시간 진행이 마무리되면 다시 운행을 재개하여
내곡파출소 교차로에서 U턴을 진행하고 상행(상암동방향)의 시점인 안골마을에서 첫 손님을 먼저
맞이합니다.
이 노선의 특징은 이미 계획이 무산된 서울지하철 11호선 계획을 부분적으로 구현하여 연세대학교와
서울 도심, 강남 도심을 직접 연결시키기 때문에 수요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은 신촌을 경유하지
않고 있으나, 신촌 주변과 연세대학교에서 강남 도심으로 향할 때 가장 좋은 선택지로 강남구와 서초구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들과 대학교 교직원들이 강남 도심에서 이 버스를 타고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연세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기 때문에 연대앞~강남 구간의 수요가 많습니다.
상암동에서 강남 도심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베스트 3개 노선은 서울시 광역버스 9711번과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 서울시 간선버스 740번이 유일하지만 이 노선은 상습 정체구간인 서울 도심의
광화문과 종로, 남산1호터널, 한남대교를 통과하여 소요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회사의 서울시 주간선버스 270번과 다르게 수색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으로 나갈 때
이 노선은 상암차고지를 나와 서부면허시험장과 월드컵파크3단지정문, 월드컵파크2단지,
상암DMC홍보관·YTN, 누리꿈스퀘어(MBC), 월드컵파크5단지(상암중고등학교입구), 구룡근린공원,
DMC첨단산업센터, 수색교를 지나 수색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으로 진입합니다. 하지만 이 노선은
하행(내곡동방향)의 시점인 서부면허시험장 출발 경로를 계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모아자동차 상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0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1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3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하루 운행대수는 인가대수 33대 중 예비차 1대를 제외하면 평일 32대, 토요일 30대,
일요일·공휴일 22대가 운행하고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상암차고지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4시, 막차가 밤 22시30분에 출발하며, 내곡동 안골마을에서 첫차가 새벽 05시35분, 막차가
밤 24시10분에 출발합니다. 막차는 상암동 월드컵파크7단지에서 다음날 새벽 01시20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승객들을 모두 내려놓고 상암차고지로 입고하며, 상암차고지 구내에
있는 CNG천연가스충전소에서 천연가스 충전을 진행한 뒤 다음날 첫차 운행을 진행하기 위해
2시간40분간 휴식에 들어가게 됩니다.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현대 에어로시티 초저상버스와
현대 일렉시티 플러그인 전기버스를 골고루 운행하고 있으나,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의 기점인
상암차고지에 CNG천연가스충전소와 친환경 전기버스 충전소가 이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 충전은 물론 전기버스 차량의 전기버스 충전도 동시에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모아자동차 상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은 종로2가 인근
보신각을 통과하기 때문에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보신각에서 열리는 매년 12월31일의 경우
제야의 종 타종 행사를 관람하고 늦은 새벽에 돌아오는 시민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연말 심야
연장운행을 실시합니다.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의 연말 심야 연장운행 막차는 상암차고지에서
밤 23시40분에 마지막으로 나가면 내곡동 안골마을에서 연말 심야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01시25분에 마지막으로 출발하고 보신각 인근 종로2가사거리에서 연말 심야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2시에 마지막으로 나가면 연말 심야 연장운행 막차가 상암동 월드컵파크7단지에
도착하는 다음날 새벽 02시35분에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연말 심야 연장운행 일정을 모두
마무리합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470번이 내곡동 방향으로 운행할 때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를
통과하는 이유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버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획] '21년 민락뉴타운 주민들의 발' 서울시내버스 107번이 민락동 굴곡구간과 종로구 굴곡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24) | 2025.08.16 |
---|---|
[대기획]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601번이 창경궁로와 대학로를 통과하게 된 사연은? (12) | 2025.08.09 |
[대기획]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270번이 망우리 이북구간으로 가지 않는 이유는? (18) | 2025.07.26 |
[특별기획] DJ버스기사 고창석씨가 운전하는 서울시내버스 603번의 돌고 도는 사람들의 일상 생활 (24) | 2025.07.19 |
[특별기획]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641번이 남부터미널을 통과할 때 남부터미널로 이동하는 고속버스 승객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는 사연은? (16)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