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4월23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인 칠곡경대병원~용지 구간이 이날 새벽 5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국내 최초 모노레일 노선을 적용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은 2009년 7월24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2014년 1월에 완공된 이후 2015년 상반기에 개통을 위한 영업 시운전을 두달 가량 진행했으며, 칠곡경대병원~용지간
23.2km의 구간이 개통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단계 구간은 청라언덕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고 명덕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모든 열차가 모노레일로 운행하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열차는 대구광역시 북구에 경수선과 중수선이 가능하고 유치, 점검, 수리를 위한 칠곡차량사업소가
신설되었으며,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에는 주박 전용 차량기지로 사용되고 있는 범물차량사업소를 신설했다.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경대병원역에서 수성구 용지역에 이르는 모든 역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으며, 모든 역사가 난간형 스크린도어로 설계되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모든 역에
설치된 난간형 스크린도어는 서울지하철 2호선 강변(동서울터미널)역과 건대입구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도권전철 분당·수인선이 사용하는 도색인 노랑색을 사용하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칠곡경대병원역과 학정역,
팔거역, 동천역, 칠곡운암역, 구암역, 태전역, 매천역, 매천시장역, 팔달역, 공단역, 만평역, 팔달시장역, 원대역, 북구청역,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 남산역, 명덕역, 건들바위역, 대봉교역, 수성시장역, 수성구민운동장역,
어린이회관역, 황금역, 수성못역, 지산역, 범물역, 용지역을 비롯한 30개 역이 신설되었다. 현재 공사가 예정되어 있는
2단계 구간인 용지역에서 시립미술관과 대구스타디움, 수성알파시티, 고산역, 율하뉴타운, 신기역, 대구연료산업단지,
신서혁신도시를 거쳐 첨단복합단지에 이르는 구간은 늦어도 오는 2025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Metro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 DAY] 4월28일 (2004년 4월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 (0) | 2021.04.28 |
---|---|
[t DAY] 4월26일 (2013년 4월26일, 수도권전철 용인 경전철 전구간 개통) (0) | 2021.04.26 |
[t DAY] 4월21일 (1993년 4월21일, 서울지하철 4호선 당고개역 개통) (0) | 2021.04.21 |
[t DAY] 4월20일 (1985년 4월20일, 서울지하철 4호선 1단계 구간 개통) (0) | 2021.04.20 |
[t DAY] 4월20일 (2017년 4월20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5단계 구간 개통) (0) | 2021.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