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올해로 '10년 서울의 발'을 맞이하여 중랑공영차고지와
개포동을 오고 가는 서울시내버스 242번이 개포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올해로 '10년 서울의 발'을 시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242번은 KD운송그룹 계열사에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대원교통에서 이 노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원교통에서 관리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242번이 신설된 과정은 이렇습니다. 과정을 다시 한번 분석하면 2015년 2월27일부터
2014년 하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대원교통이 과거 시절에 운행했던 지선버스
4434번과 순환버스 41번을 모두 통폐합하여 기점을 중랑공영차고지로 연장하고 회차 구간을 개포동으로
조정하면서 지금의 대원교통 소속 간선버스 242번으로 승격된 것입니다. 242번은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랑공영차고지 인근 신내역에서 출발하여 영동대교로 한강을 건너 강남구 개포동으로 넘어가는 두번째
간선버스 노선을 뜻하고 있습니다.
영동대교로 한강을 건너가는 이 노선의 경우 영동대교북단에서 청담치안센터를 거쳐 강남구청에 이르는
구간을 통과하지만 서울버스가 과거시절에 운행했던 서울시 지선버스 3219번이 영동대교남단에서
영동대교북단을 연결하는 구간을 삭제하고 회차 구간을 청담동으로 단축하면서 번호가 3426번으로
변경됨에 따라 영동대교북단에서 강남구청에 이르는 구간에서 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대원교통이 덜어드리기 위해 대원교통의 허명회 대표이사 회장과 허상준 대표이사 사장이
결단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면목동에서 영동대교북단에 이르는 구간은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146번의 과밀(혼잡) 문제를 해소하는 역할을 이 노선이 담당하고 이 노선이 영동대교로
한강을 건너 영동대교남단에서 우회전을 진행하여 청담사거리나 강남구청 방향으로 가는 수요도 아주
높습니다. 이 노선의 특징은 강남권에서 언주로와 연계된 교통편이라는 숨은 역할이 존재하지만 강남구
구간 중 도시철도 역이 없는 언주로 구간에서 역삼역이나 강남구청역으로 향할 때 이 노선을 반드시
이용하실 것을 권유 드립니다.
이 버스가 환승연계할 경우 청담동주민센터에서 갤러리아 명품관이나 압구정동, 고속터미널을 통과하는
노선과 연계할 수 있지만 이 버스가 통과하는 중랑구와 광진구, 성동구 구간에서 굴곡 구간이 없는 직선
구간으로 운행하며, 강남구 구간에서 굴곡으로 운행하는 경우가 있는 만큼 이 노선은 강남구 구간의 굴곡
구간에서 舊역삼세무서 사거리와 한티역을 연결하는 골목길을 지나갑니다. 개포동 골목길을 통과하는
이 노선은 용마산로 능산지하차도 구간에서 삼용사와 망우3동의 구간을 직통으로 통과하는 유일한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이 버스가 출발하는 하행(개포동방향)의 시점인 중랑공영차고지
인근 신내역이 있기 때문에 경춘선 전철과 서울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인 신내역에서 내려
중랑공영차고지 인근 신내역 부근 정류소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중랑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시내버스로 환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망우로와 봉화산로를 통과하지 않는 노선으로 운행을
하고 있으나, 평일 낮 시간과 토요일,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정체가 심각할 경우에는 배차간격이 많이
깨지면서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30분까지 벌어지면 아무리 기다려도 버스가 오지 않아 중랑공영차고지에
있는 대원교통 본사에서 항의전화가 빗발치는 돌발상황을 가장 먼저 감수해야 합니다.
대원교통에서 관리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242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대원교통에서 관리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242번은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랑공영차고지를 출고하여
중랑공영차고지 인근 신내역과 신내데시앙아파트, 신내초등학교, 능산지하차도, 삼용사입구,
용마공원입구, 우리은행망우동지점, 혜원여중고후문, 면목역2번출구, 면목복개천, 하나은행면목지점,
면목5동주민센터, 늘푸른근린공원, 면목신우아파트, 면목119안전센터, 면곡시장, 중곡아파트,
군자교, 송정동건영아파트, 서울숲아이파크, 화양사거리, 성수사거리(성수초등학교), 서울효사랑병원,
경수중학교, 영동대교북단을 지나 영동대교로 한강을 건너 청담동주민센터와 청담2치안센터,
천주교청담동성당, 강남구청(강남세무서), 청담동래미안아파트, 강남구청역, 펜투힐루논현,
논현아이파크, 시티프라디움더강남(라움아트센터), KT강남지사, 아가방빌딩/하나은행, 총지사,
예림당아트홀(신한은행전산센터), 역삼E편한세상아파트, 한티역8번출구(역삼2차아이파크),
도곡렉슬아파트정문, 중대부속고등학교, 도곡역4번출구, 구룡중학교, 우성3차아파트,
현대1차아파트, 개포래미안포레스트, 우성6차아파트, 포이초등학교, 국악중고등학교,
풍양빌딩, 광수빌딩, 개포지구대를 거쳐 강남구 구룡초등학교에서 끝나게 됩니다. 그리고
회차지점을 지나 우성3차아파트와 개일초등학교를 거쳐 대청중학교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대원교통에서 관리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242번의 기점기준은 중랑공영차고지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4시, 막차가 밤 22시30분에 출발하고 개포동 구룡초등학교에서 첫차가 새벽 05시25분,
막차가 밤 24시00분에 출발합니다. 막차가 중랑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01시15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40분 가량 휴식에 들어가면서
이날 운행을 모두 마무리합니다.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19대, 토요일 18대, 일요일·공휴일 15대가
운행하고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4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5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7분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이 버스가 통과하는 개포동 골목길 구간의 현대1차아파트와 우성3차아파트도 개포동 경남아파트와 함께
1980년대 중반에 입주를 시작한 이후 준공된 지 40년이 지났기 때문에 아파트 수명이 40년 이상 경과된
개포동 골목길의 현대1차아파트와 우성3차아파트는 개포동 경남아파트와 함께 재건축 준비를 앞두고
있습니다. 만약에 개포동 골목길에 있는 현대1차아파트와 우성3차아파트, 개포동 경남아파트가 동시에
재건축에 들어가면 추후에는 개포동에서 가장 큰 규모의 초고층 아파트 단지가 새로 나올 가능성이 있는
만큼 결과를 먼저 지켜봐야 합니다.
버스이야이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10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242번이 개포동 골목길을 통과하는 이유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버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획] '강일신도시 주민들의 발' 서울시내버스 342번이 둔촌동 골목길을 통과하는 이유는? (2) | 2025.05.17 |
---|---|
[대기획] 여의도 도심을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163번이 대방동 남쪽으로 가지 않는 이유는? (6) | 2025.05.10 |
[특별기획] '20년 부천의 발' 서울시내버스 661번이 여의도 도심 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6) | 2025.04.26 |
[대기획]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내버스 660번이 야구팬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는 사연은? (4) | 2025.04.19 |
[대기획] '일산신도시 주민들의 발' 서울시내버스 703번이 중산마을 굴곡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2)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