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이야기

[대기획] '20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320번이 중곡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은?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올해로 '20년 서울의 발'을 맞이한 

서울시내버스 320번이 중곡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을 알아보고 중곡동 골목길과 

면목동·신내동 골목길을 통과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이 잠실 도심에서 중랑구 골목길 

구간을 독점 운행하여 중랑구 지역에서 잠실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의 수요를 

독차지하게 된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올해로 '20년 서울의 발'을 맞이한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은 서울특별시 송파구를 연고지로 두고 

송파공영차고지를 본사로 사용하는 남성버스에서 이 노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의 

인가거리는 39.5km에 이르지만 320번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복정역환승센터 3번승강장을 

출발하여 잠실대교로 한강을 건너 중랑구 중랑구청으로 넘어가는 간선버스 노선을 뜻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은 남성교통에서 최초로 신설한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원래부터 당시 

남성교통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본사를 두고 있었지만 송파공영차고지가 개소된 이후 

남성교통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차고지를 매각하고 본사를 송파공영차고지 구내로 

이전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2010년 4월29일부터 이 노선의 회차 구간이 

상봉터미널에서 중랑구청으로 연장되었지만 이 노선을 이용하기 어려운 면목한신아파트 주민들의 

불편이 가중됨에 따라 중랑구청의 권고로 인해 이 노선은 지난 2016년 6월에 면목육거리에서 

상봉역으로 가지 않고 서울우유 본사까지 돌아서 가도록 변경하는 안건에 대해 의견조회를 받게 

됩니다. 그러나 이듬해인 2017년 2월25일부터 하행(중랑구청방향)에 한정하여 면목육거리와 

금성시장, 면목2동주민센터, 면목5동(겸재교), 면목2동한신아파트, 서울우유, 중랑역/동부시장, 

상봉역/중랑우체국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운행경로가 변경되었지만 변경된 이후 중랑역/동부시장 

정류소를 무정차하다가 경의·중앙선 환승 승객들과 동부시장 상인들의 항의가 빗발치면서 결국 

남성교통은 경의·중앙선 중랑역으로 환승하는 이용 승객들과 동부시장으로 출퇴근하는 동부시장 

상인들의 민원 사항을 반영하여 2017년 11월17일부터 중랑역/동부시장 정류소를 추가 정차하게 

됩니다. 

 

2021년 2월3일부터 송파공영차고지의 도로 개량 공사가 완료되면서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의 

기점은 하행(중랑구청방향)의 시점으로 시작되는 복정역환승센터 3번승강장이 이 노선의 기점으로 

시작되고 하행(중랑구청방향)으로 운행을 시작할 때 송파공영차고지를 먼저 출고하여 복정역환승센터 

3번승강장에서 첫 손님을 맞이하고 가락시장 방향으로 운행을 시작합니다. 다만 상행(복정역방향)으로 

운행을 종료할 때 복정역환승주차장 가변차로 정류소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복정역환승주차장에서 송파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실시하여 송파공영차고지로 입고합니다. 

 

이 노선은 원래부터 상봉터미널을 경유했던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추석연휴 및 설날연휴 

기간에 2일간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을 실시했으나, 상봉터미널이 터미널 시설의 노쇠화로 인해 

완전히 철거되면서 이 노선은 2일간 진행되었던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을 더 이상 실시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 버스는 특정사항으로 본다면 송파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잠실대교, 천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망우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하지만 송파구청, 광진구청, 중랑구청으로 

출퇴근하는 공익근무요원들의 수요가 매우 높고 송파구청, 광진구청, 중랑구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의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이 버스의 경우 대부분의 수요는 마을버스와 중복구간이 없는 

중랑구 지역과 잠실역 이남을 오가는 승객들이 주로 많지만 장지역(가든파이브)에서 중곡동에 

이르는 구간은 서울시 간선버스 422번과 동일합니다. 장지역(가든파이브)에서 중곡동까지 가는 

두 가지 노선 중 하나를 선택할려면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을 타고 빠르게 가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한편으로는 광진구와 중랑구 깊숙이 들어가는 경기도 도시형버스 70번을 견제하기 위한 노선으로 

평가를 받고 있지만 실제로 경기도 도시형버스 70번은 오랫동안 중곡동·망우동 지역과 천호동·잠실 

지역을 이어주는 독점 노선으로 운행되었지만 2005년 8월5일 잠실 방면으로 빠르게 연결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이 빠르게 개통되면서 잠실 수요 대부분을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이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경기도 도시형버스 70번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로 수요가 악화되면서 

2022년에 폐선됨에 따라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이 잠실~중랑구 구간의 독점을 담당하게 된 것입니다. 

 

그렇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은 송파구, 광진구, 면목동 구간이 일직선이기 때문에 시간이 적게 

소요되지만 상봉동·망우동 일대의 편도회차 구간이 길고 좌회전·우회전이 편도회차 구간에서만 

10번이나 되어 여기서 시간을 많이 소요하는 만큼 편도회차 구간에서는 빠른 속도로, 면목동과 

중곡동 구간에서는 느린 속도로 운행하면서 시간을 맞추게 됩니다. 이 버스가 통과하는 상봉역의 

경우 경강선 KTX와 경의·중앙선, 지하철 7호선, 경춘선 전철과 환승이 가능합니다. 

 

남성버스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남성버스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의 실제 노선을 살펴보면 이 노선은 

하행(중랑구청방향)의 시점인 복정역환승센터 3번승강장에서 첫 손님을 맞이하여 장지역(가든파이브)와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문정로데오거리입구, 가락시장, 송파역, 석촌역, 석촌호수/한솔병원, 

잠실역(롯데월드몰), 잠실역/잠실대교남단, 잠실대교전망쉼터를 지나 잠실대교로 한강을 건너 

자양동/잠실대교북단과 동서울우편집중국, 광진구청, 광진경찰서, 구의사거리, 구의2동주민센터입구, 

어린이대공원후문, 중곡동입구, 신성시장, 대원여자고등학교, 대원고등학교, 용암사입구, 

용마산하늘채아파트, 용마산역(면목도시개발아파트), 용마폭포공원, 면목동금호어울림아파트, 

한양수자인사가정파크, 면중초등학교, 중화중학교(면목고등학교), 면목본동파출소, 동원시장, 

망우3동주민센터/혜원여중고후문, 면목6거리, 서울창업카페상봉점, 면목2동주민센터, 

동서그랜드맨션, 겸재교입구/서울시집집마당, 면목2동한신아파트, 신성은하수아파트, 서울우유, 

중랑역/동부시장, 상봉역/중랑우체국, 상봉1동주민센터, 신내쌍용아파트, 신내테크노타운, 

LG아파트, 신현중학교, 중랑구청을 지나 중랑구 중랑구청사거리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성원아파트(경남아너스빌)과 신내지하차도, 망우지구대, 더샵퍼스트월드아파트를 거쳐 

망우3동주민센터/혜원여중고후문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남성버스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은 매년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 여러분들이 

수능시험을 보는 수능일이 되면 대원여자고등학교, 대원고등학교, 면목고등학교, 

혜원여자고등학교로 향하는 수험생들의 셔틀버스로 사용되지만 첫차 시간대와 새벽시간에는 

가락시장, 신성시장, 동원시장, 동부시장으로 출퇴근하는 가락시장 상인들과 신성시장 상인들, 

동원시장 상인들, 동부시장 상인들의 통근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남성버스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9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0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2분간격으로 운행하고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25대, 토요일 24대, 일요일·공휴일 22대가 운행하며, 서울시 간선버스 320번은 

기점기준으로 복정역환승센터 3번승강장에서 첫차가 새벽 4시, 막차가 밤 23시00분에 

출발합니다. 회차 구간인 중랑구청에서 첫차가 새벽 05시15분, 막차가 밤 24시20분에 출발하면 

막차가 복정역환승주차장 가변차로 정류소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는 다음날 새벽 01시15분에 야간운행이 모두 종료되면 송파공영차고지로 입고하여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40분 가량 휴식에 들어갑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20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320번이 중곡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