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시간에서는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당시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메트로버스가 최초로 신설된 신설노선으로 운행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20년 서울의 발'을 서울특별시 동남부 주민들과 함께 하여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내버스 370번이 회차 구간을 서대문역사거리에서 충정로역 인근
경기대입구로 연장시킨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20년 서울의 발'을 시민들과 함께 하며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지금의 기점인 강일신도시 인근 강동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강동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KD운송그룹 계열사의 대원여객 강동영업소와
강동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송파상운 강동영업소에서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이 노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회차 구간을 서대문역사거리에서
충정로역으로 연장시킨 사연들이 많습니다.
2015년 7월10일부터 서대문고가차도가 철거에 들어가면서 서대문고가차도 하부에서 U턴 회차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의 공동배차를 담당중인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회차 구간을
서대문역사거리에서 지금의 충정로역으로 연장시키는 조치를 내리게 되었으며,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의 회차 구간이 충정로역으로 연장되면서 강동 지역에서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수요가 많이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이 노선은 지난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서울특별시의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메트로버스가
최초로 신설된 신설노선 시절부터 시작합니다.
당시 실제 노선은 강동공영차고지를 출고하여 상일동역교차로와 상일초등학교, 강동역, 천호역을 지나
천호대교로 한강을 건너 광나루역과 아차산역/어린이대공원후문, 중곡동입구삼거리, 군자역(용마초등학교),
군자교입구, 장한평역, 청년회의소, 답십리역삼거리,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동대문구청,
서울시동부병원,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동묘앞역, 동대문/흥인지문, 종로, 광화문, 서울역사박물관/경교장,
서대문역사거리/적십자병원, 서대문/서울시교육청, 서대문독립공원(극동아파트), 금화터널, 이대후문,
세브란스병원앞, 연대앞, 서대문우체국, 연희104고지앞/舊성산회관, 사천교앞, 모래내시장/가좌역,
DMC래미안/E편한세상(요진아파트), 북가좌동삼거리,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수색역, 수색교,
덕은교/은평차고지앞을 거쳐 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공영차고지에서 끝나는 최장거리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이 노선은 당시 강동 지역에서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연세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던 만큼 이른 새벽에는 모래내시장 상인들의
통근수요가 매우 많았던 노선으로 운행되었습니다.
그리고 2010년 7월31일, 송파상운의 메트로버스 컨소시엄 한정면허가 모두 만료되면서 이 노선은
메트로버스,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변경하게 됩니다.
이듬해인 2011년 4월25일부터 강일신도시를 경유하지 않았지만 2011년 상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에 따라 2011년 8월25일부터 메트로버스가 단독배차로 운행했던 주간선버스 300번 노선을
통폐합하게 되고 2011년 하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에 따라 2012년 3월16일부터 서울시의
장대 노선 대수술 조치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메트로버스,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회차 구간을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서대문역사거리로 단축하는 것과 동시에
서대문고가차도 하부에서 U턴을 하고 서대문역사거리 정류소에서 회차하는 방식으로 단축됩니다.
2014년 1월14일부로 메트로버스가 송파상운과 공동배차로 운행했던 이 노선을 더 이상 운행하지
않게 됨에 따라 메트로버스가 강동공영차고지 구내에 있는 강동영업소를 철수하면서 메트로버스가
송파상운과 공동배차로 운행했던 간선버스 370번은 KD운송그룹 계열사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대원여객으로 이관되고 강동공영차고지 구내에 대원여객 강동영업소가 본격적으로 신설되면서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간선버스로 다시 변경됩니다.
2015년 7월10일부터 서대문고가차도가 철거를 시작하면서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서대문고가차도 하부에서 U턴으로 회차를 할 수 없게 됨에 따라 회차 구간을
충정로역으로 연장시키는 최후의 결단을 내리게 됩니다. 그렇지만 지난 2017년 8월 송파상운 마천동영업소
본사에 서울주택도시공사 용역업체의 직원들이 무단침입하는 돌발상황이 발생하여 송파상운 소속 시내버스
기사들이 무단점거를 시도하는 서울주택도시공사 용역업체 직원들을 소화기로 뿌려 쫓아내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서울시와 故 박원순 서울시장이 송파상운 마천동영업소 본사를 찾아 송파상운 소속 시내버스
기사들의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 송파상운과 재개발 조합 측의 합의를 마무리하게 됩니다.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의 실제 노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동공영차고지를
출고하여 강일리버파크6단지와 강일리버파크8단지, 강일고등학교(강일리버파크7단지), 강일리버파크4·5단지,
강일리버파크2단지, 강일리버파크1·3단지, 강일동주민센터, 고덕리엔파크1단지, 해뜨는주유소, 고덕천교차로,
고덕자이, 강동첨단업무단지(상일여고입구), 상일초등학교, 초이동, 강동자이·프라자아파트,
길동주민센터(둔촌2동주민센터),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강동역, 천호역을 지나 천호대교로 한강을 건너
광나루역,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중곡동입구삼거리, 군자역(용마초등학교), 군자교입구, 장한평역,
청년회의소, 답십리역사거리,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동대문구청, 서울시동부병원,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동묘앞역, 동대문/흥인지문,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 종로5가/광장시장,
종로4가(종묘), 종로3가/탑골공원, 종로2가, 종로1가, 광화문,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경찰청,
한국경제신문사/서소문역사공원을 거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역2호선 정류소에서 끝나는 것과
동시에 충정로역(경기대입구)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충정로역5호선과 서대문역사거리를 거쳐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렇지만 5호선충정로역 정류소 인근에
편의점 등이 있기에 기사들이 휴식을 취하기 위해 충정아파트 인근에서 대기하다가 출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강동공영차고지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4시, 막차가 밤 22시50분에 출발하고 충정로역(경기대입구) 인근 충정로역2호선에서 첫차가
새벽 05시20분, 막차가 밤 24시15분에 출발합니다. 막차가 강동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01시40분에 야간운행을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2시간20분간 휴식에 들어가며,
대원여객·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2~6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3~6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5~8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 41대,
토요일 39대, 일요일·공휴일 30대가 운행합니다.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종로1가 인근 보신각을 통과하는
간선버스로 운행하기 때문에 매년 12월31일 제야의 종 타종행사가 보신각에서 열리는 날에는 제야의 종
타종행사를 관람하고 늦은 새벽에 돌아가는 강동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연말 막차 운행을
실시합니다.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강동공영차고지에서
연말 막차가 밤 24시20분에 마지막으로 나가면 충정로역(경기대입구) 인근 충정로역2호선에서 연말
막차가 다음날 새벽 01시45분에 출발하고 보신각 인근 종로2가에서 연말 막차가 다음날 새벽 2시에
마지막으로 출발하면 연말 막차가 강동공영차고지로 입고하는 다음날 새벽 03시15분에 연말 연장운행
일정을 모두 마무리합니다.
이 버스가 운행하는 구간인 강동역~동대문/흥인지문 구간에서는 심야시간에 운행하는 서울시
올빼미버스 N30번으로 대체가 가능하고 이 버스의 기점인 강동공영차고지에서 대체 노선인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N30번을 타고 강동역과 천호역, 군자역, 동대문/흥인지문 방향으로 갈 수 있으며,
하행(충정로역방향)으로 운행할 때 염천교를 건너 서소문을 지나 하행(충정로역방향)의 종점인
충정로역(경기대입구) 인근 충정로역2호선 정류소에서 끝나기 때문에 시내버스를 이용하실 때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은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의 공동배차를 담당중인 두 회사 모두 현금없는 교통카드 전용버스로 승격되어
현금 요금 징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 간선버스 370번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스마트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환승 할인과 요금 할인을 받으시길 당부 드리며, 이 버스는
특정사항으로 본다면 천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왕산로~종로~새문안로~충정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을 모두 통과하는 노선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시내버스를 이용하실 때 참고하시면 됩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20년 서울의 발'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내버스 370번이 회차 구간을 서대문역사거리에서
충정로역으로 연장시킨 사연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버스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기획] 서울시내버스 341번이 경기도 하남시에서 서울특별시 강동구로 기점을 이전시킨 사연은? (8) | 2024.12.14 |
---|---|
[대기획] 공동배차로 운행중인 서울시내버스 N31번이 한남대교를 통과할 때 한남대교전망카페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는 이유는? (8) | 2024.12.07 |
[대기획] '10년 서울의 발' 공동배차로 운행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N15번이 보문동 골목길을 통과하게 된 사연은? (8) | 2024.11.02 |
[특별기획] '20년 서울의 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서울시내버스 101번이 북한산 등산객들의 단골 노선으로 사용되는 사연은? (4) | 2024.11.02 |
[특별기획] 월계동 골목길을 통과하는 서울시내버스 173번이 청계천 전 구간을 통과하는 이유는? (6) | 2024.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