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2025년 을사년 새해 신년특집 시간에서는 2025년 을사년
새해를 맞이하여 '21년 서울의 발'을 서울특별시 동북부 지역 주민들과 함께한 서울시내버스
145번이 압구정동 도심을 통과할 때 압구정역 대신 압구정로데오거리를 통과하게 된 사연을
알아보고 압구정로데오거리를 통과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145번이 도산대로와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들을 버스이야기의 특별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올해로 '21년 서울의 발'을 맞이한 서울시 간선버스 145번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성당
인근에 있는 한성운수 번동사업소 본사에서 이 노선을 관리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버스는 한천로 구간의 주민들이 강남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수요가 매우 많고 답십리와
왕십리에서 강남 도심에 이르는 구간의 수요가 매우 높기 때문에 답십리 일대에서 강남
도심으로 갈 수 있는 노선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노선의 경우 중앙버스전용차로 통과 구간인 신사역~강남역 구간을 제외하면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하는 구간이 없기 때문에 특히 140번대 간선버스 노선들 중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하지 않는 간선버스 146번을 제외하면 한강 이북 지역에서 유일하게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하지 않는 특정사항이 있습니다.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있는 구간인
천호대로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한번도 이용하지 않는 이 노선은 답십리역, 신답역, 용두역을
연계할 수 있는 노선으로 운영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버스가 신사역을 통과할 때 상행(번동방향)의 경우 신사역 중앙정류소에 정차한 다음
신사역3번출구 가변차로 정류소에 추가 정차합니다. 이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와 신사역
출구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지하철 신사역으로 환승하는 버스 승객의 편의를 위한 특단의
조치를 서울특별시가 내렸기 때문에 버스를 타고 지하철 신사역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의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노선은 서울교통공사 본사를 경유하는 유일한 간선버스 노선이지만 상행(번동방향)으로
운행할 때 천호대로에서 한천로로 바로 좌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골목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고 바로 이 구간에서 서울교통공사(서울새활용플라자) 정류소에 정차하여 다시 번동 방향으로
향합니다. 이 노선은 같은 회사의 간선버스 148번과 번동에서 분리되어 용두역에서 다시 만나지만
압구정동에 있는 성수대교남단에서 다시 갈라지면서 신사역~논현역 구간에서 잠깐 만나는 구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왕십리역 부근 성동구청에서 신사역까지는 같은 회사의 간선버스 148번을
이용해야 더 빠르게 갈 수 있습니다. 반면 서울시 간선버스 145번은 갤러리아백화점 인근
압구정로데오역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강남 도심 구간에서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압구정로데오거리 도심 구간과 도산대로~강남대로 도심 구간에서는 시간대와 상관없이
가축수송을 진행하기 때문에 승객들이 너무 많이 몰릴 경우 시내버스 운전기사가 "탑승 불가, 다음
차량을 이용해주세요"라는 표시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노선은 과거 시절인 1997년, 좌석버스에서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할 때 번동을 출발하여
성수대교로 한강을 건너 압구정역과 신사동고개, 신사역, 논현역, 서울성모병원을 거쳐
고속터미널에서 끝나는 한성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716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시작됩니다.
한성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716번은 1997년부터 좌석버스에서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된
노선으로 압구정동, 신사동으로 향하는 멋쟁이들과 패션에 관심있는 오렌지족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으며,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전국 지역의 고속버스 노선을 타고 지방으로 향하는
고속버스 승객들의 수요가 가장 많고 압구정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아파트 주민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습니다.
2000년 봄, 한성운수 개편전 도시형버스 716번은 같은 회사의 도시형버스 29번과 중복되는
구간인 논현역~고속터미널 구간을 삭제하고 회차 구간을 고속터미널에서 강남역으로 변경하는
조치를 진행하면서 강남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고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간선버스 145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지만
이듬해인 2005년 6월1일 중복되는 구간인 성수대교남단~신사동고개 구간을 같은 회사의
간선버스 148번으로 대체하는 대신 성수대교남단과 압구정로데오역, 선릉로, 도산대로를 거쳐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으로 통과하는 방식의 운행경로를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한성운수 번동사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145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8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0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2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145번의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34대, 토요일 31대, 일요일·공휴일 26대가
운행을 하고 있으며, 평일 새벽시간대와 토요일 새벽시간대에 한정하여 첫차 차내 혼잡도 완화를
목적으로 첫차 집중배차가 시행되어 북부수도사업소 기점기준으로 첫차 새벽시간대 2대가 동시에
출발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한성운수 번동사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145번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에
있는 북부수도사업소를 출발하여 강북보건소와 번동주공4단지, 번동주공3단지, 번동주공1단지,
월계2교(참누리아파트), 광운초등학교, 남대문중학교, 장위3동주민센터, 장위사거리, 석관중고등학교,
석관동코오롱아파트, 한천로쌍용아파트, 이문동삼익아파트, 동일스위트리버아파트(휘봉고등학교),
서울준법지원센터(동성빌라), 휘경여중고(휘경주공아파트), 배봉산입구, 전곡시장,
답십리래미안엘파인아파트, 답십리촬영소(우성그린아파트), 동답초등학교(대림아파트),
동답한신·동아아파트, 동아위더스빌아파트, 고미술상가, 답십리역/동부시장, 신답역,
청계한신휴플러스, 동대문구청/용두역, 마장축산물시장, 도선사거리, 성동구청, 무학여고,
뚝섬서울숲을 지나 성수대교로 한강을 건너 압구정파출소와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
일지아트홀, 씨네시티, 도산공원사거리, 신사동교회, 신사동고개, 신사역8번출구(가로수길),
신사역/푸른저축은행, 논현역, 지하철2호선강남역, 강남역/하나은행, 수협서초지점,
서초청소년도서관을 거쳐 서초구 래미안에스티지에스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롯데칠성을 통과하여 지하철2호선강남역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한성운수 번동사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145번은 매년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이 보는 수능시험일이 되면 석관고등학교와 휘봉고등학교, 휘경여자고등학교,
무학여자고등학교, 압구정고등학교로 향하는 수험생들의 셔틀버스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서울시 간선버스 145번은 북부수도사업소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4시, 막차가 밤 22시40분에
출발하지만 강남역 부근 래미안에스티지에스에서 첫차가 새벽 05시15분, 막차가 밤 24시00분에
출발합니다. 막차가 한성운수 번동사업소에 돌아오는 다음날 새벽 01시10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50분간 휴식에 들어갑니다.
버스이야기가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2025년 을사년 새해 신년특집으로 준비했던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21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145번이 압구정동 도심을 통과할 때 압구정역 대신
압구정로데오거리를 통과하게 된 사연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