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이야기

[대기획] 서울 동남부에서 새로 선보이는 간선버스, 서울시내버스 361번이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을 나올 때 P턴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서울 동남부에서 새로 선보이는 간선버스, 

서울시내버스 361번이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을 나올 때 P턴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를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서울 동남부에서 새로 선보이는 간선버스 노선인 서울 간선버스 361번은 남성버스에서 새로 

선보이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2022년 5월1일 서울시 지선버스 4419번이 

폐지되면서 서울시 지선버스 4419번의 운행했던 구간인 경기도 성남시 구간과 대치동, 

청담동, 압구정역을 통과하는 구간마저 모두 삭제되어 기점이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으로 

조정되는 것과 동시에 회차 구간을 여의도에 있는 국회의사당으로 연장하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간선버스 노선으로 형간전환되면서 번호가 지금의 서울시 간선버스 361번으로 

변경되고 대치동~압구정동 구간은 서울시 간선버스 343번으로 대체하는 것과 동시에 

단대오거리역~태평역~가천대역~복정역사거리 구간에서 서울시 지선버스 4425번이 

대체하는 것으로 결정을 하게 됨에 따라 복정역환승센터~을지대학교~단대오거리 

구간이 서울시 간선버스 452번으로 대체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이 노선의 경우 복정역환승센터에 정차할 때 하행(여의도방향)의 시점인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에서 가장 먼저 첫 손님을 맞이하고 송파공영차고지를 출고하여 

송파공영차고지에서 복정역환승센터까지 공차회송하여 하행(여의도방향)의 시점인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을 나와 P턴을 하고 다시 복정역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한 뒤 

세곡동사거리에서 우회전을 하고 고속철도수서역으로 향합니다. 반면 상행(복정역방향)은 

복정역환승주차장 정류소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복정역환승주차장에서 

송파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실시하여 송파공영차고지로 입고합니다. 

 

이 노선은 서울시 주간선버스 360번과 복정역환승센터에서 여의도 도심을 연결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으나, 여의도에서 만나지 않기 때문에 

하행(여의도방향)의 종점인 국회의사당에서 회차하며, 고속터미널과 반포뉴타운, 

동작역/국립현충원을 거쳐 노들로를 빠르게 가는 특징이 있는 만큼 서울시 주간선버스 

360번보다 더 빨리 갈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평일 출퇴근시간대 노들로 교통체증으로 

인해 정상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상습정체구간을 많이 지나가기 

때문에 배차간격 유지가 잘 되지 않아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구간이 거의 없어 

평일 출퇴근시간에 강남구 구간에서 상당히 정체가 심할 경우 정상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평일에 30분 이상 벌어지는 경우가 허다하여 

정상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평일 출퇴근시간대 노들로 정체가 배차 

균형 깨짐에 큰 몫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강남구의 가장 큰 

간선도로 구간인 도산대로와 영동대로, 광평로를 연결하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조속히 신설해야 하고 언주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조속히 신설해야 강남구 구간을 

통과하는 시내버스의 정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교통체증이 없을 경우 서울시 주간선버스 360번은 노량진역과 신길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본 노선보다 시간이 좀 더 걸리는 단점이 많습니다. 

 

남성버스가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61번의 경우 대성운수가 마지막으로 운행했던 

서울시 간선버스 362번과 고속터미널~국회의사당 구간이 동일하지만 그 이후 구간은 

지하철 9호선과 중복되기 때문에 이 노선을 타고 고속터미널에서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으로 환승하여 국회의사당역으로 향하는 9호선 일반 전철 환승 승객과 

여의도역으로 향하는 9호선 급행 전철 환승 승객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서울시 간선버스 

362번이 경유했던 압구정동~잠원동 구간은 서울지하철 9호선과 멀리 떨어져 있었고, 

이곳에서 여의도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지만 이러한 특성을 

살리지 않아 서울 시민들의 비난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대치동에서는 서울시 간선버스 

340번의 단독구간에 이 노선이 추가되어 대치동 학원가로 향하는 청소년들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었고, 은마아파트 건너편에 있는 대치동 우성아파트 사거리에서 한번 

좌회전하고 대치동 학원가 중심으로 가기 때문에 생각보다 수요가 많아지기 

시작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평일 출퇴근시간대 일부 구간과 대치동 학원이 끝나는 밤 22시00분대를 제외하면 

이 노선은 대체로 매우 여유로운 상태에서 높은 수요로 운행되며, 서울시 간선버스 

163번, 서울시 마을버스 노선인 영등포10번, 영등포11번과 함께 대방역에 가장 

가까지 가는 노선으로 운행합니다. 하지만 하행(여의도방향)으로 운행할 때 정류소가 

여의교 입구에 있기 때문에 가깝지 않아 대방역까지 걸어가서 수도권전철 1호선이나 

서울 도시철도 경전철 신림선으로 환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노선은 

하행(여의도방향)의 종점인 국회의사당역에서 회차할 때 바로 나가지 않고 몇 분 정도 

휴식을 하고 출발하지만 시내버스 운행사원의 화장실 이용을 위해 여의도역5번출구 

정류소에 도착하면 이 노선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전기사들이 여의도역5번출구와 

가까운 상가 구내에 있는 화장실에 먼저 들려 급한 신호를 해결합니다. 그렇지만 

여의도역5번출구 정류소 인근에 있는 상가에 있는 화장실은 시내버스 운전기사들의 

화장실 이용을 위해 24시간 개방하고 있으며, 급한 신호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먼저 

들리는 시내버스 운전기사들은 물론 지나가는 일반인들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남성버스가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61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남성버스가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61번은 송파공영차고지를 먼저 출고하여 

송파공영차고지에서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까지 공차회송을 먼저 실시하자마자 

하행(여의도방향)의 시점인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을 나와 P턴을 하고 

복정역사거리에서 한번 좌화전을 한 뒤 삼일자동차학원(강남자동차검사소), 

광연자동차학원, 강남세곡체육공원, 세곡동주민센터, 방죽마을, 래미안포레아파트, 

LH수서아파트, 쟁골마을, 고속철도수서역, 수서역1번출구, 궁마을, 수서삼성아파트, 

일원본동주민센터, 푸른마을아파트, 일원초등학교, 대치아파트(대모산입구역3번출구), 

쌍용아파트, 래미안하이스턴(대치순복음교회), 은마아파트입구사거리, 도곡초등학교, 

한티역2번출구/서울강남고용노동지청, 한티역7번출구, 역삼중학교/강남세브란스병원, 

역삼2동주민센터(대림역삼아파트), 역삼자이아파트, KT강남지사, KB국민은행논현동지점, 

언주역4번출구(차병원사거리), 삼정호텔, 신논현역3번출구, 논현역, 논현역7번출구, 

반포역, 고속터미널, 신반포역(세화여중고),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동작역/국립현충원, 

흑석동한강현대아파트, 비계,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흑석동효사정, 대방역(여의교), 

샛강역1번출구(여의도자이), 여의도역5번출구를 지나 영등포구 국회의사당역5번출구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여의도지하차도 하부를 통과하여 여의도역6번출구를 거쳐 

샛강역4번출구(여의도자이)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남성버스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61번은 고속철도수서역과 고속터미널을 통과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추석연휴 및 설날연휴 기간에 늦은 

심야시간에 집으로 돌아오는 귀경 시민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2일간 명절연휴 심야 

연장 운행을 실시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361번은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에서 밤 23시50분에 출발하고 국회의사당역5번출구에서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01시40분에 출발하면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복정역환승주차장에 도착하는 

다음날 새벽 03시10분에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면 송파공영차고지로 입고하여 명절연휴 

연장운행 일정을 모두 마무리하게 됩니다. 

 

남성버스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61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2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3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4분간격으로 운행하고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24대, 토요일 23대, 일요일·공휴일 21대가 운행하며, 서울시 간선버스 361번은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4시, 막차가 밤 22시30분에 출발합니다. 

 

회차 구간인 국회의사당역5번출구에서 첫차가 새벽 05시45분, 막차가 밤 24시20분에 출발하면 

막차가 복정역환승주차장에 도착하는 다음날 새벽 01시50분에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송파공영차고지로 입고하여 야간운행 일정을 모두 마무리하며,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이기 때문에 강남 도심이나 여의도 도심으로 향하는 대리운전기사들의 

셔틀버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회의사당 주변에서 매주 토요일 오후에 도심 집회가 

발생할 경우 정상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여의도지하차도 동부 구간에서 U턴으로 

회차하는 경우가 있는 만큼 버스 승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서울 동남부에서 새로 선보이는 간선버스, 서울시내버스 361번이 복정역환승센터 

4번승강장을 나올 때 P턴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