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이야기

[특별기획] 강남대로와 헌릉로를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741번이 구파발역을 통과할 때 구파발역 광역환승센터를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버스이야기가 준비한 특별기획 시간에서는 강남대로와 헌릉로를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741번이 

구파발역을 통과할 때 구파발역광역환승센터를 통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강남대로와 헌릉로를 통과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은 서울특별시의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한국비알티자동차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하고 있으며, 진관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한국비알티자동차 

진관사업소에서 이 노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이 구파발역 광역환승센터를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많습니다. 이 노선이 구파발역입구 

중앙정류소를 통과하는 직선화로 변경되어 구파발역 광역환승센터를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된 

것입니다. 

 

이 노선은 지난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한국비알티자동차가 신설노선으로 운행을 

개시했던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시작됩니다.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한국비알티자동차가 신설노선으로 운행을 개시했던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을 출발하여 한남대교로 한강을 건너 강남대로와 

헌릉로를 거쳐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공영차고지에서 끝나는 노선으로 운행되었으며, 

삼송동차고지에 천연가스 충전시설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회차 구간인 송파공영차고지에 설치된 

CNG천연가스충전소에서 천연가스를 충전했습니다. 

 

그리고 2009년 11월14일, 진관공영차고지가 개소되면서 한국비알티자동차가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은 서울시 주간선버스 701번과 함께 노쇠화된 삼송동차고지를 매각하고 기점을 

진관공영차고지로 이전하면서 진관공영차고지에 CNG천연가스충전소가 신설되고, 

진관공영차고지에 설치된 CNG천연가스충전소에서 천연가스를 충전할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하여 

그동안 송파공영차고지에서 천연가스를 충전했던 천연가스 충전 문제가 어렵게 해소될 수 

있었습니다.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송파구 송파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의 인가 거리는 70.5km로 종점인 송파공영차고지에서 송파구의 다른 지역과 

경기도 성남권 시내버스 노선으로 환승하는 시내버스 승객들의 수요가 많았지만 2011년 

8월25일부터 2011년 상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은 염곡동~진관공영차고지 구간이 삭제되고 인가대수 55대 중 6대를 서울시 주간선버스 

360번으로 차출시키는 조치를 진행하면서 471번의 인가대수는 예비차 2대가 포함된 49대로 

조정됩니다. 471번은 하루 운행대수가 평일 47대, 토요일 46대, 일요일·공휴일 30대가 

운행되었으며, 하루 운행횟수는 평일 235회, 토요일 231회, 일요일·공휴일 150회가 

운행되다가 2012년 12월1일부터 구파발역입구 중앙정류소를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구파발역을 통과하는 구간으로 변경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하루 운행횟수가 평일 226회, 

토요일 218회, 일요일·공휴일 144회로 다시 조정됩니다. 

 

그러나 송파공영차고지와 광화문을 오고 가는 서울시 간선버스 408번이 2014년 11월 중순에 

강남대로 과다 중복으로 인해 결국 폐지되면서 세곡뉴타운 주민들의 교통난이 가중됨에 따라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은 2015년 6월1일부터 회차 구간을 염곡동에서 세곡동사거리로 

연장하게 되고 2대를 더 증차하면서 471번의 인가대수는 예비차 2대를 포함하여 51대로 다시 

조정됩니다. 그리고 하루 운행대수도 평일 49대, 토요일 46대, 일요일·공휴일 30대로 조정되고 

하루 운행횟수는 평일 192회, 토요일 184회, 일요일·공휴일 124회로 조정됩니다. 

 

구파발역 광역환승센터가 개통되면서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은 양방향 모두 구파발역 주변을 

한 바퀴 돌게 되었지만 2017년 9월15일부터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공사가 시작되면서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은 구파발역 광역환승센터를 한 바퀴 도는 구간을 모두 삭제하고 구파발역입구 

중앙정류소를 양방향 모두 정차하는 구간으로 직선화하여 서대문역사거리와 광화문, 종로1가, 

종로2가, 남대문세무서를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세곡동 방향은 서대문역과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통과하고 회현역/남대문시장, 명동역을 나와 

남산1호터널로 들어가는 루트로 변경되고 진관공영차고지 방향은 남산1호터널을 나와 

국가인권위원회(안중근 활동 터), 을지로2가, 을지로입구(시청입구), 삼성프라자, 숭례문,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을 지나 영천시장에서 서북부방향을 따라 

구파발역 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운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듬해인 2018년 10월15일부터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은 2개의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분할되면서 51대 중 16대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708번으로 차출되고 나머지 35대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으로 운행하게 됩니다. 

 

한국비알티자동차가 운영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한국비알티자동차가 운영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와 은평뉴타운10단지, 구파발역입구, 

박석고개(신도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연신내역/연서시장, 동명여고/천주교불광동성당, 

불광역(3·6호선), 불광역3호선(서울혁신파크), 한전서대문은평(북한산푸르지오), 녹번역, 산골고개, 

홍제역, 홍제삼거리(인왕산한신휴플러스), 무악재역, 안산초등학교, 독립문역(한성과학고), 영천시장, 

서대문역사거리(농협중앙회),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광화문역, 종로1가, 종로2가, 종로2가(삼일교), 

남대문세무서, 남산1호터널, 순천향대학병원(한남오거리)를 지나 한남대교로 한강을 건너 

신사역/푸른저축은행, 논현역, 지하철2호선 강남역, 신분당선 강남역,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뱅뱅사거리,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말죽거리공원사거리, 영동1교교차로, 매헌시민의숲, 

염곡마을(서초50플러스센터), 탑성마을(서초포레스타입구), 안골마을(서울언남초등학교), 

샘마을/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 헌인릉/강남서초과학화예비군훈련장, 헌인농장, 

헌인마을(서울농업기술센터), 세곡푸르지오(은곡삼거리), 강남신동아파밀리에1단지를 거쳐 

은곡마을(강남신동아파밀리에)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세곡동사거리에서 U턴을 하고 

은곡마을/LH이편한세상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 노선은 하행(세곡동방향)의 시점인 진관공영차고지 정류소에서 첫 손님을 맞이하지만 박석고개에서 

뱅뱅사거리까지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7번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하행(세곡동방향)의 종점인 

은곡마을(강남신동아파밀리에) 정류소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면 세곡동사거리에서 U턴을 진행하고 

시내버스 운행사원의 화장실 이용 및 휴게 시간을 진행하기 위해 10~15분간 휴게 시간을 진행합니다. 

 

그렇지만 서울시의 장대 노선 대수술 조치로 인해 단축을 해야 한다는 여러 가지 논의가 계속되었지만 

세곡동 대체 노선 확보 문제와 세곡뉴타운 주민들의 불편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강남구청의 불허로 인해 

노선단축이 무산되었고, 세곡동 대왕파출소 옆에 시내버스 운행사원의 화장실 이용을 위한 화장실이 

새로 신설되면서 세곡동 대왕파출소 옆에 신설된 화장실은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행사원들의 화장실 이용은 물론 지나가는 일반인들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24시간 

개방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 노선은 서울지하철 3호선, 신분당선과 전체적인 선형이 많이 겹치지만 전 구간에서 수요가 많은 

노선으로 직선 노선답게 단거리부터 중장거리 수요까지 다양하게 발생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운용을 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구파발역~종로간 수요와 종로~강남역, 강남역·양재역~세곡뉴타운간 

수요가 매우 높기 때문에 구파발역~독립문역 구간에서 환승 없이 한남동과 강남대로 도심을 연결하는 

만큼 은평구에서 한남동, 강남권으로 이동하는 장거리 수요 비중도 상당히 높은 간선 역할에 충실한 

노선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모든 구간이 대로로만 운행하기 때문에 서대문역과 광화문, 종로1가, 

종로2가만 제외하면 전부 직진만 하는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으나, 노선 전체에서 좌회전이나 

우회전하는 경로는 서대문역사거리~종로2가 구간만 있습니다. 그렇지만 구파발역~독립문역 도심 

지역의 통일로 구간에서 주로 영천시장과 종로 일대까지 수송하는 도심 연계 목적의 수요가 제일 

가장 많이 발생하고 굴곡 없이 직통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인 만큼 구파발역이나 불광역에서 회차하는 

경기도 버스와 환승하는 수요도 아주 많습니다. 

 

여기에 강남권 장거리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기 때문에 중간에서 하차하는 승객이 적은 만큼 

연신내역만 지나도 남는 좌석이 없을 경우 가축수송이 심할 경우에는 시내버스 운행사원이 승차거부를 

하는 돌발상황도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에 주로 발생합니다. 그렇다고 경로 중간인 연신내역, 불광역, 

홍제역 등 지역 중심지를 경유하는 이 노선은 단거리 이용 승객들의 수요도 많이 발생하고 야간시간이나 

심야시간에는 승객들이 이 노선을 이용해도 평일 밤 23시00분대 이후 시간대에 종로에서 진관동 집으로 

향할 때 서울시 간선버스 720번과 가축수송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도심 구간에서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470번과 함께 강남대로를 최단 거리로 잇는 노선으로 광화문, 종로, 명동 일대에서 강남 

도심으로 왕래하는 승객이 매우 많습니다. 서대문과 강남 도심을 잇는 이 노선은 승객이 많고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에 상당히 높은 혼잡도를 자랑합니다. 강남역에서 입석도 얼마 안 남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통일로에 진입하기 전까지 거의 타기만 하고 내리는 사람이 있어도 그만큼 그 이상으로 다시 

채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남역~세곡뉴타운 구간에서는 승객들이 매우 많지만 내곡동, 세곡동 주변에서 코트라, 양재역, 강남역으로 

출근하는 사람들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노선은 471번 시절 송파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할 때 당시 

송파구의 다른 지역과 성남권으로 향하는 승객들이 성남시를 통과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노선으로 환승을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회차 구간을 염곡동으로 단축하다가 세곡뉴타운 주민들의 교통편익을 제공해야 

한다는 강남구청의 권고 사항에 따라 회차 구간을 세곡동사거리로 연장하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번호인 741번으로 번호를 변경한 이후 741번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강남구 

세곡동사거리로 넘어가는 첫번째 간선버스 노선을 뜻하고 있으며, 이 버스는 특정사항으로 본다면 

통일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새문안로~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삼일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남산1호터널, 강남대로~헌릉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모두 통과하며, 추후에는 헌릉로의 남아 있는 

구간인 헌릉로 중앙버스전용차로 3단계 구간으로 신설될 예정인 내곡나들목~복정역사거리 구간이 

장래에 신설되면 세곡동의 다른 구간에서 회차 루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은 2025년 2월1일부터 현금없는 교통카드 전용버스로 적용되면서 

이 노선은 현금 요금 승차가 제한되었으며, 현금 요금 승차가 제한된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선불 교통카드를 먼저 구입하고 요금 할인과 환승 할인을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한국비알티자동차가 운영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은 예비차 3대를 포함하여 인가대수 35대가 

운행하고 있으나,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의 경우 평일 러시아워 출퇴근시간대 예비차 2대 투입을 

포함하면 34대가 운행하지만 토요일의 경우 예비차 2대 투입을 포함하면 33대가 운행하고 

일요일·공휴일은 22대가 운행합니다.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은 진관공영차고지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4시, 막차가 밤 22시50분에 출발하지만 회차 구간인 세곡동에서 첫차가 새벽 05시35분, 

막차가 밤 24시30분에 출발하며, 막차가 진관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01시50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10분간 휴식에 들어갑니다.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0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1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5분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한국비알티자동차가 운영하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은 보신각을 통과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제야의 종 타종행사가 보신각에서 열리는 매년 12월31일의 경우 제야의 종 타종행사를 관람하고 

늦은 심야시간과 새벽시간에 집으로 돌아가는 시민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연말 연장운행을 

실시합니다. 서울시 주간선버스 471번의 연말 연장운행 막차는 진관공영차고지에서 밤 23시40분에 

마지막으로 나가면 세곡동에서 연말 막차가 다음날 새벽 01시20분에 출발하고 보신각 인근

종로2가사거리에서 연말 막차가 다음날 새벽 2시에 마지막으로 출발하면 연말 막차가 

진관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02시40분에 연말 심야 연장운행 일정을 마무리합니다.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강남대로와 헌릉로를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741번이 구파발역을 통과할 때 구파발역광역환승센터를 

통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