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지난 2022년 10월17일부터 서울시의 장대 노선
대수술 조치로 인해 서울시 간선버스 153번의 운행 구간인 대방역~당곡사거리 구간을 모두 삭제하고
회차 구간을 대방역 북측으로 단축한 서울시내버스 163번이 여의도 도심을 통과하는 노선으로
운행하지만 대방역 남쪽으로 가지 않는 원인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지난 2022년 10월17일부터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한 서울시 간선버스 163번은 동아운수 우이동영업소
본사에서 이 노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의도 도심을 통과하는 이 노선이 대방동 남쪽으로 가지
않는 원인들에 대해 다시 한번 분석하는 시간을 살펴봅니다.
이 노선이 탄생되기까지의 과정은 과거 시절인 1970년대 초반, 우이동과 신촌을 오고 가는 동북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8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시작됩니다.
우이동과 신촌을 오고 가는 동북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8번은 2000년 초반 동아운수와 동북운수가
본격적으로 합병을 결정하면서 동북운수의 노선들은 동아운수로 통합되고 동아운수가 과거 시절에
운영했던 도시형버스 8번은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서울시 간선버스 170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여기에 동아운수는 2004년 3월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신성운송그룹 계열사의 서울특별시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여
동아운수가 보유하는 차량번호 중 1200번대 일부와 2100번대 일부, 3800번대 일부, 4000번대 일부,
8700번대 일부를 한국비알티자동차에 드래프트시키는 조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2007년 4월23일, 동아운수가 그동안 운영했던 서울시 간선버스 170번과 지선버스 5711번을
모두 통폐합하면서 동아운수가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153번이 본격적으로 운행을 개시하게 됩니다.
동아운수 우이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했던 서울시 간선버스 153번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에 있는
북한산우이역을 출발하여 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여의도 도심과 공군호텔, 서울지방병무청, 보라매역,
서울공업고등학교, 신대방삼거리역, 보라매병원, 당곡역2번출구, 당곡사거리를 지나 관악구 롯데백화점
관악점에서 끝나는 장거리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인가 거리가 66km를 넘는 구간의 장거리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되면서 이 노선의 운행 시간은 왕복 4시간20분이 걸리는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2008년 6월1일부터 2008년 상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상행(우이동방향)은
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신촌오거리와 이대역, 서강대학교를 동시에 통과하는 순환 구간으로 운행하는
방식을 변경하게 되고 서울시 간선버스 153번은 2010년 1월8일부터 2009년 하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그동안 여의도 도심의 한국거래소와 앙카라공원을 통과하는 여의도 굴곡 구간을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여의도 굴곡 구간들을 모두 삭제하여 국회의사당역과 여의도역, 샛강역,
공군호텔을 통과하는 여의도 직선화 구간으로 단축하게 됩니다. 그러나 2014년 1월6일 연세로
대중교통 전용지구가 완공되면서 서강대학교와 연세로를 연결하는 직진 신호가 폐지되고 서강대
순환구간을 지나 신촌 현대백화점과 동교동삼거리, 연희나들목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다시 변경되다가
2016년 5월8일부터 상행(우이동방향)으로 운행할 때 길음나들목에서 P턴하는 구간들을 삭제하고
돈암동삼성아파트와 길음역사거리를 지나 길음2동주민센터에서 다시 합류하는 방식으로 운행하는
구간을 변경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2017년 2월4일부터 신촌로타리의 신호체계 개편으로 인해 서울시 간선버스 153번이
그동안 운행했던 서강대 순환구간들을 모두 삭제하고 상행(우이동방향)으로 운행할 때 신촌로타리에서
좌회전을 하고 신촌현대백화점과 동교동삼거리를 지나 연희나들목 하부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2022년 5월28일 서울 경전철 도시철도 신림선 전 구간이 개통된 이후 계속 운행하다가
지난 2022년 7월29일 서울시의 장대 노선 대수술 조치가 필요하다는 서울특별시의 판단에 따라
결국 서울시 간선버스 153번은 2022년 10월16일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대방동에서 당곡사거리에
이르는 장거리 구간이 삭제되면서 다음날인 2022년 10월17일부터 지금의 동아운수 소속 간선버스
163번으로 번호가 변경된 이후 회차 구간도 대방역 북측으로 단축되어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이 노선은 우이동~수유역~정릉, 상명대학교~신촌~여의도, 국회의사당역이나 여의도역 주변에서
지하철 5호선·9호선으로 환승하는 버스 승객들의 수요가 매우 높지만 이 노선은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청춘 버스로 유명한 서울시 주간선버스 273번의 인지도에 밀리고 있는 것은 가장 아쉬운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버스는 덕성여자대학교와 성신여자대학교 운정그린캠퍼스,
고려대학교 정릉캠퍼스, 국민대학교,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연세대학교 서울캠퍼스는 물론 간접
연계가 가능한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통학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이 노선은 연희나들목과 신촌로타리에서 두 가지 방향이 분기되기 때문에 하행(대방역방향)은
연희나들목에서 한번 좌회전을 하고 서대문우체국과 연대앞, 신촌기차역, 신촌역2호선을 지나
신촌오거리에서 서강대교 방향으로 진입하고 상행(우이동방향)은 신촌로타리에서 좌회전을 하고
신촌현대백화점과 동교동삼거리, 연희나들목 하부를 거쳐 문화촌 방향으로 다시 돌아갑니다.
그리고 이 노선은 인가거리가 55.6km에 이르는 장거리 간선버스 노선이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163번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행사원들이 하행(대방역방향)의 종점인 대방역 북측에서 회차하면 시내버스
운행사원들의 휴게 시간이 진행되고 휴게 시간이 끝나면 다시 여의도역 방향으로 돌아가다가 시내버스
운행사원의 화장실 이용을 위해 시내버스 운행사원들이 여의도역5번출구 정류소와 가까운 상가 1층에
개방되어 있는 화장실에 먼저 들려 급한 신호를 먼저 해결하기 위해서 휴게 시간을 진행하고 급한 신호가
완전히 해결되면 다시 시내버스 운전석으로 복귀하여 정상운행을 재개합니다. 이 버스가 통과할 때
상행(우이동방향)으로 정차하는 여의도역5번출구 정류소와 가까운 상가 1층에 있는 화장실은 시내버스
운행사원들의 화장실 이용을 위해 365일 24시간 개방되어 지금도 운영되고 있으며, 걸어가는 일반인들과
버스를 기다리는 분들도 버스 타기 전에 여의도역5번출구 정류소와 가까운 상가 1층에 있는 화장실을
먼저 이용하고 시내버스를 승차하기 때문에 여의도역5번출구 주변에서 지하철과 시내버스를 이용하실 때
가장 먼저 화장실에 들리는 것도 중요합니다.
동아운수 우이동영업소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163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동아운수 우이동영업소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163번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북한산 인근에 위치한
북한산우이역을 출발하여 우이동성원아파트와 진성빌라사거리, 서라벌중학교(우이동대우아파트),
덕성여자대학교/솔밭근린공원, 4·19민주묘지역, 강북청년창업마루, 수유2동주민센터/우이시장,
광산사거리, 강북구청, 수유역,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미아역(신일중고등학교),
도봉세무서/성북시장, 미아사거리역, 길음2동주민센터, 길음뉴타운, 길음시장(길음뉴타운9단지),
숭덕초등학교, 정릉2동주민센터, 봉국사, 고려대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청덕초등학교, 국민대학교,
롯데아파트, 일성아파트, 평창동주민센터, 평창파출소, 갑을씨티텔, 세검정초등학교, 세검정(상명대학교),
홍지문, 유원하나아파트, 서울여자간호대학교(홍은초등학교), 문화촌현대아파트, 유진상가,
홍은동현대아파트, 스위스그랜드호텔, 동신병원(홍제폭포), 서대문구청(서대문구의회),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입구, 한성화교중고등학교(서대문소방서), 연희삼거리, 연희교차로, 서대문우체국,
연대앞, 신촌기차역, 신촌역2호선, 신촌로타리, 창전현대홈타운, 광흥창역을 지나 서강대교로 한강을 건너
국회의사당역5번출구와 여의도역6번출구, 샛강역4번출구(여의도자이)를 거쳐 영등포구 대방역7번출구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샛강역1번출구(여의도자이)와 여의도역5번출구를 거쳐
국회의사당역/KB국민은행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동아운수 우이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163번은 북한산우이역 정류소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4시, 막차가 밤 22시30분에 출발하고 대방역7번출구에서 첫차가 새벽 05시35분, 막차가
밤 24시10분에 출발합니다. 막차가 우이동성원아파트에 도착하는 다음날 새벽 01시40분에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동아운수 우이동영업소 본사로 입고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3시간20분간
휴식에 들어갑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163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7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8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0분간격으로 운행되고 하루 운행대수는 인가대수 42대 중 예비차
1대를 제외하면 평일 41대, 토요일 39대, 일요일·공휴일 31대가 운행합니다. 하지만 매주 토요일
국회의사당 주변에서 도심 집회가 야간 시간까지 진행될 경우 이 노선은 임시 정차 정류소인 여의도
도심에 있는 여의도순복음교회와 여의도공원, 여의나루역1번출구, 공작아파트, 한국거래소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이기 때문에 대리운전기사들의 셔틀버스로 사용할 수
있지만 심야시간에는 수유리나 신촌, 여의도 도심으로 향하는 대리운전기사들이 이 버스를 타고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여의도 도심을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163번이 대방동 남쪽으로 통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버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획] '12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N30번이 서울지하철 2호선의 통과 구간인 을지로 도심을 통과하는 이유는? (0) | 2025.05.17 |
---|---|
[대기획] '강일신도시 주민들의 발' 서울시내버스 342번이 둔촌동 골목길을 통과하는 이유는? (2) | 2025.05.17 |
[대기획] '10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242번이 개포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은? (0) | 2025.05.03 |
[특별기획] '20년 부천의 발' 서울시내버스 661번이 여의도 도심 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6) | 2025.04.26 |
[대기획]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내버스 660번이 야구팬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는 사연은? (4)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