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신도시에서 새로
선보이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422번이 분당신도시 주민들의 활력소가
될 수 있는지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신도시에서 새로 선보이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인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동성교통 구미동영업소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인가 거리가 59.6km에 이르고 분당
구간을 주로 골라 다니는 간선버스로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은 지난 2024년 2월5일
기존에 심야버스로 운행했던 서울시 광역버스 9403번을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으로
형간전환하여 오리초등학교와 미금초등학교를 운행했던 구간을 모두 삭제하고 신분당선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경강선으로 환승하는 버스 승객의 편의를 위해 미금역과 성남역을
경유하는 구간으로 변경시키면서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된 이후 분당신도시의 탑마을
단지에서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이 크게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이 버스는 서울시
광역버스 9403번 시절에 운행했던 구미동 구간의 경우 경기도 성남시 소속 경기도 도시형버스
351번이 대체 운행하면서 서울시 광역버스 9403번 시절 그동안 골라 다닌 오리초등학교와
미금초등학교를 더 이상 통과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은 돌마로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신도시 구간에
있기 때문에 분당구 구간의 대부분을 지나가고 푸른마을, 한솔마을, 정든마을 단지도 통과할 수 있지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신도시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를 오가는 경기도 도시형버스 303번이
완전히 폐선되고 경기도 도시형버스 720-2번의 배차간격이 심각하게 벌어지면서 경기도 시내버스
이용객들이 원망하게 됨에 따라 경기도와 성남시청, 분당구청이 서울시 광역버스 9403번의 서울시
간선버스 형간전환 권고 사항 명령을 경기도 성남시를 연고지로 두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동성교통에게 지시하여 지금의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으로 번호를 변경하는 것과
동시에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형간전환시키면서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이 경기도
도시형버스 720-2번의 핵심 수요 구간인 미금역~돌마로~서현역(이매촌한신아파트) 구간을 거의
비슷하게 지나가도록 운행경로를 변경하게 됩니다. 이 노선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최초로 유일하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모든 구간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신도시의 모든 구간을 통과할 수 있는
노선으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은 송파구 진입으로 3권역을 부여받아야 하지만 서울시 광역버스가 서울시 간선버스로
형간전환할 경우 일반적인 시계외발 간선버스의 번호 부여 규칙을 적용받지 않고 기존의 광역버스
권역번호가 유지된다는 명분에 의해 400번대 간선버스 노선 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은 서울특별시 4권역인 강남구, 서초구를 지나가지 않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하지만 경기도 성남시와 서울특별시 송파구 일부가 서울특별시 4권역에 포함되며, 서울시 간선버스
302번과 서울시 간선버스 303번도 서울특별시 4권역에 포함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서
출발하지만 서울특별시 3권역인 송파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잠실대교를 통과하기 때문에 시작 권역
번호가 서울특별시 3권역으로 시작됩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에서 동성교통에게 서울시 간선버스
322번으로 서울시 간선버스 노선 번호 배정을 제안했지만 동성교통 구미동영업소에서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으로 노선 번호 배정을 서울특별시에게 요구함에 따라 결국 서울특별시가 일단 동성교통
구미동영업소의 요구 사항들을 수긍하기로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이 노선은 준심야버스로 운행중인 같은 회사의 서울시 광역버스 9409번과 달리 오리역에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오리역에서 출발하는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노선이 없는 것은 아쉬운 결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 노선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신도시의 구미동에서 출발할 때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이 노선은 422번의 경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신도시의 구미동을 출발하여 잠실대교로 한강을 건너
서울특별시 광진구 중곡역으로 넘어가는 두번째 간선버스 노선을 뜻하고 있으며, 측면과 전면의 출발지가
미금역으로 표기되기 때문에 분당신도시의 최초 승차 구간에서 승차할 경우 구미동차고지 정류소에서
승차가 어려울 수 있으니 하행(중곡역방향)의 시점인 하얀마을/구미도서관 정류소에서 승차해야 빠르게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상행(분당방향)은 구미동차고지 정류소에서 하차가 어려울 수 있는 만큼
상행(분당방향)의 종점인 하얀마을 정류소에서 하차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은 현재 모든 차량들이 서울시 광역버스 9403번 시절에 운행했던 고급좌석버스
차종인 현대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전중문형 EURO6 CNG천연가스버스 차량들을 운행하고
있으나, 기존에 운행중인 현대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전중문형 EURO6 CNG천연가스버스
차량들의 내구연한이 10년 이상 만료될 경우 단계적으로 초저상 전기버스 차종인 현대 일렉시티
플러그인 전기버스 차종으로 교체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이미 폐지되는 서울시 간선버스 774번과
현재 강북구의 좁은 도로 문제로 저상버스 교체가 어렵다는 판단을 받은 서울시 간선버스 104번,
장위동고개 경유로 인해 저상버스 운행 불가 판정을 받은 서울시 간선버스 103번과 서울시 간선버스
172번이 저상버스 의무화 제외 노선으로 인정받은 것만 제외하면 이 노선은 기존에 운행했던 서울시
광역버스 도색인 빨강색 도색을 서울시 간선버스 도색인 파랑색 도색으로 변경하여 지금까지 운행을
하고 있으나,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도색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 노선과 함께 공유하고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도색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과 함께 공유하고 있습니다.
동성교통 구미동영업소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동성교통 구미동영업소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의 실제 노선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신도시의 구미동에서 출발하여 하얀마을/구미도서관과 까치마을(건영빌라), 미금역3번출구,
대원사거리(까치마을), 더샵분당파크리버(헬스케어혁신파크), 정자3동행정복지센터, 정든마을(우성아파트),
한솔마을(LG아파트), 푸른마을 단지, 샛별마을(우방아파트), 중앙공원(샛별마을라이프아파트), 효자촌,
시범단지(서현중학교), 이매촌한신/서현역(AK프라자), 성남역5번출구(아름마을7단지), 이매고등학교,
매송중학교(풍림아파트), 이매촌삼성아파트, 삼환아파트, 하탑초등학교(탑마을3차아파트),
야탑2동행정복지센터/분당차병원, 야탑역(성남종합버스터미널), 성남시청, 모란역4번출구, 모란고개,
성남수정경찰서, 수진리고개(태평고개), 가천대역2번출구(가천대학교), 복정파출소(복정캠퍼스맛집거리),
동서울대학교, 복정초등학교, 복정동행정복지센터, 복정역2번출구, 복정역1번출구, 장지역(가든파이브),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문정로데오거리입구, 가락시장/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석촌호수/한솔병원,
잠실역(롯데월드몰), 잠실역/잠실대교남단을 지나 잠실대교로 한강을 건너 자양동 잠실대교북단과
동서울우편집중국, 광진구청, 광진경찰서, 구의사거리, 구의2동주민센터, 어린이대공원후문, 중곡동입구,
신성시장, 대원여자고등학교, 대원고등학교, 용암사입구를 거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국립정신건강센터 인근
중곡역3번출구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종합의료복합단지와 천주교중곡동성당,
중곡2동주민센터, 능동사거리(군자역7번출구), 어린이대공원(세종대학교), 어린이대공원역3번출구,
어린이회관, 구의사거리(광진소방서), 광진경찰서를 거쳐 광진구청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동성교통 구미동영업소 본사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은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4시30분, 막차가 밤 23시00분에 출발하고 중곡역3번출구에서 첫차가 아침 06시10분, 막차가
밤 24시45분에 출발합니다. 막차가 동성교통 구미동영업소 본사로 돌아오는 다음날 새벽 02시20분
이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10분간 휴식 시간을
진행하며,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8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8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23분간격으로 운행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의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15대, 토요일 15대, 일요일·공휴일 12대가 운행하며,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이기 때문에 대리운전기사들의 셔틀버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버스가 통과하는 미금역은 광역전철 수인·분당선과 신분당선 전철을 동시에 환승할 수 있으며,
이 버스가 통과하는 이매촌한신/서현역(AK프라자) 정류소에서 광역전철 수인·분당선 서현역과 간접
연계가 가능하고 이 버스가 통과하는 성남역에서 광역전철 경강선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를
한번에 환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야탑역과 태평역, 가천대역에서 광역전철 수인·분당선과 연계가
가능하지만 모란역과 복정역에서 서울지하철 8호선과 광역전철 수인·분당선을 연계할 수 있으며,
장지역과 송파역에서 서울지하철 8호선과 연계가 가능하고 가락시장역에서 서울지하철 3호선과
8호선을 한번에 연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석촌역에서는 서울지하철 8호선과 9호선을 동시에
환승할 수 있으나, 이 버스가 통과하는 잠실역에서 서울지하철 2호선과 8호선을 동시에 환승할 수
있으며, 이 버스가 통과하는 중곡역과 어린이대공원역에서 서울지하철 7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군자역에서 서울지하철 5호선과 7호선을 한번에 환승할 수 있습니다. 이 버스의 첫차 승객은
주로 분당신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분들 중 이른 새벽에 출근하는 가락시장 상인들과 신성시장
상인들의 수요가 매우 높지만 분당신도시에서 세종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렇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은 현금 요금 징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현금 요금 징수를
제한하고 있으며,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을 이용하시는 분들께서는 먼저 선불 교통카드를
구입하시고 선불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요금 할인과 환승 할인을 받아야 합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분당신도시에서 새로 선보이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서울시내버스 422번이 분당신도시
주민들에게 활력소가 될 수 있는지 네티즌 여러분들의 많은 댓글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