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스이야기

[대기획]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서울시내버스 160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여유와 사람들의 의미있는 사연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에서는 지난 3월에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서울시내버스 

160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여유와 사람들의 의미있는 사연들을 버스이야기의 대기획에서 만나봅니다.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서울 160번 버스는 서울교통네트웍에서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를 출발하여 종로와 광화문을 거쳐 마포대교로 한강을 건너 

구로구 온수동에서 끝나는 주간선버스 노선입니다.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구로구로 넘어가는 주간선버스 

노선인 만큼 서울 160번 버스의 인가거리는 노선 길이가 70km이기 때문에 첫차 손님들이 가장 많은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서울시내버스 160번의 첫차 승객들은 이른 새벽에 일을 나가는 건물 청소원과 경비원, 

건설 노동자들이 주로 탑승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내버스 160번은 첫차 새벽시간대 2대가 동시에 출발하기 

때문에 첫차 손님들이 가장 많이 탑승하고 있으며, 준심야버스로 운행하기 때문에 대리운전기사들의 

셔틀버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노선은 유동인구가 많은 수유리와 대학로, 종로, 광화문, 여의도, 영등포역, 

신도림역, 고척스카이돔을 경유하지만 이 버스는 특정사항으로 본다면 

도봉로~동소문로~창경궁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종로~새문안로~충정로~마포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여의도환승센터, 경인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모두 경유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은 하행(온수동방향)의 시점인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여의도환승센터를 통과할 경우 하행(온수동방향)은 여의도환승센터 

영등포방향 3번승강장에 정차하고 상행(도봉산방향)은 여의도환승센터 도심방향 2번승강장에 정차하고 있습니다. 

 

서울 160번 버스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를 출발하여 도봉산역과 도봉한신아파트,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신도봉사거리,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역북부), 

도봉소방서(방학역남부), 도봉보건소, 도봉구민회관, 쌍문역, 우이1교앞, 수유3동우체국, 수유역,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미아역(신일중고등학교), 도봉세무서/성북시장, 미아사거리역, 

길음2동주민센터, 길음뉴타운,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삼선교(한성대학교/조소앙 활동 터), 혜화동로타리(여운형 활동 터), 명륜3가(성대입구),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원남동, 종로, 광화문,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서대문역사거리, 

충정로역(경기대입구), 아현초등학교, 마포경찰서, 아현동주민센터, 공덕역, 마포역을 지나 

마포대교로 한강을 건너 여의도환승센터와 여의도공원, 영등포역, 

남부지방법원등기국(구로세무서/에이스하이테크시티), 문래동남성아파트, 신도림역, 

신도림동/구로역, 구일역(중앙유통상가), 동양미래대학/구로성심병원, 개봉역(영화아파트), 

경인중학교(개봉사거리), 오류1동주민센터(오류문화센터), 오류동역, 오류지구대(신오류주유소), 

연세중앙교회, 궁동청소년문화의집, 우신고등학교, 온수역을 지나 구로구 온수동에서 끝나게 됩니다. 

 

이 노선은 하행(온수동방향)의 경우 창경궁로를 따라 종로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운행되지만 

상행(도봉산방향)의 경우 종로를 따라 대학로를 거쳐 동소문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운행되고 있습니다. 

 

서울시내버스 160번은 첫차 새벽시간대 2대가 운행하고 첫차 손님들이 많이 탑승하기 때문에 이른 새벽에 

일을 나가는 건물 청소원과 경비원, 건설 노동자들이 이 노선을 주로 탑승하고 있습니다. 이 노선은 기점과 

종점의 경우 서울시내버스 N16번과 동일하지만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혜화동로타리, 공덕역~온수동 

구간은 심야시간에 운행하는 올빼미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N16번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 노선은 

여의도환승센터~오류동역 구간에서는 준심야버스로 운행하는 부천시내버스 88번과 심야버스로 운행하는 

부천시내버스 83번으로 대체가 가능하고 대학로 구간에서는 올빼미버스 노선인 서울시내버스 

N16번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 버스는 특정사항으로 본다면 광화문 인근에 있는 남자프로배구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프로배구단을 운영하고 있는 우리카드 광화문 본사와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프로배구단 광화문 본사도 동시에 경유하기 때문에 광화문, 여의도, 신도림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회사원들의 수요가 매우 많습니다. 이 버스는 고척스카이돔 야구장도 동시에 경유하기 때문에 매년 프로야구 

정규리그 기간에는 고척스카이돔으로 나들이를 가는 야구팬들의 수요가 매우 많습니다. 이 노선은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기점기준으로 첫차가 새벽 03시57분, 막차가 밤 22시10분에 출발하지만 회차 구간인 

온수동에서 첫차가 새벽 05시50분, 막차가 밤 24시10분에 출발합니다. 이 노선의 막차는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로 돌아오는 다음날 새벽 2시에 야간운행을 종료하면 다음날 첫차 운행을 위해 

1시간50분 가량 휴식에 들어갑니다. 

 

서울시내버스 160번은 매년 명절기간이 되면 이틀 정도 연장운행을 실시하기 때문에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에서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밤 23시30분에 출발하고 온수동에서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01시30분에 출발하면 영등포역에서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2시에 출발합니다. 서울 160번 버스의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는 명절연휴 연장운행 막차가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로 돌아오는 다음날 새벽 03시20분에 운행을 종료하면 명절연휴 연장운행 일정은 

이렇게 마무리합니다. 그렇지만 서울시내버스 160번은 보신각도 경유하기 때문에 매년 12월31일에 

하루만 연말 연장운행을 실시합니다. 서울시내버스 160번의 연말 연장운행 막차는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에서 연말 연장운행 막차가 밤 23시10분에 출발하고 온수동에서 연말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01시10분에 출발하면 보신각 인근 종로2가에서 연말 연장운행 막차가 다음날 

새벽 2시에 출발, 연말 연장운행 막차가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로 돌아오는 다음날 새벽 3시에 운행을 

종료하면 새해 첫날 첫차 운행을 위해 55분 가량 휴식에 들어갑니다. 이 버스는 지난 4월11일 

KBS 2TV "다큐멘터리 3일" 방송에 나온 이후 수유리와 대학로, 종로, 광화문, 여의도, 영등포, 신도림 

등지에서 높은 인지도를 얻고 있습니다. 

 

서울 160번 버스를 타는 승객들은 이 땅에 살기 위해 한 푼이라도 더 벌고 싶은 마음으로 일을 하고 고단한 

일터에서 일하고 싶은 사람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서울시내버스 160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여유와 사람들의 의미있는 사연들이 있는 만큼 앞으로도 

서울시내버스 160번이 이 땅에 살기 위해 한 푼이라도 더 벌고 싶은 마음을 헤아릴 수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공감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버스이야기가 대기획으로 준비한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만 마무리하겠습니다. 

 

다큐멘터리 3일의 촬영 장소로 사용된 서울시내버스 160번이 가장 먼저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여유와 사람들의 

의미있는 사연에 대해 아시는 네티즌 여러분들이 있으면 댓글 많이 달아주시길 부탁드리며, 누리꾼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