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배구논평에서는 지난 8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2025년 KOVO 남자부 FA에서
한국배구연맹이 남자부 25명의 FA 명단을 공개하고 15명의 A등급 선수 중 황택의와 임성진,
전광인 등 대어급 선수들이 원 소속 팀으로 잔류를 결정하는지, 아니면 다른 팀으로 이적을
하고 이적한 팀의 보호선수만 제외하면 이적한 팀의 FA 보상 선수 1명을 먼저 내줄 수 있는
결과가 어떻게 이어지는지 오늘의 배구논평에서 다시 한번 살펴봅니다.
시즌 못지않게 치열할 비시즌의 전쟁에 나설 25인의 명단이 공개됐습니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지난 8일 한국 프로배구 V리그 남자부 25인의 자유계약선수(FA)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시즌 종료 3일 후에 FA 명단을 공시하는 규정에 따른 발표이며,
협상 기간은 공시일인 지난 4월8일부터 오는 4월21일 저녁 18시까지 진행됩니다.
남자부의 FA 등급은 보장 연봉 2억5000만원 이상이 A등급, 1억원에서 2억5000만원 사이가
B등급, 1억원 미만이 C등급으로 배정됩니다. A등급 선수를 영입하는 구단은 전 시즌 연봉의
200%와 보호 선수 5명만 제외하면 보상 선수 1명과 전 시즌 연봉의 300%를 원 소속 구단에게
넘겨줘야 하며, FA 중 B등급의 경우 전 시즌 연봉의 300%를 넘겨줘야 하지만 보상 선수를
내줄 수가 없기 때문에 C등급의 경우 150%를 넘겨주면 보상 선수를 내줄 수가 없습니다.
남자부 25인의 FA 명단에는 A등급 선수만 무려 15명이 포진해 있습니다. 최민호와 전광인,
박경민(이상 현대캐피탈), 곽승석·김규민·정지석(이상 대한항공), 정민수·황택의(이상
KB손해보험), 한성정·송명근(이상 우리카드), 김정호(삼성화재), 신영석·서재덕과
임성진(이상 한국전력), 송희채(이상 OK저축은행)이 A등급을 배정받아 원 소속 팀으로
잔류하는지, 아니면 다른 팀으로 이적하여 보상 선수 1명을 원 소속 구단에게 넘겨줘야
하는지 결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두번째 FA 계약을 준비하는 황택의와 생애 첫 FA를 얻는 임성진, 세번째 FA 계약에 나서는
전광인의 행보가 주목됩니다. 리그 최고 세터다운 활약으로 팀의 정규리그 2위를 견인한
황택의는 한선수의 최고 연봉 기록(10억8000만원)을 돌파하는 대형 계약이 맺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결과를 지켜봐야 하며, 공수 양면에서 한국전력의 중심으로 거듭난 임성진은
수많은 팀들의 관심을 받고 있기 때문에 가장 큰 규모의 계약을 빠르게 체결할 수 있으나,
그가 한국전력과 FA 재계약을 맺는지, 아니면 한국전력을 떠나 다른 팀으로 이적을 하는지
결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그리고 상근예비역 군복무를 마친 전광인도 그의 이름값과 기량에
비해 이번 시즌 출전 기회를 많이 얻지 못했던 만큼 그가 현대캐피탈을 떠나 다른 팀으로
이적하는지, 아니면 현대캐피탈과 FA 재계약 체결을 결정하는지 결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B등급 선수는 총 8명으로 이시우·김선호(이상 현대캐피탈), 이승원·박준혁(이상 우리카드),
김재휘·이호건·조국기(이상 삼성화재), 박원빈(OK저축은행)이 B등급 FA 대상으로 원 소속팀과
FA 재계약을 맺을 수 있는지 배구전문가들이 결과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이번 시즌 커리어 하이 급 활약을 펼친 박원빈과 시즌 후반 좋은 성장세를 보인 박준혁, 원
포인트 서버 이시우 등이 원 소속팀과 FA 재계약을 맺을 수 있는지 배구전문가들이 결과를
지켜보고 있는 만큼 보상 선수를 내주지 않아도 되는 B등급 선수는 FA 시장에서의 인기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배구전문가들의 긍정적인 평가가 프로배구 남자부 FA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입니다.
C등급 선수는 단 두명뿐으로 이강원(우리카드), 김동영(한국전력) 선수만 C등급을 배정받은
만큼 이번 프로배구 남자부 FA에서 가볍게 볼 선수들이 아니기 때문에 두 선수 모두 이번 시즌에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고, 공격력만큼은 어느 팀에서도 필요로 할 정도로 빼어난 선수들인 만큼
행보를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C등급에 배정을 받은 선수는 프로배구 FA 규정상 보상 선수를
내줄 수 없는 규정이 있는 만큼 1억원 미만에 해당되는 9500만원 이하의 연봉을 계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남자부 7개 구단의 눈치 싸움과 돈 싸움은 이제부터 시작됩니다. 이번 비시즌에는 또 어떤
스토리들이 만들어내는지 주목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의 배구논평이었습니다.
'노혁진의 배구논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구논평] 6년만에 V리그 여자부 챔피언결정전 통합우승의 대기록을 달성한 흥국생명, 13년만에 챔피언결정전 우승이 좌절된 정관장의 아쉬운 준우승 (0) | 2025.04.11 |
---|---|
[배구논평] 트렌티노와 페루자, 이탈리아 남자배구 1부리그 수페르레가 4강 플레이오프 기선제압 (0) | 2025.04.10 |
[배구논평] 현대캐피탈 트레블 주역 레오, 개인 3번째 남자부 챔피언결정전 MVP (6) | 2025.04.09 |
[배구논평] '배구 발전을 위한 적극 교류' 한국배구연맹(KOVO), 일본 SV리그와 MOU 체결 (2) | 2025.04.09 |
[배구논평] 남자 프로배구 제6구단 OK저축은행, '봄 배구 전도사' 신영철 감독 선임..'팀 리빌딩 힘쓸 것' (2)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