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2013년 여름에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첫 운행을 개시한 '12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705번이 숭례문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올해로 '12년 서울의 발'을 맞이한 서울시 간선버스 705번은 진관공영차고지를 본사로 두고
있는 신수교통이 이 노선을 관리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이 원래부터 숭례문을 통과하는 노선으로 운행되었지만 숭례문을 통과하지 않는
노선으로 운행되었을까요?
과정은 이렇습니다. 지난 2015년 12월13일 자정부터 서울역고가차도의 차량 통행이 전면
금지 조치되면서 퇴계로와 통일로를 연결하는 도로가 개통됨과 동시에 퇴계로와 통일로를
연결하는 핑크색 도로를 따라 경찰청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도로가 개통되면서 이 버스가
퇴계로에서 통일로 방향으로 가는 도로를 통과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 버스는 특정사항으로
본다면 통일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새문안로~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이 신설되기 전까지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터미널에서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서울시 광역버스 9710번이 운행되었습니다. 서울시 광역버스 9710번이 운행을 시작하기
직전인 과거 시절 199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 봅니다.
이 노선은 과거 시절인 1990년대 후반,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에서 서울 도심을 오고 가는
신성교통 서울법인에서 운영했던 개편전 서울시 심야좌석버스 922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시작됩니다.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에서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서울시 심야좌석버스 922번은 지난
1997년 3월27일, 신성교통 서울법인에서 최초로 신설된 서울시 심야좌석버스 노선으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주민들의 서울 도심행 신설 요구에 따라 서울시 심야좌석버스
노선으로 신설되었습니다. 당시 노선은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터미널을 출발하여
통일로 구간을 따라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에서 회차하고 숭례문과 남대문시장,
롯데영프라자, 우리은행종로지점, 조계사, 광화문광장/세종문화회관,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역사거리/적십자병원을 지나 영천시장에서 문산 방향으로 다시 이어지는
구간으로 운행되었습니다.
신성교통 서울법인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심야좌석버스 922번은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서울시 광역버스 9710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인가 거리가
87km로 조정되고 신성교통 서울법인은 서울특별시의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한국비알티자동차의 주주로 참여하여 제일여객과 함께 최대주주가 되어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그리고 2009년 7월25일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가 개통되면서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북부방향 6번승강장을 추가 정차하여 회차 구간이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북부방향
6번승강장으로 연장됩니다.
그렇지만 신성교통 서울법인에서 심야버스로 운행했던 서울시 광역버스 9710번은
2012년 8월28일부터 시행하는 2012년 상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에 따라
그동안 경유했던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더 이상 경유하지 않게 되었고,
하행(서울역방향)에 한정하여 서대문역사거리와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광화문,
을지로입구역(광교), 해운센터(롯데영프라자), 북창동/남대문시장을 지나
서울역3번출구에서 회차하여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을 거쳐 영천시장에서 문산
방향으로 가는 방식으로 다시 변경됩니다.
그리고 2013년 5월16일, 신성교통 서울법인에서 심야버스로 운행했던 서울시 광역버스
9710번은 서울시 간선버스 705번으로 형간전환되면서 기점이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터미널에서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공영차고지로 단축되고 서울시 광역버스
9710번의 경기도 구간들을 모두 삭제하면서 진관공영차고지와 숭례문을 오고 가는
간선버스로 운행을 개시하다가 동년 6월13일 삼송신도시 주민들의 민원사항이
발생함에 따라 고양시청, 덕양구청의 권고를 통해 삼송역과 삼송신도시,
스타필드고양을 통과하여 서울 도심으로 향하는 구간을 변경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2015년 12월13일 자정부터 서울역고가차도의 차량 통행이 전면 금지되면서
이 노선은 그동안 운행했던 구간인 한국은행교차로를 지나 북창동/남대문시장과
숭례문을 거쳐 서울역교차로에서 우회전을 하는 구간이 모두 삭제되고 한국은행
교차로에서 한번 좌회전하여 신세계백화점과 회현역/남대문시장을 통과하여 핑크색
도로를 따라 염천교지하차도 하부를 통과한 뒤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과 영천시장을
통과하면서 구파발역 방향으로 가는 구간으로 다시 변경됨과 동시에 회차 구간도 다시
회현역/남대문시장으로 조정되어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그러나 지난 2017년 4월 서울운수가 신성교통 서울법인의 전 노선을 모두 인수함에 따라
본 회사인 신성교통 서울법인이 서울시내버스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하게 되고 이 노선은
지난 2017년 4월30일부로 서울운수로 이관되면서 이 노선은 2017년 4월30일부터
서울운수가 운영하게 되었고, 2017년 5월17일 구파발역 광역환승센터가 개통되면서
구파발역 주변 한 바퀴를 도는 방식으로 변경되지만 2021년 3월27일부터 시행되는
2021년 상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 시행에 따라 서울시 간선버스 705번은
구파발역 구간 한 바퀴를 도는 운행경로를 모두 삭제하고 양방향 모두 구파발역입구
중앙정류소 정차로 통일하는 것과 동시에 상행(진관공영차고지방향)에 한정하여 동축로를
통과하는 구간으로 변경합니다. 그리고 서울에서 삼송테크노밸리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양방향 모두 삼송테크노밸리 정류소에 추가 정차하고 2023년
1월16일부터 이 노선은 진관공영차고지 기점기준 막차 출발 시간이 밤 23시20분에서
밤 23시00분으로 단축되어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이 노선은 진관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 중
진관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기점기준 첫차 출발 시간이 가장 이르고
은평뉴타운10단지에서 광화문까지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741번과 동일하지만
동명여고/천주교불광동성당에서 영천시장까지 서울시 주간선버스 701번과 동일하고
산골고개에서 롯데백화점까지는 서울시 간선버스 702A번·702B번과 동일하며,
산골고개에서 회현역/남대문시장까지 서울시 간선버스 707번과 동일합니다. 어느
동일한 구간에서 다니는 노선 중 한 가지만 선택에서 승차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 노선의 특징은 광화문에서 바로 을지로입구역(광교)로 향하고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올빼미버스 N37번과 연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동산동의
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소에서 환승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소에서
광화문까지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올빼미버스 N37번과 동일하기 때문에 어느
정류소에서 서울시 올빼미버스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은평뉴타운10단지와
구파발역입구, 세명컴퓨터고등학교 구간에서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올빼미버스
N75번으로 환승할 수 있습니다.
이 노선은 서울운수가 신수교통에게 서울운수의 전 노선을 양도한 이후 진관공영차고지를
본사로 사용하여 신수교통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705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신수교통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705번은 하행(회현역방향)의 시점인
진관공영차고지에서 첫 손님을 맞이합니다. 먼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동산동능모퉁이와 삼송테크노밸리, 삼송역5번출구, 세수동,
삼송마을16·17단지, 고양중학교, 고양동산초등학교(창릉동행정복지센터), 동산마을22단지,
스타필드고양, 용사촌입구, 큰골입구, 한국지역난방공사, 은평뉴타운10단지, 구파발역입구,
박석고개(신도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연신내역/연서시장, 동명여고/천주교불광동성당,
불광역3·6호선, 불광역3호선(서울혁신파크), 한전서대문은평(북한산푸르지오), 녹번역, 산골고개,
홍제역(서대문세무서), 홍제삼거리(인왕산한신휴플러스), 무악재역, 안산초등학교,
독립문역(한성과학고), 영천시장, 금화초등학교/서울시교육청, 서대문역사거리(농협중앙회),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광화문역, 을지로입구역(광교),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을 지나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역/남대문시장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퇴계로와 통일로를
연결하는 핑크색 도로를 따라 염천교지하차도 하부를 통과하고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을 거쳐
영천시장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신수교통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705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5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6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7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705번의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13대, 토요일 12대, 일요일·공휴일 10대가
운행하고 진관공영차고지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3시50분, 막차가 밤 23시00분에
출발합니다. 회차 구간인 회현역/남대문시장에서 첫차가 새벽 04시55분, 막차가 밤 24시10분에
출발하면 막차가 동산동 교차로에서 한번 좌회전을 하고 골목 구간을 따라 진관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01시10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합니다. 그리고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40분간 휴식에 들어갑니다.
신수교통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705번은 보신각을 경유하기 때문에
제야의 종 타종행사가 보신각에서 열리는 매년 12월31일의 경우 연말 심야 연장운행을
실시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705번의 연말 심야 연장운행 막차는 진관공영차고지에서
밤 24시50분에 마지막으로 나가면 보신각 인근 을지로입구역(광교)에서 연말 심야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2시에 마지막으로 출발하고 연말 심야 연장운행 막차가 진관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03시05분에 마지막으로 도착하면 연말 심야 연장운행 일정은 이렇게
마무리됩니다.
이 노선의 경우 첫차 승객은 삼송신도시에서 승차하여 영천시장으로 출퇴근하는 영천시장
상인들과 남대문시장으로 출퇴근하는 남대문시장 상인들의 수요가 매우 높지만 광화문과
종로, 을지로입구 도심으로 향하는 건물 청소원들과 경비원들의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12년 서울의 발' 서울시내버스 705번이 숭례문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