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2025년 을사년 신년특집으로 준비한 대기획 시간에서는 '15년 고양의 발'을
수도권 주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771번이 경기도 고양특례시 덕양구 능곡지구
굴곡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를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올해로 '15년 고양의 발'을 수도권 주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은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대화동에 본사를 두고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에 주사무소를 두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이 노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해운수가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를 연고지로 두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유명할 만큼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은
준심야버스로 운행하기 때문에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에서 출발하는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노선 중 서울시 간선버스 707번에 이어 두번째로 첫차가 출발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24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26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27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11대, 토요일 10대, 일요일·공휴일 10대가 운행하고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대화동 성저마을 건영아파트 10단지 인근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출발하는 간선버스의 첫차 노선 중 가장 먼저 첫차가 출발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의 인가 거리는 53km에 이르기 때문에 서울에서 고양특례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의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이 노선은 하행(디지털미디어시티방향)의 경우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 인근 정류소에서 가장
먼저 첫 손님을 맞이하여 동문·태영아파트와 일산시장, 현대홈타운을 지나 산들마을5단지 사거리에서
합류하지만 상행(일산방향)의 경우 산들마을5단지 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하여 산들마을5단지와 일산역,
대우·동양아파트(후곡마을1·2단지)를 통과하여 도착 지점인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에서 마지막
승객을 모두 내려놓고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로 입고합니다. 다만 이 버스가 정차하는 일산역에서
광역전철 서해선과 경의·중앙선 전철로 환승이 가능할 수 있지만 경의·중앙선 열차의 배차간격이 길고
일산역에서 출발하는 서해선 열차의 배차간격이 매우 길기 때문에 이 버스가 통과하는 일산역의 경우
시내버스에서 광역전철 경의·중앙선, 서해선 전철로 환승하실 때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 노선은 과거 시절인 88서울올림픽이 열리는 1988년, 경기도 고양시가 시로 승격되기 전 경기도
고양특례시 덕양구 원릉역과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3번출구를 오고 가는 동해운수 개편전
일반좌석버스 748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시작됩니다.
원릉역과 서울역을 오고 가는 동해운수 개편전 일반좌석버스 748번은 1994년부터 서울특별시의
심야좌석버스 정책 시행에 의거하여 번호가 동해운수 개편전 심야좌석버스 915번으로 번호가
변경되고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동해운수 개편전 심야좌석버스 915번은
동해운수가 심야버스로 운행했던 서울시 광역버스 9713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동해운수
원릉영업소에서 출발하는 서울시 광역버스 노선 중 막차 출발 시간이 가장 늦게 끊기는 노선으로
운행합니다.
이듬해인 2005년 2월28일, 동해운수에서 심야버스로 운행하는 서울시 광역버스 9713번은 기점이
경기도 고양특례시 덕양구 원릉역에서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대화동에 있는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로 연장되고 기점이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대화동에 있는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로 연장되면서 서울에서 일산호수공원으로 나들이를 가는 승객들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는 것과 동시에 서울에서 킨텍스 종합전시장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의 수요가 늘어나게 됩니다.
동해운수가 심야버스로 운행했던 서울시 광역버스 9713번의 실제로 연장된 노선을 살펴보면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동해운수 본사를 출발하여 성저초등학교와 농수산물센터, 고양종합운동장,
장성마을 단지, 킨텍스, 문촌마을 단지, 강선마을 단지, 일산호수공원, 강촌마을8단지(우방아파트),
백마마을 단지, 백마교, 식사오거리, 원당중학교, 고양특례시청, 원릉역, 동양쇼핑, 고양소방서,
동부아파트, 화정지구, 고양경찰서, 행신초등학교, 서정마을, 항공대학교, 덕은교/은평차고지앞,
수색교,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북가좌동삼거리, DMC래미안·E편한세상(요진아파트),
모래내시장/가좌역, 사천교, 연희104고지앞/舊성산회관, 서대문우체국, 연대앞, 세브란스병원앞,
이대후문, 금화터널, 사직터널, 사직단, 서울경찰청/경복궁역, 광화문광장/세종문화회관,
광화문/광화문빌딩, 시청앞/신한은행본점을 지나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3번출구에서 끝나는
노선으로 운행되었고, 회차지점을 나와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과 미동초등학교,
충정로역(경기대입구), 아현역, 웨딩타운, 이대역, 신촌아트레온,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를
거쳐 연대앞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그렇지만 2008년 5월7일부터 동해운수에서 심야버스로 운행했던 서울시 광역버스 9713번은
성저초등학교와 고양종합운동장, 장성마을 단지, 킨텍스, 문촌마을 단지, 강선마을 단지,
일산호수공원, 강촌마을8단지(우방아파트), 백마마을 단지, 백마교를 통과하는 구간을 전면
삭제하고 성저초등학교를 지나 덕이동 로데오거리와 탄현지하차도, 신원아파트,
한뫼초등학교(일산중고등학교), 일산시장, 일산복음병원, 안곡중고등학교, 동국대병원사거리,
세원고등학교를 거쳐 식사오거리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운행경로를 다시 변경하지만 서울시의
장대 노선 대수술 조치로 인해 2010년 1월8일부터 시행하는 2009년 하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수색교~서울역 구간을 모두 삭제하고 수색교와 DMC첨단산업센터,
상암중고등학교, 상암DMC홍보관/YTN, 상암초등학교를 거쳐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회차하는
구간을 변경하는 것과 동시에 지금의 동해운수 소속 간선버스 771번으로 형간전환되어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그러나 동해운수가 운행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은 2012년 9월7일부터 경기도 고양특례시
덕양구의 능곡지구 굴곡구간을 모두 삭제하고 화정지구와 고양경찰서, 행신초등학교, 서정마을을
대폭 직선화하는 구간으로 변경되면서 동해운수가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은 이 버스가
운행하는 경기도 고양특례시 덕양구의 능곡지구 굴곡구간을 다시 조정해야 한다는 고양특례시청의
엄격한 판단과 서울특별시의 엄격한 판단에 따라 2년9개월간 경유했던 경기도 고양특례시 덕양구
능곡지구 굴곡구간을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의
대화동 기점기준 막차 출발 시간이 밤 24시15분에서 밤 23시50분으로 단축됩니다.
하지만 2015년 2월27일부터 시행하는 2014년 하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으로 인해
이 노선의 폐선안이 올라왔지만 "고양특례시가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의 폐선을 불허한다"며
서울특별시에 불허 통보를 내리면서 결국 서울특별시는 백기를 들게 되고 이 노선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서울에서 고양특례시청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의 수요도 담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19년 2월15일, 동해운수는 서울시의 장대 노선 대수술 조치로 인해 운행경로가 변경되는
동해운수에서 운영중인 서울시 지선버스 7728번이 화정지구 통과 구간과 능곡지구 굴곡구간,
서정마을~북가좌동삼거리 구간을 모두 삭제하고 신원당마을 단지와 원당역, 원흥뉴타운을 거쳐
북가좌동삼거리와 모래내시장/가좌역을 통과하는 운행경로를 결국 변경하게 됨에 따라
동해운수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은 원릉역과 성사고등학교, 원당대림아파트,
원당래미안아파트, 신원당마을7단지를 통과하는 구간을 변경하게 됩니다. 그리고 대화동
기점기준 첫차가 새벽 04시10분으로 조정되고, 대화동 기점기준 막차가 밤 23시30분으로
조정됩니다.
동해운수가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은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대화동 동해운수 본사에서 가장 먼저 첫 손님을 맞이한 뒤
동문·태영아파트와 일산시장, 현대홈타운, 일산복음병원/일산하이병원, 하늘마을2·6단지,
안곡중고등학교, 약산마을(애니골입구), 사단앞, 동국대병원사거리,
은행마을3단지(일산자이센트리지), 식사동, 식사오거리, 원당중학교, 고양시청(덕양구보건소),
원당초등학교입구, 원릉역, 성사고등학교, 원당대림아파트, 세창짜임아파트, 원당연세병원,
신원당마을7단지,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고양어울림누리(달빛마을1단지), 화정1동행정복지센터,
명지병원(달빛마을3단지), 화정역/덕양구청, 별빛마을8단지(롯데마트), 고양어린이박물관,
고양경찰서/토당청소년수련관, 행신초등학교, 행신동, 소만마을, 서정마을, 화도교, 화전파출소,
덕은초등학교(덕양중학교), 덕은동, 덕은교/은평차고지앞, 수색교삼거리, DMC첨단산업센터,
상암초등학교, 월드컵파크5단지, 상암DMC홍보관/YTN, 상암초등학교, 상암DMC센트럴파크,
디지털미디어시티역(중동교)를 지나 서울특별시 마포구 디지털미디어시티역2번출구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DMC상암센트럴파크를 거쳐 상암초등학교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이기 때문에 심야시간에는 대리운전기사들의 셔틀버스로
사용이 가능하며, 원당이나 화정에서 상암동을 연결하는 노선은 이 노선밖에 없기 때문에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배차간격이 30분을 넘겨 환승이 불가능하는 돌발 사태도 벌어지는 이런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 노선을 타고 경기도 고양특례시에 진입하면 경기도 고양특례시 차적의
광역버스 1000번으로 환승을 하고 택시로 갈아탈 때 교통비를 크게 아낄 수 있습니다.
이 노선은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회차할 때 꽈배기굴처럼 회차를 하기 때문에 좌회전 금지는 물론
U턴도 할 수 없고, 좌회전도 할 수 없는 특정사항이 있으므로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구간에서 꽈배기굴
방식의 회차 형태로 운행을 하고 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인근 중동교 정류소에 정차한 뒤 다시
상암동의 한샘 본사를 돌고 서울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2번출구 정류소에 정차하는
방식으로 운행합니다. 그렇지만 상암동 한샘 본사 루프 구간에는 정류소가 없기 때문에 부득이하게도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출구에 정차할 수 없는 문제가 많습니다. 이 노선이 운행하는
대부분은 경기도 고양특례시 구간이지만 이 노선이 운행하는 서울 구간은 수색교와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구간이 유일하며, 회차 구간으로 운영되는 하행(디지털미디어시티방향)의 종점인
디지털미디어시티역2번출구에서 서울지하철 6호선과 광역전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로 동시에
환승이 가능합니다. 이 버스가 현재 화정지구를 통과할 때 간접 연계되는 지역인 화정역에서는
서울지하철 3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지만 화정지구 구간에서 서울시 간선버스 707번으로 환승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내버스 이용에 참고하시면 됩니다.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771번은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4시10분, 막차가 밤 23시30분에 출발하고 회차 지점인
디지털미디어시티역2번출구에서 첫차가 새벽 05시35분, 막차가 다음날 새벽 1시에 출발하며,
막차가 경기도 고양특례시 일산서구 대화동의 동해운수 대화동영업소 본사로 돌아오는 다음날
새벽 02시10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 정도
휴식에 들어갑니다.
버스이야기가 2025년 을사년 신년특집으로 준비한 대기획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15년 고양의 발' 서울시내버스 771번이 경기도 고양특례시 덕양구 능곡지구 굴곡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