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이야기

[대기획] '12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N30번이 서울지하철 2호선의 통과 구간인 을지로 도심을 통과하는 이유는?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지난 2013년 9월12일에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의 신설 노선으로 영업운행을 개시한 이후 '12년 서울의 발'을 서울 시민과 함께하고 

있는 '12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N30번이 서울지하철 2호선의 통과 구간인 을지로 도심을 

통과하는 이유를 알아보고 천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왕산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을지로, 

남대문로를 통과하는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이 을지로, 남대문로 주변에서 수요가 

매우 많은 이유를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2013년 9월12일에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의 처음 신설된 노선인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은 서울승합이 단독배차로 운영하는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노선으로 늦은 심야시간과 

새벽 시간에 집으로 귀가하는 강동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서울승합 유한철 대표이사가 이 노선을 

최초로 신설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인가 거리는 48.2km에 이르지만 강동구를 연고지로 두고 

강동공영차고지를 본사로 쓰고 있는 서울승합이 이 노선을 단독배차로 운영하면서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노선 중 가장 짧지만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은 공동배차를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강동구 강동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노선 중 기점기준 첫차 

출발 시간이 가장 이르고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노선 중 기점기준 막차 출발 시간이 가장 

늦게 끊기는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버스는 하행(서울역버스환승센터방향)의 

시점인 강동공영차고지에서 가장 먼저 첫 손님을 맞이하고 서울지하철 5호선이 평일에 다음날 

새벽 1시 이후에 끊기거나 토요일·일요일·공휴일에 밤 24시10분 이후에 끊기면 지하철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대체 수단으로 강일신도시나 상일동, 명일동, 길동, 천호동 주변에서 

군자역이나 답십리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 을지로4가로 이동할려면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을 이용할 것을 권유 드립니다. 

 

서울지하철 5호선 상일동역~답십리역 구간이 야간시간에 끊기거나 서울지하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을지로4가 구간이 야간시간에 끊길 경우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을 이용할 것을 권유 드리며, 답십리역에서 동대문역/흥인지문에 이르는 

구간은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과 동일하지만 동대문역/흥인지문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와 을지로, 롯데백화점을 거쳐 북창동/남대문시장에 이르는 

구간은 서울시 간선버스 261번과 동일합니다. 광나루역~동대문역/흥인지문에 이르는 

구간은 심야버스로 운행하는 경기도 광역버스 9301번과 동일하지만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이 하남시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롯데백화점에서 숭례문을 거쳐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 이르는 구간은 심야버스로 운행하는 경기도 광역버스 9301번과 

동일합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의 경우 심야 유동인구가 많은 천호동과 동대문역 인근 

동대문종합시장,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 인근에 있는 동대문패션타운, 을지로, 명동,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심야 수요가 매우 높고 늦은 심야시간에 집으로 

귀가하는 동대문시장 상인들과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이 노선은 상행(강동공영차고지방향)의 경우 늦은 심야 시간에 집으로 돌아가는 건설 

노동자들의 수요가 매우 높지만 강동구애 있는 인력 업체들이 대부분 천호역 인근 천호동과 

성내동에 집중되어 있고,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자리가 완전히 채우면 동대문을 지나갈 때 

승객 밀도가 높아지면서 천호역에서 대부분 하차하는 승객 대부분은 집으로 귀가하는 천호동 

주변 승객 대부분이 전부입니다. 그렇지만 서울 도심권에서 업무를 보고 서울 도심에서 여가 

등을 즐기고 심야 시간이나 새벽 시간에 이 버스를 타고 귀가하는 승객들은 물론 야간시간에 

경부선 KTX를 타고 서울역에서 내려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서울 자택으로 귀가하는 

승객들의 수요도 아주 높습니다. 하행(서울역버스환승센터방향)의 경우 이 버스를 타고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하차 후 경부선 서울역에서 경부선 KTX 첫차를 이용하는 승객의 

수요가 매우 높지만 강동구 주변에서 서울 도심권으로 야간시간이나 교대 근무를 하는 

어르신 승객들도 많고 강동공영차고지에서 다음날 새벽 03시50분에 마지막으로 나가는 

막차 승객들은 강동구 지역 주변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 을지로, 명동,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주변으로 향하는 건물 청소원들과 경비원들의 수요는 물론 강동 

지역에서 이 버스를 타고 출근하는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이 버스는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 정차할 때 하행(서울역버스환승센터방향)의 경우 

숭례문 중앙정류소를 먼저 나와 하행(서울역버스환승센터방향)의 종점인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에 진입하여 

하행(서울역버스환승센터방향)의 종점인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에 

정차하며, 회차 후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을 나와 

상행(강동공영차고지방향)의 시점인 숭례문 가변차로 정류소와 

남대문시장(이회영 활동 터), 롯데영프라자, 을지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 

동대문역/흥인지문, 숭인동,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동대문구청을 지나 동남부방향을 따라 

천호동 방향으로 향합니다.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의 배차간격은 평균 

40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이 버스의 종점인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에서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16번으로 환승이 가능하고 서울역버스환승센터의 서남부방향 

4번승강장과 한국은행·시청방향 7번승강장에서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15번·N75번으로 

환승이 가능합니다. 

 

서울승합이 단독배차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서울승합이 단독배차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은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동공영차고지를 출고하여 고덕리엔파크1단지와 해뜨는주유소, 상일동역4번출구(센트럴푸르지오), 

상일동역1번출구, 고덕그라시움, 고덕평생학습관/온조대왕체육관, 고덕역3번출구, 배재중고등학교, 

동부기술교육원, 명일역2번출구, 명일역1번출구/명일전통시장, 굽은다리사거리, 

굽은다리역·강동구민회관(강동홈플러스), 십자성마을, 천동초등학교입구사거리, 길동역1번출구, 

서울프라임한방병원,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강동역1번출구(동신중학교), 천호역을 지나 

천호대교로 한강을 건너 광나루역과 새밭교회,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중곡동입구삼거리, 

군자역(용마초등학교), 군자교입구, 장한평역, 청년회의소, 답십리역사거리,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동대문구청, 서울시동부병원,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동묘앞역, 

동대문역/흥인지문, 종로중부새마을금고,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 을지로, 롯데백화점, 

해운센터(롯데영프라자), 북창동/남대문시장, 숭례문 중앙정류소를 통과하면서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을 나와 숭례문과 남대문시장(이회영 활동 터), 롯데영프라자를 거쳐 

을지로입구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서울승합이 단독배차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은 강동공영차고지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밤 23시10분, 막차가 다음날 새벽 03시50분에 출발하지만 회차 구간인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동남부방향 5번승강장에서 첫차가 밤 24시20분, 막차가 다음날 새벽 5시에 

출발하고 막차가 강일신도시 인근 강동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아침 6시가 지나면 운행을 

모두 마무리하고 다음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강동공영차고지에서 잠을 청하게 됩니다. 

 

다만 이 버스가 통과하는 서울지하철 2호선의 통과 구간인 을지로 도심을 통과할 때 서울지하철 

2호선의 을지로 구간이 야간시간에 끊길 경우 대체 노선으로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을 

이용하실 것을 권유 드립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12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N30번이 서울지하철 2호선의 통과 구간인 을지로 도심을 통과하는 

이유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