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KD운송그룹 계열사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대원여객에서 운영하는 서울시내버스 341번이 경기도 하남시에서 서울특별시
강동구로 기점을 이전시킨 사연에 대해서 알아보고 강동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대원여객
강동영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이 하행(우면동방향)의 시점을
강동공영차고지로, 하행(우면동방향)의 회차 구간을 신분당선신논현역7번출구에서 우면동
성촌마을입구로 조정시킨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은 KD운송그룹 계열사에 있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강동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대원여객 강동영업소에서 이 노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은 원래부터 경기도 하남시 하남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분당선신논현역7번출구로 넘어가는 첫번째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되었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이 기점을 경기도 하남시에서 서울특별시 강동구로 이전하게 되었을까요?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은 2021년 10월5일부터 기점을 강동공영차고지로 조정하면서 경기도
하남시 하남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대원여객 하남영업소가 강동공영차고지로 이사를 하는 것과
동시에 경기도 하남시를 떠나 기점을 강동공영차고지로 조정하면서 강동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대원여객 강동영업소로 이전하게 되어 오늘에 이르면서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이 강일신도시
주민들의 통근노선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은 지난 2005년 6월20일, 대원여객에서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을 새로 개통할 때 당시
경기도 하남시와 강남 도심을 오고 가는 실제 노선부터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당시 2005년 6월20일에 개통된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은 경기도 하남시 하남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산곡초등학교와 새능마을, 하남시청, 상일초등학교, 강동역, 천호역, 강동구청역,
몽촌토성역, 잠실역8번출구, 잠실역5번출구(롯데월드), 잠실주공5단지, 잠실새내역,
잠실엘스아파트, 잠실종합운동장, 강남경찰서/면허시험장, 삼성역5번출구(한국무역센터),
포스코건너편, 선릉역, 서울상록회관(한국기술센터), 아가방빌딩/하나은행, 역삼역,
강남역12번출구, 강남역9번출구, 서초동진흥아파트, 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을
지나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분당선신논현역7번출구에서 끝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그리고 회차지점을 지나 강남역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하고 역삼세무서 인근
강남역1번출구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운행되었습니다. 이 노선의 경우
서울에서 하남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의 통근수요가 매우 많았으며, 경기도 하남시
지역에서 강남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습니다.
그리고 2021년 10월5일부터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이 경기도 하남시의 하남공영차고지를 떠나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동공영차고지로 이전되면서 기점이 강동공영차고지로 이전되고
강동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대원여객 강동영업소가 이 노선을 관리하면서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은 회차 루트 구간인 강남역12번출구와 강남역9번출구, 서초동진흥아파트,
신분당선신논현역7번출구 정류소는 더 이상 정차하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강남 구간의 운행
구간이 대폭 변경되면서 강동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상일동역교차로와 상일초등학교, 강동역,
천호역, 영파여고(강동구청역), 몽촌토성역, 잠실역, 잠실새내역, 잠실종합운동장,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신분당선 강남역, 뱅뱅사거리, 양재역, 우성아파트(양재초등학교), 성촌마을을 지나 우면동
형촌마을에서 끝나는 운행경로로 다시 변경되고 강일신도시 주민들의 통근수요를 보강하기 위해
하행(우면동방향)의 시점이 강동공영차고지 가변차로 정류소로 조정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대원여객 강동영업소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의 실제 노선을 다음과 같이 살펴봅니다.
대원여객 강동영업소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은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신도시 인근
강동공영차고지를 출고하여 고덕리엔파크1단지와 해뜨는주유소, 고덕천교차로, 고덕자이,
강동첨단업무단지(상일여고입구), 상일초등학교, 초이동, 강동자이·프라자아파트,
길동주민센터(둔촌2동주민센터),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강동역, 천호역, 풍납시장,
영파여자고등학교/강동구청역, 풍납현대아파트, 풍납동극동·쌍용아파트, 잠실파크리오아파트상가,
올림픽회관, 몽촌토성역, 잠실역8번출구, 잠실역5번출구(롯데월드), 잠실주공5단지, 잠실새내역,
잠실엘스아파트, 종합운동장사거리, 잠실종합운동장, 강남경찰서/면허시험장,
삼성역5번출구(한국무역센터), 포스코건너편, 선릉역, 서울상록회관(한국기술센터),
아가방빌딩/하나은행, 역삼역4번출구, 신분당선강남역,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뱅뱅사거리,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일동제약사거리, 현대빌라(에코맘코리아), 우성아파트(양재초등학교),
코오롱아파트(양재1동주민센터), 우면주공아파트(우면한라아파트), 서울시품질시험소,
성촌마을입구, 삼성전자서울R&D, 형촌마을입구(서초네이처힐1·2단지), 네이처힐5단지를 지나
서초구 우면동 네이처힐3·4단지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를 거쳐
우면주공아파트(양재1동주민센터)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대원여객 강동영업소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은 강동공영차고지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4시30분, 막차가 밤 22시20분에 출발하고 우면동 형촌마을에서 첫차가 새벽 05시55분, 막차가
밤 24시00분에 출발합니다. 막차가 강동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01시30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강동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대원여객 강동영업소에 돌아와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3시간 휴식에 들어갑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8~12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8~14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0~15분간격으로 운행하고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의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25대, 토요일 24대, 일요일·공휴일 19대가 운행합니다. 매년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이
수능시험을 보는 수능일이 되면 이 노선은 수능시험을 보기 위해 상일여자고등학교와
영파여자고등학교로 향하는 수험생들의 셔틀버스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대원여객 강동영업소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은 현금없는 교통카드 전용버스로
운용하기 때문에 현금 요금 징수를 제한하고 있으며, 이 노선이 현금 요금 징수를 받지 않음을
승객들에게 통보하는 만큼 서울시 간선버스 341번을 이용하시는 분들께서는 가장 먼저 선불
교통카드를 구입하여 선불 교통카드로 시내버스 환승 할인과 시내버스 요금 할인을 반드시 받으시길
당부 드립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서울시내버스 341번이 경기도 하남시에서 서울특별시 강동구로 기점을 연장시킨 사연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challenge/large/006.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