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이야기가 준비한 대기획 시간에서는 2010년 6월1일부터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으로
첫 운행을 개시한 이후 '14년 서울의 발'을 서울특별시 서남부 지역의 주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내버스 672번이 근거지 지역인 경기도 김포시와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 지역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고 서울식물원으로 갈 수 있는 간선버스로 평가받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이 서울식물원 이용객의 수요가 매우 많은 간선버스 노선으로 운행하는 과정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올해로 '14년 서울의 발'을 서울특별시 서남부 지역의 주민들과 함께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은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연고지로 두고 경기도 김포시를 근거지로 사용하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인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이 노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의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서 관리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은
서울식물원으로 갈 수 있는 간선버스로 평가받고 있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이 근거지 지역인
경기도 김포시와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 지역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세부적인 말씀을
드립니다.
이 노선은 과거 시절인 1990년대 중후반, 경기도 김포시 김포읍을 출발하여 김포국제공항을 지나
성산대교로 한강을 건너 연대앞과 세브란스병원앞, 이대후문, 금화터널, 사직터널, 사직단,
서울경찰청/경복궁역, 광화문광장/세종문화회관을 거쳐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화문에서 끝나고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서대문역사거리, 충정로역(경기대입구), 아현역, 웨딩타운, 이대역,
신촌기차역, 이대부고, 이대부중을 거쳐 세브란스병원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는 김포교통
개편전 일반좌석버스 130번이 이 노선의 시초로 시작됩니다.
김포교통 개편전 일반좌석버스 130번은 경기도 김포시 김포읍에서 광화문 주변의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승객들의 수요가 매우 많았으며, 연세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캠퍼스,
배화여자대학교 서울캠퍼스,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추계예술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대학생들의 수요가 매우 높고 근거지 지역인 경기도 김포시 김포읍 주변에 거주하는 항공사
승무원들이 김포국제공항으로 향하는 만큼 항공사 승무원들의 수요가 많았습니다.
2004년 7월1일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김포교통 개편전 일반좌석버스 130번은 서울시 광역버스
9602번으로 번호를 물려받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고, 2004년 3월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김포교통은 서울특별시의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다모아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게 됩니다.
그리고 김포교통은 김포교통이 보유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1300번대 일부, 1400번대 일부,
5400번대 일부를 서울특별시의 주간선버스 운송 업체인 다모아자동차에 드래프트시키는 조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2005년 5월7일, 김포교통에서 과거 시절에 운영했던 서울시 광역버스 9602번은 기점을 경기도
김포시 김포읍에서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으로 연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
주민들이 서울시 광역버스 9602번을 타고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할 수 있는 혜택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2010년 6월1일, 김포교통이 과거 시절에 운영했던 서울시 광역버스 9602번이 지금의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으로 형간전환되면서 5년동안 별도로 운영했던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에
있는 영업소를 매각하게 되고 형간전환된 김포교통 소속 간선버스 672번이 방화동에서 이대부고를
오고 가는 간선버스로 운행할 때 근거지 지역인 경기도 김포시와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을 왕복하는
방식으로 동시에 운행하면서 이대부고 부근 봉원고가 하부에서 U턴으로 회차하는 방식의 루트로
운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2013년 9월26일, 서울시의 장대 노선 대수술 조치로 인한 장거리 노선을 단축해야 한다는
서울시의 엄격한 판단에 따라 2013년 상반기 정기 서울시내버스 노선 조정으로 인해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은 개화역삼거리에서 경기도 김포시를 거쳐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에 이르는 최장거리 구간을
전면 삭제하고 지하철 9호선 개화역으로 환승하는 시내버스 승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에 있는 개화역 광역환승센터를 왕복하는 방식의 루트로 완전히 단축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김포교통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은 서울시의 장대 노선
대수술 조치로 인한 장거리 노선 단축과 관련하여 근거지 지역인 경기도 김포시와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을 더 이상 경유하지 않기로 결정함에 따라 서울시의 엄격한 판단을 받은 김포교통이 이로 인한
결단을 내리게 된 것입니다.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이
통과하는 구간인 개화역 광역환승센터는 서울시 주간선버스 601번과 서울시 간선버스 605번, 서울시
심야전용 올빼미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N26번, 서울시내버스 N64번으로 환승하실 수 있습니다.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5분간격으로, 토요일의 경우 16분간격으로, 일요일·공휴일의 경우 18분간격으로 운행하지만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의 하루 운행대수는 평일의 경우 예비차 1대를 포함한 15대가 운행하고 토요일은 14대,
일요일·공휴일 12대가 운행합니다.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는 친환경 전기버스 충전소가 이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고지 입·출고 및 전기버스의 전기 연료 충전을 위해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서 방화7단지/국립국어원까지 공차회송을 먼저 실시합니다.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의 실제 노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7단지
부근 국립국어원에서 출발하여 방화역3번출구와 한서고등학교(보람아파트), 방화사거리,
개화초등학교(개화산역2번출구), 개화119안전센터, 개화역 광역환승센터,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방화동동부센트레빌아파트, 방화2단지, 서남환경공원(마곡청구아파트), 서남물재생센터,
마곡실내배드민턴장, 겸재정선미술관/서울식물원, 양천향교역8번출구(양천초등학교), CJ주식회사,
탑산문화공원, 등촌동대림아파트, SBS공개홀, 가양역9번출구(우성아파트),
가양역6번출구(현대프린스텔), 증미역3번출구(강서소방서), 블루나인비지니스센터, 삼성한사랑아파트,
태영송화아파트, 염창동관음삼성아파트, 염창동MG새마을금고, 핑크힐병원, 염창동아3차아파트,
안양천입구를 지나 성산대교로 한강을 건너 마포구청역과 마포중앙도서관, 성산2교,
연희104고지앞/舊성산회관, 서대문우체국, 연대앞, 세브란스병원앞, 이대후문을 거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대부속고등학교에서 끝나게 됩니다. 회차지점을 지나 봉원고가 하부에서 U턴을 하고 다시
이대후문을 거쳐 세브란스병원에서 다시 역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 노선은 매년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이 수능시험을 보는 수능일이 되면 수능시험을 보는
한서고등학교 학생들과 이대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셔틀버스로 운용되며, 서울특별시 서남부
지역에서 연세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캠퍼스로 통학하는 학생들의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그렇지만 이 노선의 경우 토요일과 일요일·공휴일이 되면 서울식물원으로 향하는 승객들의
수요가 매우 높기 때문에 서울식물원 이용객의 수요가 매우 많은 노선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은 이 노선의 승차 시점인
방화7단지/국립국어원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4시30분, 막차가 밤 22시50분에 출발하고 회차
구간인 이대부속고등학교에서 첫차가 새벽 05시35분, 막차가 밤 24시00분에 출발합니다. 막차가
방화3동주민센터/국립국어원에 도착하는 밤 24시55분에 야간운행을 모두 종료하면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로 입고하여 모든 운행 일정을 완전히 마무리합니다. 그리고
다음날 첫차 운행을 준비하기 위해 3시간30분 가량 휴식에 들어갑니다.
내년인 2025년이 되면 김포교통 방화동영업소 본사에서 운영하는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이 개통
15주년을 맞이하는 것과 동시에 '15년 서울의 발'을 맞이하게 됩니다. 서울시 간선버스 672번이
서울식물원으로 갈 수 있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서울식물원으로 향하는 서울식물원 이용객의
수요가 매우 많은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로 운영되고 있는 만큼 서울특별시 서남부 지역의 모든
주민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14년 서울의 발' 서울식물원으로 갈 수 있는 간선버스, 서울시내버스 672번이 근거지 지역인
경기도 김포시와 인천광역시 서구 불로동을 통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