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2025년 을사년 새해 신년특집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올해로 '15년 서울의 발'을 맞이하여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내버스 653번이 화곡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들을 알아보고 화곡터널을 빠르게 통과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653번이 화곡동 골목길을 통과하여 서서울호수공원과 오류나들목을 통과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서울특별시의 서남부 주민들의 편의를 제공하기까지의 과정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653번은 영인운수, 신길교통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2010년 8월21일부터 2010년 하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영인운수와 신길교통이 최초로 신설한 간선버스 노선에 해당됩니다.
653번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외발산동을 출발하여 금천구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넘어가는
세번째 간선버스 노선을 뜻하고 있습니다.
인가 거리는 28km에 이르지만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11대, 토요일 10대, 일요일·공휴일 8대가
운행하고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6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7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8분간격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이 노선이 신설된 것도 서울시 간선버스 652번의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영인운수와 신길교통이 공동배차로 운행할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을
신설하게 된 것입니다. 그렇지만 신월동역에서 까치산역까지 빠르게 가는 교통편을 마련하기
위해 이 노선을 신설하게 되었습니다.
2017년 7월22일부터 하행(가산디지털단지역방향)의 시점인 외발산동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이 노선이 출발할 때 바로 나가지 않고 메이필드호텔 방향으로 돌아서 나가는 루트로 변경되며,
상행(외발산동방향)으로 돌아올 때 강서면허시험장을 먼저 들리고 U턴을 하여
강서면허시험장(메이필드호텔)에서 운행을 종료하는 방식으로 운행경로가 다시 변경됩니다.
그리고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이 노선은 2020년 2월1일부터 시행하는 2020년 상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디지털3단지/영창실업, 디지털3단지사거리를 더 이상
통과하지 않게 되었고, 구일우성아파트와 디지털3단지운동장, 디지털3단지(로움코리아)를
통과하여 가산디지털단지역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운행경로를 다시 변경하게 됩니다.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이 노선은 까치산역 역세권에서 가산디지털단지 방면으로 갈 때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배차간격이 좋지 않다는 여러 가지의 단점이 있으며,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이
노선의 특징은 화곡역과 까치산역으로 환승하는 화곡동 주민들, 신월동 주민들의 수요가 매우
높지만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환승하는 오류동 주민들, 개봉동 주민들, 신월동 주민들이 많고
서서울호수공원으로 나들이를 가는 승객들의 수요가 많습니다.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이 노선이 화곡동 골목길을 통과하는 이유도 화곡역과 까치산역에서
중요한 노선으로 평가받고 있는 만큼 까치산역~신정동~개봉동 구간을 서울시 간선버스
652번보다 더 빨리 갈 수 있는 장점이 많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652번과 달리
화곡역에서 우회전하고 왕복 2차선의 골목길을 굽이굽이 돌아가지 않고 화곡터널로 바로
통과하지만 화곡역에서 서서울호수공원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외발산동에서 신정동이나 개봉동을 이용할 때 이 노선을 이용하는 대신 서울시 간선버스
651번을 타는 것이 가장 빠르지만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653번은 화곡역과
까치산역을 찍고 화곡동 골목길로 들어가며, 서울시 간선버스 662번의 경우 신정 이펜하우스
단지 방향으로 돌아가지만 서서울호수공원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에 이르는 구간은 서울시
간선버스 652번과 동일하기 때문에 서서울호수공원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 방향으로 갈 때
두 가지 노선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용하면 빠르게 갈 수 있습니다.
개봉역에서는 수도권전철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지만 서부트럭터미널에서 개봉역에 이르는
구간은 공동배차로 운행하고 있는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61번으로 환승하실 수
있으며, 화곡역~까치산역 구간에서는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64번으로 환승하실 수 있습니다. 인가거리가 아주 짧은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이지만
서울특별시 서남부 지역 주민들의 수요가 많은 노선인 만큼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이 노선은
외발산동에서 출발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노선 중 막차가 약간 늦게 출발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영인운수, 신길교통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653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영인운수, 신길교통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653번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외발산동 영인운수 차고지 본사 정류소에서 첫 손님을 맞이한 뒤 대한항공(메이필드호텔)과
강서면허시험장/강서농수산물시장, 강서면허시험장(메이필드호텔), 외발산신광명마을,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신화중학교,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화곡역6번출구,
화곡역5번출구, 까치산역4번출구, 화곡동유림아파트, 강서한방병원, 신영시장,
서서울호수공원, 과학수사연구소입구, 경창빌딩, 강신중학교, 서부트럭터미널,
신정현대아파트, 개봉1동사거리, 개봉고가, 개봉역, 철산리버빌아파트, 구일우성아파트,
가산디지털단지입구, 디지털3단지(롯데이노베이트), 디지털3단지운동장,
디지털3단지(로옴코리아)를 지나 금천구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끝나게 됩니다. 그리고
회차지점을 지나 에이스하이엔드타워5차를 거쳐 구일우성아파트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영인운수, 신길교통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653번은 외발산동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4시30분, 막차가 밤 23시20분에 출발하고 회차 지점인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첫차가 새벽 05시10분, 막차가 밤 24시05분에 출발하며, 막차가
외발산동 영인운수 차고지로 돌아오는 밤 24시45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3시간45분 정도 휴식에 들어갑니다.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15년 서울의 발'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내버스 653번이 화곡동 골목길을 통과하는
사연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버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획] '20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320번이 중곡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은? (0) | 2025.02.08 |
---|---|
[대기획] '15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333번이 야구팬들의 단골 노선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연은? (6) | 2025.02.01 |
[대기획] '15년 고양의 발' 서울시내버스 771번이 경기도 고양특례시 덕양구 능곡지구 굴곡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6) | 2025.01.18 |
[특별기획]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145번이 압구정동 도심을 통과할 때 압구정역 대신 압구정로데오거리를 통과하게 된 사연은? (2) | 2025.01.11 |
[특별기획] '20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652번이 화곡동 신월초등학교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은? (1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