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5월22일, 을지로순환선인 서울지하철 2호선 전 구간이 이날 오전 10시를 기해 개통되었다.
서울지하철 2호선 전구간 개통으로 서울의 지하철 순환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서울지하철 2호선 전구간
개통을 계기로 서울의 지하철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78년 3월9일부터 착공을 시작하여 6년2개월만에
완공된 서울지하철 2호선 전 구간은 5단계 구간인 을지로입구~서울대입구간 19.2km의 서측 구간이 개통되면서
아현동, 신촌, 동교동, 합정동, 당산동, 문래동, 대림동, 구로동, 신대방동, 신림동, 봉천동 일대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전두환 前 대통령을 비롯한 각하 내외분들은 이날 아침 10시, 2호선 시청역에서 열린 서울지하철 2호선 전 구간
개통식에 참석하여 건설 현황을 보고받은 뒤 서울지하철 2호선 시청역 승강장에서 개통 테이프를 끊고 시민대표들과
함께 시청역에서 사당역까지 구간을 시승했다. 중간에 이대역에 들린 전두환 前 대통령은 이대역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를 비롯한 모든 역사 시설들을 둘러보고 "시민들에게 불안을 줄 수 있는 지하철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시설물 관리를 철저히 하라"고 관계자들에게 당부했다. 사당역에서 시승을 마친 전두환 前 대통령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現 서울메트로) 본사를 방문하여 지하철 운행의 심장부인 종합사령실을 시찰,
"지하철과 시내버스 노선의 연결 방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라"고 관계자들에게 지시했다.
서울지하철 2호선의 하루 전동차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 419회(내선 206회, 외선 213회),
일요일·공휴일 317회(내선 158회, 외선 159회)이며, 짝수 열번의 내선과 홀수 열번의 외선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달리는 방식으로 운행되지만 열차 열번이 변경되는 시점인 성수역에서 2호선 열차를 타고 한 바퀴를 돌 때
83분이 소요된다. 첫차가 운행을 시작하는 새벽 5시부터 막차가 야간운행을 종료하는 밤 23시40분까지 운행하는
서울지하철 2호선은 차량기지 입·출고 지점인 성수역을 비롯하여 을지로입구, 홍대입구, 신도림, 서울대입구, 삼성역
등지에서 첫차가 동시에 출발하며, 러시아워 출퇴근시간대 3분30초, 평상시 7분, 일요일·공휴일 7분간격으로 운행한다.
서울지하철 2호선 전구간 개통으로 이용객 수요가 폭발적으로 많이 늘어났으며, 서울운동장(現 동대문운동장)역에서
을지로를 거쳐 시청역에 이르는 지하 보도상가도 동시에 설치하여 지하 보행 인구를 흡수했다. 그리고 1호선을
갈아타거나 심도가 깊은 역인 역삼, 사당, 신도림, 이대, 충정로(경기대입구), 시청역에는 36대의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여 승객들의 편의를 도모했으며, 강남역과 잠실역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지하상가가 설치되었다. 지상신호방식의
ATS 신호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서울지하철 2호선은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어느 역에 있더라도 4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현재 운행중인 서울지하철 2호선의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러시아워 출근시간대 2.5분, 러시아워 퇴근시간대 3분,
평상시 5.5분간격으로 운행하고 토요일과 일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은 평상시 6분, 러시아워 시간대인 오전 10시부터
저녁 18시까지 5분간격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하루 이용객 수가 220만명 이상을 넘는 서울지하철 2호선은 성수역에서
외선순환 기준으로 2호선 열차를 타고 한 바퀴를 돌 때 평균 86~90분이 소요된다.
'Metro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 DAY] 5월24일 (2014년 5월24일, 서울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 개통) (0) | 2020.05.24 |
---|---|
[t DAY] 5월22일 (1992년 5월2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개통) (0) | 2020.05.22 |
[t DAY] 5월22일 (1984년 5월22일, 수도권전철 1호선 신도림역 개통) (0) | 2020.05.22 |
[t DAY] 5월15일 (1987년 5월15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 개통) (0) | 2020.05.15 |
[t DAY] 5월2일 (1998년 5월2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 개통) (0) | 2020.05.02 |