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2018년 하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대성운수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인 '위례신도시
주민들의 발' 서울시내버스 343번이 세곡뉴타운과 고속철도수서역으로 가지 않는 이유를 먼저
살펴보고 세곡뉴타운과 고속철도수서역으로 가지 않는 간선버스 노선인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이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으로 회차 구간을 연장시킨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공영차고지를 본사로 사용하고 서울특별시
송파구를 연고지로 사용하고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대성운수에서 이 노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343번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을 출발하여 강남구
압구정로데오역으로 넘어가는 세번째 간선버스 노선을 뜻하지만 대성운수에서 최초로 신설된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은 지난 2018년 8월24일부터 시행되는 2018년 하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송파공영차고지와 종로5가를 오고 가는 서울시 간선버스 407번이 결국
폐지되면서 서울시내버스 407번의 단축 노선으로 신설되었습니다.
당시 노선은 송파공영차고지를 출고하여 위례신도시 도심과 장지역2번출구, 문정법조단지,
문정로데오거리입구, 가락시장, 수서나들목, 고속철도수서역, 세곡동사거리, 대왕초등학교를 지나
세곡뉴타운의 세곡중학교(세명초등학교)에서 끝나는 단거리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영되다가
세곡뉴타운 주민들의 수요가 저조하게 됨에 따라 결국 대성운수가 특단의 조치를 내리고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의 회차 구간을 고속철도수서역으로 단축하면서 세곡뉴타운~수서역 구간을
삭제합니다. 이 노선은 고속철도수서역~세곡뉴타운 구간이 삭제되고 회차 구간이 수서역으로
단축되면서 수도권고속철도 SRT를 타고 서울 집으로 돌아오는 고속철도 이용객의 수요가 많이
늘어나게 됩니다. 당시 이 노선은 고속철도수서역을 경유할 때 추석연휴 및 설날연휴 기간에 2일간
명절연휴 심야 연장운행을 실시한 경력이 있으며, 이 노선이 당시 2일간 심야 명절연휴 연장운행을
실시할때 수도권고속철도 SRT를 타고 고속철도수서역에서 이 노선을 승차하여 위례신도시
자택으로 돌아가는 버스 승객들의 수요가 많았습니다.
이 때 당시 이 노선은 2020년 2월1일부터 시행하는 2020년 상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고속철도수서역~세곡뉴타운 구간을 삭제하면서 회차 구간을 고속철도수서역으로
단축했습니다.
그렇지만 2021년 2월3일부터 송파공영차고지 구간의 도로 개량공사와 함께 복정역환승센터가
신설되면서 이 노선은 지금의 기점인 하행(압구정역방향)의 시점으로 시작되는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에서 출발하고 상행(복정역환승센터방향)의 종점인 복정역환승센터 2번승강장에서
운행을 종료하는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이듬해인 2022년 5월1일부터 이 노선은 그동안 경유했던
고속철도수서역을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됨에 따라 수서나들목~고속철도수서역 구간을 전면
삭제하고 수서나들목과 삼성서울병원, 일원초등학교, 대모산입구역, 대치동 쌍용아파트,
휘문중고등학교, 삼성역(한국무역센터), 봉은사역, 청담역(경기고등학교), 영동고등학교,
도산공원, 압구정역3번출구, 압구정현대아파트/압구정역, 압구정로데오역을 거쳐 회차 구간을
청담초등학교까지 연장하는 구간으로 다시 재정비를 하게 됩니다. 이 노선은 다시 회차 구간을
압구정동으로 연장하면서 서울지하철 2호선 삼성(무역센터)역, 서울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서울지하철 7호선 청담역, 서울지하철 3호선 압구정(현대백화점)역, 광역전철 수인·분당선
압구정로데오역의 도시철도로 환승하는 버스 승객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이 노선이 복정역환승센터에 정차할 때 하행(압구정역방향)은 송파공영차고지를 먼저
출고하여 하행(압구정역방향)의 시점인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에서 가장 먼저 첫 손님을
맞이하고 하행(압구정역방향)의 시점인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을 나와 복정고등학교
방향으로 향합니다. 반면 상행(복정역환승센터방향)은 복정역환승센터 2번승강장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상행(복정역환승센터방향)의 종점인
복정역환승센터 2번승강장을 나와 송파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먼저 실시하고
송파공영차고지로 입고합니다.
대성운수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대성운수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공영차고지를 먼저
출고하여 서울특별시 송파구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에서 첫 손님을 먼저 맞이한 뒤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을 나와 복정고등학교(복정지구)와 남위례역(창곡교차로),
위례래미안E편한세상(힐스테이트), 위례고운초등학교, 위례35단지, 위례신안인스빌,
서울위례별초등학교, 송파더센트레(송례초등학교), 위례포레샤인/송파꿈에그린서문,
위례31단지후문, 장지역2번출구,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문정로데오거리입구,
가락시장역3번출구(우성아파트), 가락1동주민센터, 가락시장(헬리오시티), 삼성서울병원,
일원초등학교, 대치아파트(대모산입구역3번출구), 새마을운동중앙회, 휘문중고등학교입구,
삼성역2번출구, 삼성역7번출구, 봉은사역3번출구, 청담역12번출구(경기고등학교),
진흥아파트, 청담동성당, 씨네시티, 도산공원사거리, 신사동교회,
KB국민은행압구정종합금융센터, 압구정역3번출구, 압구정현대아파트/압구정역,
압구정파출소, 한양아파트/압구정로데오역을 지나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초등학교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청담2치안센터를 거쳐 청담동성당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 노선은 매년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 여러분들이 수능시험을 보는 수능일이 되면
복정고등학교와 휘문고등학교, 영동고등학교, 압구정고등학교로 향하는 수험생들의
셔틀버스로 운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노선도 헬리오시티 단지를 경유하는 만큼
헬리오시티 단지 주민들의 수요가 많고 가락시장으로 출퇴근하는 가락시장 상인들의
수요가 많습니다. 추후에는 삼성역과 봉은사역 사이에 영동대로 지하 복합환승센터가
2028년 상반기에 완공되면 이 노선은 추후에 영동대로 지하 복합환승센터를 통과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결과를 먼저 지켜봐야 합니다.
대성운수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5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6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6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의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17대, 토요일 15대, 일요일·공휴일 14대가 운행하고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의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 기점기준 첫차는 새벽 4시, 막차는
밤 22시40분에 출발합니다. 회차 구간인 압구정현대아파트/압구정역에서 첫차가
새벽 05시05분, 막차가 밤 23시50분에 출발하면 막차가 복정역환승센터 2번승강장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는 밤 24시50분 전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여 송파공영차고지로 입고합니다. 그리고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3시간
가량 휴식에 들어갑니다. 이렇게 되면 대성운수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의 운행
일정은 이렇게 마무리되며, 현재 송파공영차고지에 CNG천연가스충전소와 친환경 전기버스
충전소가 이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 에어로시티 초저상버스와 중국에서 수입한 전기버스
차량을 골고루 운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원초등학교~청담역12번출구(경기고등학교) 구간은 서울시 간선버스 401번과 동일하기
때문에 일원초등학교~청담역12번출구(경기고등학교) 구간에서 버스를 이용할 경우 두 가지
노선 중 한 가지 노선을 먼저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노선은 현금없는 교통카드 전용버스로 운용하기 때문에 현금 요금 징수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현금 요금 징수가 제한되고 있는 이 노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불 교통카드를 먼저
구입하여 환승 할인과 요금 할인을 받아야 하고 이 노선을 이용할 때 반드시 선불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위례신도시 주민들의 발' 서울시내버스 343번이 세곡뉴타운과 고속철도수서역으로 가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버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획] 서울 동남부에서 새로 선보이는 간선버스, 서울시내버스 361번이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을 나올 때 P턴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 (4) | 2025.03.08 |
---|---|
[대기획] '17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440번이 경기도 성남시 구간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2) | 2025.02.22 |
[대기획] '20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320번이 중곡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은? (0) | 2025.02.08 |
[대기획] '15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333번이 야구팬들의 단골 노선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연은? (6) | 2025.02.01 |
[특별기획] '15년 서울의 발'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내버스 653번이 화곡동 골목길을 통과하는 사연은? (4)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